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드 이슈] “‘쿵쿵’하더니 죽었다”…케냐판 박종철에 민심 폭발
입력 2025.07.10 (15:29)
수정 2025.07.10 (16:06)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탁' 치니 '억'하고 죽었다.
고 박종철 고문치사 사건은 1987년 대한민국 민주화 운동의 중요한 전환점이 된 비극적인 사건인데요.
동부 아프리카 케냐에서 최근 비슷한 사건이 벌어져 반정부 시위가 격화되고 있습니다.
월드 이슈에서 이랑 기자와 함께 자세히 짚어보겠습니다.
케냐서도 비슷한 일이 벌어졌다니, 누군가 고문 끝에 죽임을 당했다는 건가요?
[기자]
'케냐판 박종철 고문치사'라고 불릴만한 이번 사건, 중심에는 31살 앨버트 오즈왕이 있습니다.
교사이자 블로거인데요.
여느 때처럼 SNS에 글을 올린 오즈왕은 한 달 전쯤인 지난달 6일, 케냐 경찰에 긴급 체포됐습니다.
경찰 관계자와 정부를 비판하는 게시물을 올린 것이 화근이 됐는데요.
경찰은 이걸 "허위 출판물을 발행한" 혐의 등으로 보고 오즈왕을 체포한 뒤 구금했습니다.
하지만 나이로비로 이송된 오즈왕은 불과 이틀 뒤 머리에 큰 상처가 나서 주검으로 돌아왔습니다.
경찰은 오즈왕이 "머리를 스스로 쿵쿵 벽에 들이받더니 숨졌다"고 발표했는데요.
이대로라면 오즈왕이 구금 중에 극단적인 선택을 한 것으로 끝이 날 뻔했는데, 반전이 일어났습니다.
부검을 담당한 의사의 보고서가 유출된 겁니다.
여기엔 오즈왕의 시신에서 둔기 충격과 경추 압박 등 폭행을 시사하는 상처가 발견됐다고 적혀있었습니다.
경찰이 사인을 자살로 날조했다는 결정적 증거가 나온 겁니다.
[앵커]
정말 고 박종철 고문치사 사건과 비슷한 점이 많군요.
당시 우리 국민들 공분이 치솟았었는데, 케냐는 어떻습니까?
[기자]
네 당시 서울대 재학 중이던 박종철 학생이 경찰의 고문으로 숨진 사실이 밝혀지면서, 1987년 6월 민주항쟁의 도화선이 됐었잖아요.
케냐 역시 '오즈왕 고문치사 사건'으로 민심이 들끓고 있습니다.
[엡나 응구미/오즈왕의 친구 : "정의가 실현될 때까지 우리는 쉬지 않을 것입니다. 우리는 여전히 7월 7일 (7·7 시위 기념일)을 기념하고 있다는 것을 기억하십시오. 우리는 앨버트 오즈왕을 위해 7월 7일을 지낼 것입니다."]
오즈왕의 장례식이 있던 날, 그의 가족과 친구뿐 아니라 수천 명의 시민들이 그를 추모하기 위해 모였는데요.
특히 모인 사람 대부분이 오즈왕의 또래인 1990년대 중후반부터 2000년대 초반생, 그러니까 Z세대였습니다.
젊은이들은 공권력 남용, 정부의 무책임함에 대해 한목소리로 규탄했는데요.
이들의 분노는 사실 몇 년 전부터 차곡차곡 쌓여왔습니다.
최근 몇 년 동안 케냐에서는 실업, 물가 상승 문제 등으로 정부에 대한 국민의 분노가 커진 상태였는데요.
그런데 케냐 정부가 여기에 불을 붙였습니다.
지난해 세금을 올리겠다고 나선 건데요.
화가 난 Z세대들을 중심으로 6월부터 7월까지 대규모 집회가 열렸고, 이때 최소 64명이 숨지고 20명이 실종됐습니다.
그런데 딱 1년여 만에 오즈왕 고문치사 사건이 벌어진 겁니다.
[앵커]
반정부 시위 1주기가 되는 데다, 오즈왕 사건까지 벌어졌으니 성난 시민들이 가만있지 않았겠어요?
[기자]
그렇습니다.
시간이 흘렀지만 국민의 목소리를 외면하는 정부에 대해, 시민들은 다시 한번 정의와 책임을 요구하는 시위를 시작했는데요.
[후세인 칼레드/인권활동가 : "우리는 마슈자(영웅)들을 위한 정의를 요구하기 위해 이 자리에 모였습니다. 지난해 64명의 케냐인이 잔인하게 살해당했습니다. 지금까지 단 한 명의 경찰관도 처벌받지 않았습니다. 그래서 오늘 우리는 정의를 요구하기 위해 이 자리에 모였습니다."]
하지만 경찰은 최루탄은 물론 채찍과 총까지 들고 강경 진압에 나섰는데요.
6월 시위에서만 또다시 16명이 숨지고 수백 명이 다쳤습니다.
특히 이 시위에서는 22살 청년이 근거리에서 경찰이 쏜 총에 맞아 숨지는 일까지 발생했는데요.
결국 7월 7일, 성난 민심이 케냐 전역에서 폭발했습니다.
7월 7일은 1990년 케냐 나이로비 시민들이 자유로운 선거를 요구하며 대규모 시위를 벌였던 역사적인 날인데요.
스와힐리어로 숫자 7이 사바라서, 사바사바 기념일로 불립니다.
케냐 당국이 사바사바 기념일에 집회를 막으려고 사실상 나이로비를 봉쇄했는데도, 시위는 곳곳에서 열렸고요.
이번에도 정부는 폭력적 진압에 나서 최소 11명이 숨지고 560여 명이 체포됐습니다.
[앵커]
이대로라면 반정부 시위가 쉽게 가라앉지 않을 것 같은데, 앞으로 상황은 어떻게 될까요?
[기자]
현재 케냐 정부는 시위대를 강경하게 진압하고 있지만, 케냐인들의 분노는 쉽게 가라앉지 않을 것으로 보입니다.
특히 청년층을 중심으로 한 반정부 시위의 동력이 강하기 때문인데요.
지난달에 이미 16명이 숨졌고, 이번 사바사바 시위에서도 최소 11명이 숨졌습니다.
경찰의 무자비한 진압 과정에서 인명 피해가 커지는 것이 오히려 더 큰 저항을 불러올 가능성이 높습니다.
UN은 이미 케냐 정부의 인권 탄압에 대한 우려를 표명하고 있는데요.
[윌리엄 루토/케냐 대통령 : "그들(경찰)이 (시위하는) 사람을 죽이진 말아야겠지만 다리에 총을 쏘고, 분질러서 병원에 가게 하고 그 뒤 법정에 출두하게 해야 합니다."]
보신 것처럼 루토 케냐 대통령은 시위대를 폭도로 보고 앞으로도 강경 대응할 것을 예고하면서, 케냐 정세는 극으로 치닫고 있습니다.
영상편집:김주은 이은빈/자료조사:권애림/영상출처:TUKO.co.ke
'탁' 치니 '억'하고 죽었다.
고 박종철 고문치사 사건은 1987년 대한민국 민주화 운동의 중요한 전환점이 된 비극적인 사건인데요.
동부 아프리카 케냐에서 최근 비슷한 사건이 벌어져 반정부 시위가 격화되고 있습니다.
월드 이슈에서 이랑 기자와 함께 자세히 짚어보겠습니다.
케냐서도 비슷한 일이 벌어졌다니, 누군가 고문 끝에 죽임을 당했다는 건가요?
[기자]
'케냐판 박종철 고문치사'라고 불릴만한 이번 사건, 중심에는 31살 앨버트 오즈왕이 있습니다.
교사이자 블로거인데요.
여느 때처럼 SNS에 글을 올린 오즈왕은 한 달 전쯤인 지난달 6일, 케냐 경찰에 긴급 체포됐습니다.
경찰 관계자와 정부를 비판하는 게시물을 올린 것이 화근이 됐는데요.
경찰은 이걸 "허위 출판물을 발행한" 혐의 등으로 보고 오즈왕을 체포한 뒤 구금했습니다.
하지만 나이로비로 이송된 오즈왕은 불과 이틀 뒤 머리에 큰 상처가 나서 주검으로 돌아왔습니다.
경찰은 오즈왕이 "머리를 스스로 쿵쿵 벽에 들이받더니 숨졌다"고 발표했는데요.
이대로라면 오즈왕이 구금 중에 극단적인 선택을 한 것으로 끝이 날 뻔했는데, 반전이 일어났습니다.
부검을 담당한 의사의 보고서가 유출된 겁니다.
여기엔 오즈왕의 시신에서 둔기 충격과 경추 압박 등 폭행을 시사하는 상처가 발견됐다고 적혀있었습니다.
경찰이 사인을 자살로 날조했다는 결정적 증거가 나온 겁니다.
[앵커]
정말 고 박종철 고문치사 사건과 비슷한 점이 많군요.
당시 우리 국민들 공분이 치솟았었는데, 케냐는 어떻습니까?
[기자]
네 당시 서울대 재학 중이던 박종철 학생이 경찰의 고문으로 숨진 사실이 밝혀지면서, 1987년 6월 민주항쟁의 도화선이 됐었잖아요.
케냐 역시 '오즈왕 고문치사 사건'으로 민심이 들끓고 있습니다.
[엡나 응구미/오즈왕의 친구 : "정의가 실현될 때까지 우리는 쉬지 않을 것입니다. 우리는 여전히 7월 7일 (7·7 시위 기념일)을 기념하고 있다는 것을 기억하십시오. 우리는 앨버트 오즈왕을 위해 7월 7일을 지낼 것입니다."]
오즈왕의 장례식이 있던 날, 그의 가족과 친구뿐 아니라 수천 명의 시민들이 그를 추모하기 위해 모였는데요.
특히 모인 사람 대부분이 오즈왕의 또래인 1990년대 중후반부터 2000년대 초반생, 그러니까 Z세대였습니다.
젊은이들은 공권력 남용, 정부의 무책임함에 대해 한목소리로 규탄했는데요.
이들의 분노는 사실 몇 년 전부터 차곡차곡 쌓여왔습니다.
최근 몇 년 동안 케냐에서는 실업, 물가 상승 문제 등으로 정부에 대한 국민의 분노가 커진 상태였는데요.
그런데 케냐 정부가 여기에 불을 붙였습니다.
지난해 세금을 올리겠다고 나선 건데요.
화가 난 Z세대들을 중심으로 6월부터 7월까지 대규모 집회가 열렸고, 이때 최소 64명이 숨지고 20명이 실종됐습니다.
그런데 딱 1년여 만에 오즈왕 고문치사 사건이 벌어진 겁니다.
[앵커]
반정부 시위 1주기가 되는 데다, 오즈왕 사건까지 벌어졌으니 성난 시민들이 가만있지 않았겠어요?
[기자]
그렇습니다.
시간이 흘렀지만 국민의 목소리를 외면하는 정부에 대해, 시민들은 다시 한번 정의와 책임을 요구하는 시위를 시작했는데요.
[후세인 칼레드/인권활동가 : "우리는 마슈자(영웅)들을 위한 정의를 요구하기 위해 이 자리에 모였습니다. 지난해 64명의 케냐인이 잔인하게 살해당했습니다. 지금까지 단 한 명의 경찰관도 처벌받지 않았습니다. 그래서 오늘 우리는 정의를 요구하기 위해 이 자리에 모였습니다."]
하지만 경찰은 최루탄은 물론 채찍과 총까지 들고 강경 진압에 나섰는데요.
6월 시위에서만 또다시 16명이 숨지고 수백 명이 다쳤습니다.
특히 이 시위에서는 22살 청년이 근거리에서 경찰이 쏜 총에 맞아 숨지는 일까지 발생했는데요.
결국 7월 7일, 성난 민심이 케냐 전역에서 폭발했습니다.
7월 7일은 1990년 케냐 나이로비 시민들이 자유로운 선거를 요구하며 대규모 시위를 벌였던 역사적인 날인데요.
스와힐리어로 숫자 7이 사바라서, 사바사바 기념일로 불립니다.
케냐 당국이 사바사바 기념일에 집회를 막으려고 사실상 나이로비를 봉쇄했는데도, 시위는 곳곳에서 열렸고요.
이번에도 정부는 폭력적 진압에 나서 최소 11명이 숨지고 560여 명이 체포됐습니다.
[앵커]
이대로라면 반정부 시위가 쉽게 가라앉지 않을 것 같은데, 앞으로 상황은 어떻게 될까요?
[기자]
현재 케냐 정부는 시위대를 강경하게 진압하고 있지만, 케냐인들의 분노는 쉽게 가라앉지 않을 것으로 보입니다.
특히 청년층을 중심으로 한 반정부 시위의 동력이 강하기 때문인데요.
지난달에 이미 16명이 숨졌고, 이번 사바사바 시위에서도 최소 11명이 숨졌습니다.
경찰의 무자비한 진압 과정에서 인명 피해가 커지는 것이 오히려 더 큰 저항을 불러올 가능성이 높습니다.
UN은 이미 케냐 정부의 인권 탄압에 대한 우려를 표명하고 있는데요.
[윌리엄 루토/케냐 대통령 : "그들(경찰)이 (시위하는) 사람을 죽이진 말아야겠지만 다리에 총을 쏘고, 분질러서 병원에 가게 하고 그 뒤 법정에 출두하게 해야 합니다."]
보신 것처럼 루토 케냐 대통령은 시위대를 폭도로 보고 앞으로도 강경 대응할 것을 예고하면서, 케냐 정세는 극으로 치닫고 있습니다.
영상편집:김주은 이은빈/자료조사:권애림/영상출처:TUKO.co.ke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월드 이슈] “‘쿵쿵’하더니 죽었다”…케냐판 박종철에 민심 폭발
-
- 입력 2025-07-10 15:29:38
- 수정2025-07-10 16:06:53

[앵커]
'탁' 치니 '억'하고 죽었다.
고 박종철 고문치사 사건은 1987년 대한민국 민주화 운동의 중요한 전환점이 된 비극적인 사건인데요.
동부 아프리카 케냐에서 최근 비슷한 사건이 벌어져 반정부 시위가 격화되고 있습니다.
월드 이슈에서 이랑 기자와 함께 자세히 짚어보겠습니다.
케냐서도 비슷한 일이 벌어졌다니, 누군가 고문 끝에 죽임을 당했다는 건가요?
[기자]
'케냐판 박종철 고문치사'라고 불릴만한 이번 사건, 중심에는 31살 앨버트 오즈왕이 있습니다.
교사이자 블로거인데요.
여느 때처럼 SNS에 글을 올린 오즈왕은 한 달 전쯤인 지난달 6일, 케냐 경찰에 긴급 체포됐습니다.
경찰 관계자와 정부를 비판하는 게시물을 올린 것이 화근이 됐는데요.
경찰은 이걸 "허위 출판물을 발행한" 혐의 등으로 보고 오즈왕을 체포한 뒤 구금했습니다.
하지만 나이로비로 이송된 오즈왕은 불과 이틀 뒤 머리에 큰 상처가 나서 주검으로 돌아왔습니다.
경찰은 오즈왕이 "머리를 스스로 쿵쿵 벽에 들이받더니 숨졌다"고 발표했는데요.
이대로라면 오즈왕이 구금 중에 극단적인 선택을 한 것으로 끝이 날 뻔했는데, 반전이 일어났습니다.
부검을 담당한 의사의 보고서가 유출된 겁니다.
여기엔 오즈왕의 시신에서 둔기 충격과 경추 압박 등 폭행을 시사하는 상처가 발견됐다고 적혀있었습니다.
경찰이 사인을 자살로 날조했다는 결정적 증거가 나온 겁니다.
[앵커]
정말 고 박종철 고문치사 사건과 비슷한 점이 많군요.
당시 우리 국민들 공분이 치솟았었는데, 케냐는 어떻습니까?
[기자]
네 당시 서울대 재학 중이던 박종철 학생이 경찰의 고문으로 숨진 사실이 밝혀지면서, 1987년 6월 민주항쟁의 도화선이 됐었잖아요.
케냐 역시 '오즈왕 고문치사 사건'으로 민심이 들끓고 있습니다.
[엡나 응구미/오즈왕의 친구 : "정의가 실현될 때까지 우리는 쉬지 않을 것입니다. 우리는 여전히 7월 7일 (7·7 시위 기념일)을 기념하고 있다는 것을 기억하십시오. 우리는 앨버트 오즈왕을 위해 7월 7일을 지낼 것입니다."]
오즈왕의 장례식이 있던 날, 그의 가족과 친구뿐 아니라 수천 명의 시민들이 그를 추모하기 위해 모였는데요.
특히 모인 사람 대부분이 오즈왕의 또래인 1990년대 중후반부터 2000년대 초반생, 그러니까 Z세대였습니다.
젊은이들은 공권력 남용, 정부의 무책임함에 대해 한목소리로 규탄했는데요.
이들의 분노는 사실 몇 년 전부터 차곡차곡 쌓여왔습니다.
최근 몇 년 동안 케냐에서는 실업, 물가 상승 문제 등으로 정부에 대한 국민의 분노가 커진 상태였는데요.
그런데 케냐 정부가 여기에 불을 붙였습니다.
지난해 세금을 올리겠다고 나선 건데요.
화가 난 Z세대들을 중심으로 6월부터 7월까지 대규모 집회가 열렸고, 이때 최소 64명이 숨지고 20명이 실종됐습니다.
그런데 딱 1년여 만에 오즈왕 고문치사 사건이 벌어진 겁니다.
[앵커]
반정부 시위 1주기가 되는 데다, 오즈왕 사건까지 벌어졌으니 성난 시민들이 가만있지 않았겠어요?
[기자]
그렇습니다.
시간이 흘렀지만 국민의 목소리를 외면하는 정부에 대해, 시민들은 다시 한번 정의와 책임을 요구하는 시위를 시작했는데요.
[후세인 칼레드/인권활동가 : "우리는 마슈자(영웅)들을 위한 정의를 요구하기 위해 이 자리에 모였습니다. 지난해 64명의 케냐인이 잔인하게 살해당했습니다. 지금까지 단 한 명의 경찰관도 처벌받지 않았습니다. 그래서 오늘 우리는 정의를 요구하기 위해 이 자리에 모였습니다."]
하지만 경찰은 최루탄은 물론 채찍과 총까지 들고 강경 진압에 나섰는데요.
6월 시위에서만 또다시 16명이 숨지고 수백 명이 다쳤습니다.
특히 이 시위에서는 22살 청년이 근거리에서 경찰이 쏜 총에 맞아 숨지는 일까지 발생했는데요.
결국 7월 7일, 성난 민심이 케냐 전역에서 폭발했습니다.
7월 7일은 1990년 케냐 나이로비 시민들이 자유로운 선거를 요구하며 대규모 시위를 벌였던 역사적인 날인데요.
스와힐리어로 숫자 7이 사바라서, 사바사바 기념일로 불립니다.
케냐 당국이 사바사바 기념일에 집회를 막으려고 사실상 나이로비를 봉쇄했는데도, 시위는 곳곳에서 열렸고요.
이번에도 정부는 폭력적 진압에 나서 최소 11명이 숨지고 560여 명이 체포됐습니다.
[앵커]
이대로라면 반정부 시위가 쉽게 가라앉지 않을 것 같은데, 앞으로 상황은 어떻게 될까요?
[기자]
현재 케냐 정부는 시위대를 강경하게 진압하고 있지만, 케냐인들의 분노는 쉽게 가라앉지 않을 것으로 보입니다.
특히 청년층을 중심으로 한 반정부 시위의 동력이 강하기 때문인데요.
지난달에 이미 16명이 숨졌고, 이번 사바사바 시위에서도 최소 11명이 숨졌습니다.
경찰의 무자비한 진압 과정에서 인명 피해가 커지는 것이 오히려 더 큰 저항을 불러올 가능성이 높습니다.
UN은 이미 케냐 정부의 인권 탄압에 대한 우려를 표명하고 있는데요.
[윌리엄 루토/케냐 대통령 : "그들(경찰)이 (시위하는) 사람을 죽이진 말아야겠지만 다리에 총을 쏘고, 분질러서 병원에 가게 하고 그 뒤 법정에 출두하게 해야 합니다."]
보신 것처럼 루토 케냐 대통령은 시위대를 폭도로 보고 앞으로도 강경 대응할 것을 예고하면서, 케냐 정세는 극으로 치닫고 있습니다.
영상편집:김주은 이은빈/자료조사:권애림/영상출처:TUKO.co.ke
'탁' 치니 '억'하고 죽었다.
고 박종철 고문치사 사건은 1987년 대한민국 민주화 운동의 중요한 전환점이 된 비극적인 사건인데요.
동부 아프리카 케냐에서 최근 비슷한 사건이 벌어져 반정부 시위가 격화되고 있습니다.
월드 이슈에서 이랑 기자와 함께 자세히 짚어보겠습니다.
케냐서도 비슷한 일이 벌어졌다니, 누군가 고문 끝에 죽임을 당했다는 건가요?
[기자]
'케냐판 박종철 고문치사'라고 불릴만한 이번 사건, 중심에는 31살 앨버트 오즈왕이 있습니다.
교사이자 블로거인데요.
여느 때처럼 SNS에 글을 올린 오즈왕은 한 달 전쯤인 지난달 6일, 케냐 경찰에 긴급 체포됐습니다.
경찰 관계자와 정부를 비판하는 게시물을 올린 것이 화근이 됐는데요.
경찰은 이걸 "허위 출판물을 발행한" 혐의 등으로 보고 오즈왕을 체포한 뒤 구금했습니다.
하지만 나이로비로 이송된 오즈왕은 불과 이틀 뒤 머리에 큰 상처가 나서 주검으로 돌아왔습니다.
경찰은 오즈왕이 "머리를 스스로 쿵쿵 벽에 들이받더니 숨졌다"고 발표했는데요.
이대로라면 오즈왕이 구금 중에 극단적인 선택을 한 것으로 끝이 날 뻔했는데, 반전이 일어났습니다.
부검을 담당한 의사의 보고서가 유출된 겁니다.
여기엔 오즈왕의 시신에서 둔기 충격과 경추 압박 등 폭행을 시사하는 상처가 발견됐다고 적혀있었습니다.
경찰이 사인을 자살로 날조했다는 결정적 증거가 나온 겁니다.
[앵커]
정말 고 박종철 고문치사 사건과 비슷한 점이 많군요.
당시 우리 국민들 공분이 치솟았었는데, 케냐는 어떻습니까?
[기자]
네 당시 서울대 재학 중이던 박종철 학생이 경찰의 고문으로 숨진 사실이 밝혀지면서, 1987년 6월 민주항쟁의 도화선이 됐었잖아요.
케냐 역시 '오즈왕 고문치사 사건'으로 민심이 들끓고 있습니다.
[엡나 응구미/오즈왕의 친구 : "정의가 실현될 때까지 우리는 쉬지 않을 것입니다. 우리는 여전히 7월 7일 (7·7 시위 기념일)을 기념하고 있다는 것을 기억하십시오. 우리는 앨버트 오즈왕을 위해 7월 7일을 지낼 것입니다."]
오즈왕의 장례식이 있던 날, 그의 가족과 친구뿐 아니라 수천 명의 시민들이 그를 추모하기 위해 모였는데요.
특히 모인 사람 대부분이 오즈왕의 또래인 1990년대 중후반부터 2000년대 초반생, 그러니까 Z세대였습니다.
젊은이들은 공권력 남용, 정부의 무책임함에 대해 한목소리로 규탄했는데요.
이들의 분노는 사실 몇 년 전부터 차곡차곡 쌓여왔습니다.
최근 몇 년 동안 케냐에서는 실업, 물가 상승 문제 등으로 정부에 대한 국민의 분노가 커진 상태였는데요.
그런데 케냐 정부가 여기에 불을 붙였습니다.
지난해 세금을 올리겠다고 나선 건데요.
화가 난 Z세대들을 중심으로 6월부터 7월까지 대규모 집회가 열렸고, 이때 최소 64명이 숨지고 20명이 실종됐습니다.
그런데 딱 1년여 만에 오즈왕 고문치사 사건이 벌어진 겁니다.
[앵커]
반정부 시위 1주기가 되는 데다, 오즈왕 사건까지 벌어졌으니 성난 시민들이 가만있지 않았겠어요?
[기자]
그렇습니다.
시간이 흘렀지만 국민의 목소리를 외면하는 정부에 대해, 시민들은 다시 한번 정의와 책임을 요구하는 시위를 시작했는데요.
[후세인 칼레드/인권활동가 : "우리는 마슈자(영웅)들을 위한 정의를 요구하기 위해 이 자리에 모였습니다. 지난해 64명의 케냐인이 잔인하게 살해당했습니다. 지금까지 단 한 명의 경찰관도 처벌받지 않았습니다. 그래서 오늘 우리는 정의를 요구하기 위해 이 자리에 모였습니다."]
하지만 경찰은 최루탄은 물론 채찍과 총까지 들고 강경 진압에 나섰는데요.
6월 시위에서만 또다시 16명이 숨지고 수백 명이 다쳤습니다.
특히 이 시위에서는 22살 청년이 근거리에서 경찰이 쏜 총에 맞아 숨지는 일까지 발생했는데요.
결국 7월 7일, 성난 민심이 케냐 전역에서 폭발했습니다.
7월 7일은 1990년 케냐 나이로비 시민들이 자유로운 선거를 요구하며 대규모 시위를 벌였던 역사적인 날인데요.
스와힐리어로 숫자 7이 사바라서, 사바사바 기념일로 불립니다.
케냐 당국이 사바사바 기념일에 집회를 막으려고 사실상 나이로비를 봉쇄했는데도, 시위는 곳곳에서 열렸고요.
이번에도 정부는 폭력적 진압에 나서 최소 11명이 숨지고 560여 명이 체포됐습니다.
[앵커]
이대로라면 반정부 시위가 쉽게 가라앉지 않을 것 같은데, 앞으로 상황은 어떻게 될까요?
[기자]
현재 케냐 정부는 시위대를 강경하게 진압하고 있지만, 케냐인들의 분노는 쉽게 가라앉지 않을 것으로 보입니다.
특히 청년층을 중심으로 한 반정부 시위의 동력이 강하기 때문인데요.
지난달에 이미 16명이 숨졌고, 이번 사바사바 시위에서도 최소 11명이 숨졌습니다.
경찰의 무자비한 진압 과정에서 인명 피해가 커지는 것이 오히려 더 큰 저항을 불러올 가능성이 높습니다.
UN은 이미 케냐 정부의 인권 탄압에 대한 우려를 표명하고 있는데요.
[윌리엄 루토/케냐 대통령 : "그들(경찰)이 (시위하는) 사람을 죽이진 말아야겠지만 다리에 총을 쏘고, 분질러서 병원에 가게 하고 그 뒤 법정에 출두하게 해야 합니다."]
보신 것처럼 루토 케냐 대통령은 시위대를 폭도로 보고 앞으로도 강경 대응할 것을 예고하면서, 케냐 정세는 극으로 치닫고 있습니다.
영상편집:김주은 이은빈/자료조사:권애림/영상출처:TUKO.co.ke
-
-
이랑 기자 herb@kbs.co.kr
이랑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