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 초등학교 또 폐교…학령인구 위기 현실화
입력 2025.07.08 (21:54)
수정 2025.07.08 (22:03)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학령인구 감소 여파로 대구 초등학교 2곳이 또 문을 닫습니다.
학생 수 감소 문제가 비단 소도시나 농어촌만의 문제가 아닌 대도시로도 확산하면서, 교육 당국의 위기감도 커지고 있습니다.
이종영 기자입니다.
[리포트]
33년 전통의 대구 월곡초등학교.
개교 당시 2천4백 명이었던 학생 수가 지금은 100명이 채 되지 않습니다.
학년당 한 학급씩만 운영해 오다 결국 올해 신입생은 단 3명을 받는 데 그쳤습니다.
학생 수가 적다 보니 모둠 활동이 어렵고, 방과후 수업에도 차질을 빚으면서 학부모 투표를 거쳐 결국 내년 3월 폐교가 결정됐습니다.
서구 비봉초등학교도 전교생이 60여 명 수준으로 급감해 내년에 인근 학교로 통합됩니다.
두 학교를 제외하고도 최근 10년간 대구에서 문을 닫은 학교는 초등학교 4곳, 중학교 8곳 모두 12곳에 이릅니다.
문제는 학생 수 감소 추세가 너무 가파르다는 겁니다.
대구 초등학교 1학년 학생 수는 한동안 2만 명 안팎을 유지하다 올해는 만 5천 명으로 25% 줄었고, 5년 뒤면 만 명 선까지 떨어집니다.
학생 감소에 따라 초등교사 채용인원도 10년 만에 70% 가까이 급감했습니다.
대구시 교육청은 대책 마련에 고심하고 있습니다.
[황성현/대구교육청 학교운영과 사무관 : "학교 통폐합도 추진하고 있고 학교 이전 재배치, 통합운영 학교, 도심형 캠퍼스 등 학생들의 교육 학습권 보장과 교육력 제고를 위해 다양한 정책을..."]
학령인구 위기가 이제는 대도시 학교로도 확산하면서 학교 현장의 구조 조정은 피할 수 없는 과제가 되고 있습니다.
KBS 뉴스 이종영입니다.
촬영기자:백창민/그래픽:김현정
학령인구 감소 여파로 대구 초등학교 2곳이 또 문을 닫습니다.
학생 수 감소 문제가 비단 소도시나 농어촌만의 문제가 아닌 대도시로도 확산하면서, 교육 당국의 위기감도 커지고 있습니다.
이종영 기자입니다.
[리포트]
33년 전통의 대구 월곡초등학교.
개교 당시 2천4백 명이었던 학생 수가 지금은 100명이 채 되지 않습니다.
학년당 한 학급씩만 운영해 오다 결국 올해 신입생은 단 3명을 받는 데 그쳤습니다.
학생 수가 적다 보니 모둠 활동이 어렵고, 방과후 수업에도 차질을 빚으면서 학부모 투표를 거쳐 결국 내년 3월 폐교가 결정됐습니다.
서구 비봉초등학교도 전교생이 60여 명 수준으로 급감해 내년에 인근 학교로 통합됩니다.
두 학교를 제외하고도 최근 10년간 대구에서 문을 닫은 학교는 초등학교 4곳, 중학교 8곳 모두 12곳에 이릅니다.
문제는 학생 수 감소 추세가 너무 가파르다는 겁니다.
대구 초등학교 1학년 학생 수는 한동안 2만 명 안팎을 유지하다 올해는 만 5천 명으로 25% 줄었고, 5년 뒤면 만 명 선까지 떨어집니다.
학생 감소에 따라 초등교사 채용인원도 10년 만에 70% 가까이 급감했습니다.
대구시 교육청은 대책 마련에 고심하고 있습니다.
[황성현/대구교육청 학교운영과 사무관 : "학교 통폐합도 추진하고 있고 학교 이전 재배치, 통합운영 학교, 도심형 캠퍼스 등 학생들의 교육 학습권 보장과 교육력 제고를 위해 다양한 정책을..."]
학령인구 위기가 이제는 대도시 학교로도 확산하면서 학교 현장의 구조 조정은 피할 수 없는 과제가 되고 있습니다.
KBS 뉴스 이종영입니다.
촬영기자:백창민/그래픽:김현정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대구 초등학교 또 폐교…학령인구 위기 현실화
-
- 입력 2025-07-08 21:54:59
- 수정2025-07-08 22:03:05

[앵커]
학령인구 감소 여파로 대구 초등학교 2곳이 또 문을 닫습니다.
학생 수 감소 문제가 비단 소도시나 농어촌만의 문제가 아닌 대도시로도 확산하면서, 교육 당국의 위기감도 커지고 있습니다.
이종영 기자입니다.
[리포트]
33년 전통의 대구 월곡초등학교.
개교 당시 2천4백 명이었던 학생 수가 지금은 100명이 채 되지 않습니다.
학년당 한 학급씩만 운영해 오다 결국 올해 신입생은 단 3명을 받는 데 그쳤습니다.
학생 수가 적다 보니 모둠 활동이 어렵고, 방과후 수업에도 차질을 빚으면서 학부모 투표를 거쳐 결국 내년 3월 폐교가 결정됐습니다.
서구 비봉초등학교도 전교생이 60여 명 수준으로 급감해 내년에 인근 학교로 통합됩니다.
두 학교를 제외하고도 최근 10년간 대구에서 문을 닫은 학교는 초등학교 4곳, 중학교 8곳 모두 12곳에 이릅니다.
문제는 학생 수 감소 추세가 너무 가파르다는 겁니다.
대구 초등학교 1학년 학생 수는 한동안 2만 명 안팎을 유지하다 올해는 만 5천 명으로 25% 줄었고, 5년 뒤면 만 명 선까지 떨어집니다.
학생 감소에 따라 초등교사 채용인원도 10년 만에 70% 가까이 급감했습니다.
대구시 교육청은 대책 마련에 고심하고 있습니다.
[황성현/대구교육청 학교운영과 사무관 : "학교 통폐합도 추진하고 있고 학교 이전 재배치, 통합운영 학교, 도심형 캠퍼스 등 학생들의 교육 학습권 보장과 교육력 제고를 위해 다양한 정책을..."]
학령인구 위기가 이제는 대도시 학교로도 확산하면서 학교 현장의 구조 조정은 피할 수 없는 과제가 되고 있습니다.
KBS 뉴스 이종영입니다.
촬영기자:백창민/그래픽:김현정
학령인구 감소 여파로 대구 초등학교 2곳이 또 문을 닫습니다.
학생 수 감소 문제가 비단 소도시나 농어촌만의 문제가 아닌 대도시로도 확산하면서, 교육 당국의 위기감도 커지고 있습니다.
이종영 기자입니다.
[리포트]
33년 전통의 대구 월곡초등학교.
개교 당시 2천4백 명이었던 학생 수가 지금은 100명이 채 되지 않습니다.
학년당 한 학급씩만 운영해 오다 결국 올해 신입생은 단 3명을 받는 데 그쳤습니다.
학생 수가 적다 보니 모둠 활동이 어렵고, 방과후 수업에도 차질을 빚으면서 학부모 투표를 거쳐 결국 내년 3월 폐교가 결정됐습니다.
서구 비봉초등학교도 전교생이 60여 명 수준으로 급감해 내년에 인근 학교로 통합됩니다.
두 학교를 제외하고도 최근 10년간 대구에서 문을 닫은 학교는 초등학교 4곳, 중학교 8곳 모두 12곳에 이릅니다.
문제는 학생 수 감소 추세가 너무 가파르다는 겁니다.
대구 초등학교 1학년 학생 수는 한동안 2만 명 안팎을 유지하다 올해는 만 5천 명으로 25% 줄었고, 5년 뒤면 만 명 선까지 떨어집니다.
학생 감소에 따라 초등교사 채용인원도 10년 만에 70% 가까이 급감했습니다.
대구시 교육청은 대책 마련에 고심하고 있습니다.
[황성현/대구교육청 학교운영과 사무관 : "학교 통폐합도 추진하고 있고 학교 이전 재배치, 통합운영 학교, 도심형 캠퍼스 등 학생들의 교육 학습권 보장과 교육력 제고를 위해 다양한 정책을..."]
학령인구 위기가 이제는 대도시 학교로도 확산하면서 학교 현장의 구조 조정은 피할 수 없는 과제가 되고 있습니다.
KBS 뉴스 이종영입니다.
촬영기자:백창민/그래픽:김현정
-
-
이종영 기자 myshk@kbs.co.kr
이종영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