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 정부 추경, 강원 현안 ‘빈손’…홀대론까지
입력 2025.07.07 (21:56)
수정 2025.07.07 (22:01)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정부의 제2차 추가경정예산안이 지난 주말, 국회와 국무회의를 통과했습니다.
예산의 상당 부분은 경기 부양을 위한 소비 쿠폰 발행에 집중됐는데요.
이 때문에 강원 현안 사업비는 전혀 반영되지 않아 지역 홀대론까지 나옵니다.
이청초 기자입니다.
[리포트]
정부가 2차 추가경정예산을 확정했습니다.
모두 31조 원 규모입니다.
민생회복 소비쿠폰에 가장 큰 비중을 뒀습니다.
13조 원을 투입합니다.
[이재명 대통령/지난 5일/2025년도 제29회 국무회의 : "긴급하게 편성한 추경이기 때문에, 하루라도 빨리 집행이 돼서 현장에 우리 국민들의 삶이 좀 마중물이 될 수 있도록…."]
문제는 지역 현안.
민생회복 사업에 밀려 강원도 현안 사업비가 한 푼도 반영되지 않은 겁니다.
강원도가 정부에 요청한 사업은 20개 사업에 2,200억 원 규모.
올해, 당초 예산에 충분히 반영이 안 돼 한시가 급한 사업들입니다.
춘천~속초, 강릉~제진 철도, 올해에만 500~600억 원이 더 필요하지만, 1, 2차 추경예산에서 모두 빠졌습니다.
돈 문제로 사업 지연이 반복되는 제2 경춘국도.
올해도 국비 확보 목표액의 절반 밖에 따내지 못한 상태입니다.
영월-삼척 고속도로 용역비 30억 원도 아직입니다.
조기폐광지역을 위한 경제진흥사업비 150억 원도 급한 불입니다.
이미 하반기로 접어든 상황에서 사업 일정에 차질이 우려됩니다.
[김진태/강원도지사 : "강원도 그런 사업 예산들도 계속 좀 담아내도록 그렇게 일단 노력을 하겠습니다. 사업 자체가 뭐 지연된다거나 그런 장애가 초래되는 상황은 아닙니다."]
여기에 강원 홀대론까지 나옵니다.
강원도와 달리 호남 등 일부 지역 사업비가 대거 추경에 포함됐기 때문입니다.
앞으로도 문제입니다.
정부가 3차 추경에 대해서 일단 계획이 없다고 선을 그었습니다.
이에 따라, 강원도는 현안사업 반영을 위해서는 내년 당초예산 편성을 기약할 수 밖에 없게 됐습니다.
KBS 뉴스 이청초입니다.
촬영기자:임강수
정부의 제2차 추가경정예산안이 지난 주말, 국회와 국무회의를 통과했습니다.
예산의 상당 부분은 경기 부양을 위한 소비 쿠폰 발행에 집중됐는데요.
이 때문에 강원 현안 사업비는 전혀 반영되지 않아 지역 홀대론까지 나옵니다.
이청초 기자입니다.
[리포트]
정부가 2차 추가경정예산을 확정했습니다.
모두 31조 원 규모입니다.
민생회복 소비쿠폰에 가장 큰 비중을 뒀습니다.
13조 원을 투입합니다.
[이재명 대통령/지난 5일/2025년도 제29회 국무회의 : "긴급하게 편성한 추경이기 때문에, 하루라도 빨리 집행이 돼서 현장에 우리 국민들의 삶이 좀 마중물이 될 수 있도록…."]
문제는 지역 현안.
민생회복 사업에 밀려 강원도 현안 사업비가 한 푼도 반영되지 않은 겁니다.
강원도가 정부에 요청한 사업은 20개 사업에 2,200억 원 규모.
올해, 당초 예산에 충분히 반영이 안 돼 한시가 급한 사업들입니다.
춘천~속초, 강릉~제진 철도, 올해에만 500~600억 원이 더 필요하지만, 1, 2차 추경예산에서 모두 빠졌습니다.
돈 문제로 사업 지연이 반복되는 제2 경춘국도.
올해도 국비 확보 목표액의 절반 밖에 따내지 못한 상태입니다.
영월-삼척 고속도로 용역비 30억 원도 아직입니다.
조기폐광지역을 위한 경제진흥사업비 150억 원도 급한 불입니다.
이미 하반기로 접어든 상황에서 사업 일정에 차질이 우려됩니다.
[김진태/강원도지사 : "강원도 그런 사업 예산들도 계속 좀 담아내도록 그렇게 일단 노력을 하겠습니다. 사업 자체가 뭐 지연된다거나 그런 장애가 초래되는 상황은 아닙니다."]
여기에 강원 홀대론까지 나옵니다.
강원도와 달리 호남 등 일부 지역 사업비가 대거 추경에 포함됐기 때문입니다.
앞으로도 문제입니다.
정부가 3차 추경에 대해서 일단 계획이 없다고 선을 그었습니다.
이에 따라, 강원도는 현안사업 반영을 위해서는 내년 당초예산 편성을 기약할 수 밖에 없게 됐습니다.
KBS 뉴스 이청초입니다.
촬영기자:임강수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새 정부 추경, 강원 현안 ‘빈손’…홀대론까지
-
- 입력 2025-07-07 21:56:11
- 수정2025-07-07 22:01:26

[앵커]
정부의 제2차 추가경정예산안이 지난 주말, 국회와 국무회의를 통과했습니다.
예산의 상당 부분은 경기 부양을 위한 소비 쿠폰 발행에 집중됐는데요.
이 때문에 강원 현안 사업비는 전혀 반영되지 않아 지역 홀대론까지 나옵니다.
이청초 기자입니다.
[리포트]
정부가 2차 추가경정예산을 확정했습니다.
모두 31조 원 규모입니다.
민생회복 소비쿠폰에 가장 큰 비중을 뒀습니다.
13조 원을 투입합니다.
[이재명 대통령/지난 5일/2025년도 제29회 국무회의 : "긴급하게 편성한 추경이기 때문에, 하루라도 빨리 집행이 돼서 현장에 우리 국민들의 삶이 좀 마중물이 될 수 있도록…."]
문제는 지역 현안.
민생회복 사업에 밀려 강원도 현안 사업비가 한 푼도 반영되지 않은 겁니다.
강원도가 정부에 요청한 사업은 20개 사업에 2,200억 원 규모.
올해, 당초 예산에 충분히 반영이 안 돼 한시가 급한 사업들입니다.
춘천~속초, 강릉~제진 철도, 올해에만 500~600억 원이 더 필요하지만, 1, 2차 추경예산에서 모두 빠졌습니다.
돈 문제로 사업 지연이 반복되는 제2 경춘국도.
올해도 국비 확보 목표액의 절반 밖에 따내지 못한 상태입니다.
영월-삼척 고속도로 용역비 30억 원도 아직입니다.
조기폐광지역을 위한 경제진흥사업비 150억 원도 급한 불입니다.
이미 하반기로 접어든 상황에서 사업 일정에 차질이 우려됩니다.
[김진태/강원도지사 : "강원도 그런 사업 예산들도 계속 좀 담아내도록 그렇게 일단 노력을 하겠습니다. 사업 자체가 뭐 지연된다거나 그런 장애가 초래되는 상황은 아닙니다."]
여기에 강원 홀대론까지 나옵니다.
강원도와 달리 호남 등 일부 지역 사업비가 대거 추경에 포함됐기 때문입니다.
앞으로도 문제입니다.
정부가 3차 추경에 대해서 일단 계획이 없다고 선을 그었습니다.
이에 따라, 강원도는 현안사업 반영을 위해서는 내년 당초예산 편성을 기약할 수 밖에 없게 됐습니다.
KBS 뉴스 이청초입니다.
촬영기자:임강수
정부의 제2차 추가경정예산안이 지난 주말, 국회와 국무회의를 통과했습니다.
예산의 상당 부분은 경기 부양을 위한 소비 쿠폰 발행에 집중됐는데요.
이 때문에 강원 현안 사업비는 전혀 반영되지 않아 지역 홀대론까지 나옵니다.
이청초 기자입니다.
[리포트]
정부가 2차 추가경정예산을 확정했습니다.
모두 31조 원 규모입니다.
민생회복 소비쿠폰에 가장 큰 비중을 뒀습니다.
13조 원을 투입합니다.
[이재명 대통령/지난 5일/2025년도 제29회 국무회의 : "긴급하게 편성한 추경이기 때문에, 하루라도 빨리 집행이 돼서 현장에 우리 국민들의 삶이 좀 마중물이 될 수 있도록…."]
문제는 지역 현안.
민생회복 사업에 밀려 강원도 현안 사업비가 한 푼도 반영되지 않은 겁니다.
강원도가 정부에 요청한 사업은 20개 사업에 2,200억 원 규모.
올해, 당초 예산에 충분히 반영이 안 돼 한시가 급한 사업들입니다.
춘천~속초, 강릉~제진 철도, 올해에만 500~600억 원이 더 필요하지만, 1, 2차 추경예산에서 모두 빠졌습니다.
돈 문제로 사업 지연이 반복되는 제2 경춘국도.
올해도 국비 확보 목표액의 절반 밖에 따내지 못한 상태입니다.
영월-삼척 고속도로 용역비 30억 원도 아직입니다.
조기폐광지역을 위한 경제진흥사업비 150억 원도 급한 불입니다.
이미 하반기로 접어든 상황에서 사업 일정에 차질이 우려됩니다.
[김진태/강원도지사 : "강원도 그런 사업 예산들도 계속 좀 담아내도록 그렇게 일단 노력을 하겠습니다. 사업 자체가 뭐 지연된다거나 그런 장애가 초래되는 상황은 아닙니다."]
여기에 강원 홀대론까지 나옵니다.
강원도와 달리 호남 등 일부 지역 사업비가 대거 추경에 포함됐기 때문입니다.
앞으로도 문제입니다.
정부가 3차 추경에 대해서 일단 계획이 없다고 선을 그었습니다.
이에 따라, 강원도는 현안사업 반영을 위해서는 내년 당초예산 편성을 기약할 수 밖에 없게 됐습니다.
KBS 뉴스 이청초입니다.
촬영기자:임강수
-
-
이청초 기자 chocho@kbs.co.kr
이청초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