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해안 몰려온 참다랑어떼…폭염이 바꾼 바다
입력 2025.07.09 (19:35)
수정 2025.07.09 (19:41)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흔히 참치로 불리는 참다랑어는 값이 비싼 고급 어종이죠.
몇 년전부터 경북 동해안에서 잡히기 시작하더니, 최근엔 하루 수백 마리씩이 올라오고 있습니다.
어떤 이유에선지, 김도훈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야간 조업을 마친 정치망 어선들이 돌아오는 항구.
어른 몸집보다 큰 참다랑어, 참치가 크레인에 매달려 있습니다.
한 마리에 수백만 원에 이르지만, 그냥 버려야 합니다.
항구 한쪽엔 이미 죽은 참치 수백 마리가 쌓여 있습니다.
[김종구/강구항 현장 소장 : "이 고기를 전량 폐기한다니 어민들은 속에 불이 나죠. 돈으로 환산하면 수억 원대입니다, 수억 원대."]
참다랑어는 어종 보호를 위해 국가별 어획량이 정해져 있는데, 올해 경북 영덕과 포항에 할당된 어획량 53톤이 이미 찼기 때문입니다.
전날엔 천3백여 마리가 잡혔는데, 대부분 정치망 그물에 걸려 죽은 것들입니다.
[방윤석/어선 선장 : "날씨가 이상기온 때문에 날이 따뜻하니까 물 수온이 뜨거워지니까 열대성 고기가 많이 오잖아요. 참치가 이렇게 많이 들어온 적이 없거든요."]
실제로 동해의 표층 수온은 1968년 이후 2.04도나 올라 전세계 평균 상승률보다 세 배 가까이 높았습니다.
2021년 독도 인근에서 처음 채집된 참다랑어 알도 지난해에는 동해와 남해 전역에서 관찰됐습니다.
[김현우/국립수산과학원 수산자원연구부 연구관 : "기후 변화의 영향이죠. 해수온 상승에 따라서 또 해양 생물의 분포라든지 풍도(풍부도) 변화도 같이 일어나고 있습니다."]
해가 갈수록 폭염의 기세가 맹렬해지고 있는 상황, 뜨거워진 한반도 주변 바다의 어족 자원에도 큰 변화가 일어나고 있습니다.
KBS 뉴스 김도훈입니다.
촬영:이상호/영상편집:김무주/그래픽:김미령
흔히 참치로 불리는 참다랑어는 값이 비싼 고급 어종이죠.
몇 년전부터 경북 동해안에서 잡히기 시작하더니, 최근엔 하루 수백 마리씩이 올라오고 있습니다.
어떤 이유에선지, 김도훈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야간 조업을 마친 정치망 어선들이 돌아오는 항구.
어른 몸집보다 큰 참다랑어, 참치가 크레인에 매달려 있습니다.
한 마리에 수백만 원에 이르지만, 그냥 버려야 합니다.
항구 한쪽엔 이미 죽은 참치 수백 마리가 쌓여 있습니다.
[김종구/강구항 현장 소장 : "이 고기를 전량 폐기한다니 어민들은 속에 불이 나죠. 돈으로 환산하면 수억 원대입니다, 수억 원대."]
참다랑어는 어종 보호를 위해 국가별 어획량이 정해져 있는데, 올해 경북 영덕과 포항에 할당된 어획량 53톤이 이미 찼기 때문입니다.
전날엔 천3백여 마리가 잡혔는데, 대부분 정치망 그물에 걸려 죽은 것들입니다.
[방윤석/어선 선장 : "날씨가 이상기온 때문에 날이 따뜻하니까 물 수온이 뜨거워지니까 열대성 고기가 많이 오잖아요. 참치가 이렇게 많이 들어온 적이 없거든요."]
실제로 동해의 표층 수온은 1968년 이후 2.04도나 올라 전세계 평균 상승률보다 세 배 가까이 높았습니다.
2021년 독도 인근에서 처음 채집된 참다랑어 알도 지난해에는 동해와 남해 전역에서 관찰됐습니다.
[김현우/국립수산과학원 수산자원연구부 연구관 : "기후 변화의 영향이죠. 해수온 상승에 따라서 또 해양 생물의 분포라든지 풍도(풍부도) 변화도 같이 일어나고 있습니다."]
해가 갈수록 폭염의 기세가 맹렬해지고 있는 상황, 뜨거워진 한반도 주변 바다의 어족 자원에도 큰 변화가 일어나고 있습니다.
KBS 뉴스 김도훈입니다.
촬영:이상호/영상편집:김무주/그래픽:김미령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동해안 몰려온 참다랑어떼…폭염이 바꾼 바다
-
- 입력 2025-07-09 19:35:55
- 수정2025-07-09 19:41:32

[앵커]
흔히 참치로 불리는 참다랑어는 값이 비싼 고급 어종이죠.
몇 년전부터 경북 동해안에서 잡히기 시작하더니, 최근엔 하루 수백 마리씩이 올라오고 있습니다.
어떤 이유에선지, 김도훈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야간 조업을 마친 정치망 어선들이 돌아오는 항구.
어른 몸집보다 큰 참다랑어, 참치가 크레인에 매달려 있습니다.
한 마리에 수백만 원에 이르지만, 그냥 버려야 합니다.
항구 한쪽엔 이미 죽은 참치 수백 마리가 쌓여 있습니다.
[김종구/강구항 현장 소장 : "이 고기를 전량 폐기한다니 어민들은 속에 불이 나죠. 돈으로 환산하면 수억 원대입니다, 수억 원대."]
참다랑어는 어종 보호를 위해 국가별 어획량이 정해져 있는데, 올해 경북 영덕과 포항에 할당된 어획량 53톤이 이미 찼기 때문입니다.
전날엔 천3백여 마리가 잡혔는데, 대부분 정치망 그물에 걸려 죽은 것들입니다.
[방윤석/어선 선장 : "날씨가 이상기온 때문에 날이 따뜻하니까 물 수온이 뜨거워지니까 열대성 고기가 많이 오잖아요. 참치가 이렇게 많이 들어온 적이 없거든요."]
실제로 동해의 표층 수온은 1968년 이후 2.04도나 올라 전세계 평균 상승률보다 세 배 가까이 높았습니다.
2021년 독도 인근에서 처음 채집된 참다랑어 알도 지난해에는 동해와 남해 전역에서 관찰됐습니다.
[김현우/국립수산과학원 수산자원연구부 연구관 : "기후 변화의 영향이죠. 해수온 상승에 따라서 또 해양 생물의 분포라든지 풍도(풍부도) 변화도 같이 일어나고 있습니다."]
해가 갈수록 폭염의 기세가 맹렬해지고 있는 상황, 뜨거워진 한반도 주변 바다의 어족 자원에도 큰 변화가 일어나고 있습니다.
KBS 뉴스 김도훈입니다.
촬영:이상호/영상편집:김무주/그래픽:김미령
흔히 참치로 불리는 참다랑어는 값이 비싼 고급 어종이죠.
몇 년전부터 경북 동해안에서 잡히기 시작하더니, 최근엔 하루 수백 마리씩이 올라오고 있습니다.
어떤 이유에선지, 김도훈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야간 조업을 마친 정치망 어선들이 돌아오는 항구.
어른 몸집보다 큰 참다랑어, 참치가 크레인에 매달려 있습니다.
한 마리에 수백만 원에 이르지만, 그냥 버려야 합니다.
항구 한쪽엔 이미 죽은 참치 수백 마리가 쌓여 있습니다.
[김종구/강구항 현장 소장 : "이 고기를 전량 폐기한다니 어민들은 속에 불이 나죠. 돈으로 환산하면 수억 원대입니다, 수억 원대."]
참다랑어는 어종 보호를 위해 국가별 어획량이 정해져 있는데, 올해 경북 영덕과 포항에 할당된 어획량 53톤이 이미 찼기 때문입니다.
전날엔 천3백여 마리가 잡혔는데, 대부분 정치망 그물에 걸려 죽은 것들입니다.
[방윤석/어선 선장 : "날씨가 이상기온 때문에 날이 따뜻하니까 물 수온이 뜨거워지니까 열대성 고기가 많이 오잖아요. 참치가 이렇게 많이 들어온 적이 없거든요."]
실제로 동해의 표층 수온은 1968년 이후 2.04도나 올라 전세계 평균 상승률보다 세 배 가까이 높았습니다.
2021년 독도 인근에서 처음 채집된 참다랑어 알도 지난해에는 동해와 남해 전역에서 관찰됐습니다.
[김현우/국립수산과학원 수산자원연구부 연구관 : "기후 변화의 영향이죠. 해수온 상승에 따라서 또 해양 생물의 분포라든지 풍도(풍부도) 변화도 같이 일어나고 있습니다."]
해가 갈수록 폭염의 기세가 맹렬해지고 있는 상황, 뜨거워진 한반도 주변 바다의 어족 자원에도 큰 변화가 일어나고 있습니다.
KBS 뉴스 김도훈입니다.
촬영:이상호/영상편집:김무주/그래픽:김미령
-
-
김도훈 기자 kinchy@kbs.co.kr
김도훈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