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천권 힘겨루기?’…국힘 대구시당위원장 2파전

입력 2025.07.08 (08:36) 수정 2025.07.08 (09:04)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다음 주 새로 임기가 시작되는 국민의힘 대구시당위원장이 사상 처음 경선으로 선출될 가능성이 높아졌습니다.

그간의 합의추대 관행과 달리 두 명의 의원이 경합을 벌이는 건데, 내년 지방선거를 앞두고 공천권을 염두에 둔 경쟁이란 분석입니다.

이지은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국민의힘 대구시당은 지금까지 지역구 국회의원 선수와 나이순으로 시당위원장을 합의 추대해 왔습니다.

이번에도 마찬가지, 최근 대구 국회의원 12명 가운데 10명이 모여 관행에 따라 재선 의원 3명 중 연장자인 이인선 의원을 추대하기로 뜻을 모았습니다.

그런데 권영진 의원이 반발하면서 사상 처음 경선으로 치러질 가능성이 커졌습니다.

권 의원은, 이 의원이 보궐선거로 21대 국회에 입성한 이른바 '1.5선'이라며, 18대에 초선을 지낸 자신의 선수가 더 높다는 입장입니다.

[권영진/국회의원 : "우리 당도 위기지만 우리 대구가 굉장히 위기거든요. 대구 시장 8년 한 사람으로서 그 역할을 해야 되겠다. (시당위원장) 선출 권한을 당원들에게 주는 게 옳겠다..."]

반면 이 의원은, 경선 대상이 당원과 대의원인 만큼 향후 지방선거 공천과 관련해 잡음이 커질 수 있다며 반발합니다.

[이인선/국회의원 : "합의라는 걸 무시하고 억지로 자기 길을 가겠다는 태도는 오히려 당의 분열을 초래하고... 내부 갈등의 시간을 허비할 이유가 없다고 보고."]

시당위원장 선출이 이례적으로 과열 양상을 띠는 건 1년도 안 남은 내년 지방선거 공천권 때문이란 분석이 지배적입니다.

2022년 지방선거에서 선출된 대구 단체장·지방의원의 경우 80% 이상이 국민의힘 소속인 상황, 공천관리를 이끄는 시당위원장의 권한과 상징성은 선거 때 더 부각될 수밖에 없습니다.

다만, 당 내부에선 자리싸움이나 자기 정치로 비칠 경우 가뜩이나 좋지 않은 민심이 더 악화할 거란 우려도 제기됩니다.

경북도당 위원장에는 구자근 의원이 사실상 내정된 가운데, 국민의힘은 오는 17일 각 시·도당위원장을 최종 승인합니다.

KBS 뉴스 이지은입니다.

촬영기자:백창민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공천권 힘겨루기?’…국힘 대구시당위원장 2파전
    • 입력 2025-07-08 08:36:51
    • 수정2025-07-08 09:04:53
    뉴스광장(대구)
[앵커]

다음 주 새로 임기가 시작되는 국민의힘 대구시당위원장이 사상 처음 경선으로 선출될 가능성이 높아졌습니다.

그간의 합의추대 관행과 달리 두 명의 의원이 경합을 벌이는 건데, 내년 지방선거를 앞두고 공천권을 염두에 둔 경쟁이란 분석입니다.

이지은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국민의힘 대구시당은 지금까지 지역구 국회의원 선수와 나이순으로 시당위원장을 합의 추대해 왔습니다.

이번에도 마찬가지, 최근 대구 국회의원 12명 가운데 10명이 모여 관행에 따라 재선 의원 3명 중 연장자인 이인선 의원을 추대하기로 뜻을 모았습니다.

그런데 권영진 의원이 반발하면서 사상 처음 경선으로 치러질 가능성이 커졌습니다.

권 의원은, 이 의원이 보궐선거로 21대 국회에 입성한 이른바 '1.5선'이라며, 18대에 초선을 지낸 자신의 선수가 더 높다는 입장입니다.

[권영진/국회의원 : "우리 당도 위기지만 우리 대구가 굉장히 위기거든요. 대구 시장 8년 한 사람으로서 그 역할을 해야 되겠다. (시당위원장) 선출 권한을 당원들에게 주는 게 옳겠다..."]

반면 이 의원은, 경선 대상이 당원과 대의원인 만큼 향후 지방선거 공천과 관련해 잡음이 커질 수 있다며 반발합니다.

[이인선/국회의원 : "합의라는 걸 무시하고 억지로 자기 길을 가겠다는 태도는 오히려 당의 분열을 초래하고... 내부 갈등의 시간을 허비할 이유가 없다고 보고."]

시당위원장 선출이 이례적으로 과열 양상을 띠는 건 1년도 안 남은 내년 지방선거 공천권 때문이란 분석이 지배적입니다.

2022년 지방선거에서 선출된 대구 단체장·지방의원의 경우 80% 이상이 국민의힘 소속인 상황, 공천관리를 이끄는 시당위원장의 권한과 상징성은 선거 때 더 부각될 수밖에 없습니다.

다만, 당 내부에선 자리싸움이나 자기 정치로 비칠 경우 가뜩이나 좋지 않은 민심이 더 악화할 거란 우려도 제기됩니다.

경북도당 위원장에는 구자근 의원이 사실상 내정된 가운데, 국민의힘은 오는 17일 각 시·도당위원장을 최종 승인합니다.

KBS 뉴스 이지은입니다.

촬영기자:백창민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대구-주요뉴스

더보기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