또 최고 기온…밤에 문 닫는 무더위 쉼터

입력 2025.07.03 (19:10) 수정 2025.07.03 (19:15)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장마가 2주 만에 끝나면서 폭염과 열대야가 앞으로 더 기승을 부릴 전망입니다.

하지만, 재난 수준의 열기를 피할 부산의 무더위 쉼터는 야간에 문을 닫고 있습니다.

최위지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어둠이 내린 해변에 시민들이 삼삼오오 모였습니다.

해가 져도 식지 않는 열기에 잠 못 이루는 밤이 이어지자, 잠시나마 바람을 쐬러 나왔습니다.

[유성록/부산시 수영구 : "에어컨을 중간에 껐다가 켜고 반복하면서 잠을 2~3번 설친 것 같습니다."]

남부지방에는 6월 중순 시작된 장마가 단, 13일 만에 끝났습니다.

이 기간 내린 비는 채 100mm가 되질 않습니다.

앞으로는 이렇다 할 비 소식 없이 극한 폭염에 열대야까지, 무더위가 이어집니다.

문제는 후텁지근한 야간마저도 더위를 피할 곳이 마땅찮다는 것입니다.

부산의 무더위쉼터는 모두 천400여 곳.

이 가운데 누구나 이용 가능한 실내 무더위 쉼터는 27곳에 불과합니다.

이마저도 대부분 저녁 8시면 문을 닫고, 자정을 넘겨 운영하는 곳은 단 한 곳도 없습니다.

[강말선/부산시 동구 : "더워서 딱 숨통이 막혀요. 너무 더워. (집에서) 나갔다가 들어갔다가 해야 하룻밤이 지나가지."]

일부 기초단체가 숙박업소 등을 빌려 응급 대피소를 운영하고 있지만, 수용 인원이 한정적입니다.

[부산시 관계자/음성변조 : "무더위 쉼터 연장 운영하는 걸 좀 확대하는 걸 지금 추진하고 있고 안개형 냉각수 이런 것들도 운영 시간을 늘려서 시원하게 할 수 있도록…."]

장마 종료 선언에 따라 2018년 기록적 폭염이 재현될 거란 우려가 커지는데, 특히 온열질환에 취약한 도시 노인들이 열대야를 피할 쉼터는 닫혀 있습니다.

KBS 뉴스 최위지입니다.

촬영기자:허선귀/그래픽:김희나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또 최고 기온…밤에 문 닫는 무더위 쉼터
    • 입력 2025-07-03 19:10:24
    • 수정2025-07-03 19:15:09
    뉴스7(부산)
[앵커]

장마가 2주 만에 끝나면서 폭염과 열대야가 앞으로 더 기승을 부릴 전망입니다.

하지만, 재난 수준의 열기를 피할 부산의 무더위 쉼터는 야간에 문을 닫고 있습니다.

최위지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어둠이 내린 해변에 시민들이 삼삼오오 모였습니다.

해가 져도 식지 않는 열기에 잠 못 이루는 밤이 이어지자, 잠시나마 바람을 쐬러 나왔습니다.

[유성록/부산시 수영구 : "에어컨을 중간에 껐다가 켜고 반복하면서 잠을 2~3번 설친 것 같습니다."]

남부지방에는 6월 중순 시작된 장마가 단, 13일 만에 끝났습니다.

이 기간 내린 비는 채 100mm가 되질 않습니다.

앞으로는 이렇다 할 비 소식 없이 극한 폭염에 열대야까지, 무더위가 이어집니다.

문제는 후텁지근한 야간마저도 더위를 피할 곳이 마땅찮다는 것입니다.

부산의 무더위쉼터는 모두 천400여 곳.

이 가운데 누구나 이용 가능한 실내 무더위 쉼터는 27곳에 불과합니다.

이마저도 대부분 저녁 8시면 문을 닫고, 자정을 넘겨 운영하는 곳은 단 한 곳도 없습니다.

[강말선/부산시 동구 : "더워서 딱 숨통이 막혀요. 너무 더워. (집에서) 나갔다가 들어갔다가 해야 하룻밤이 지나가지."]

일부 기초단체가 숙박업소 등을 빌려 응급 대피소를 운영하고 있지만, 수용 인원이 한정적입니다.

[부산시 관계자/음성변조 : "무더위 쉼터 연장 운영하는 걸 좀 확대하는 걸 지금 추진하고 있고 안개형 냉각수 이런 것들도 운영 시간을 늘려서 시원하게 할 수 있도록…."]

장마 종료 선언에 따라 2018년 기록적 폭염이 재현될 거란 우려가 커지는데, 특히 온열질환에 취약한 도시 노인들이 열대야를 피할 쉼터는 닫혀 있습니다.

KBS 뉴스 최위지입니다.

촬영기자:허선귀/그래픽:김희나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부산-주요뉴스

더보기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