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마을 문화 유산, 더 가까이 즐겨요!
입력 2025.07.11 (19:35)
수정 2025.07.11 (19:42)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마을에는 저마다의 역사와 특색을 지닌 문화유산들이 많습니다.
아쉬운 점은 갈수록 잊히고 있다는 건데요.
내 고장 문화유산을 다양한 체험으로 더 가까이 즐기는 프로그램이 호응을 얻고 있습니다.
김영준 기자입니다.
[리포트]
손에 손을 잡고 걸어가는 유치원생들.
숲속 공연장에 도착해, 농악 잔치에 빠져듭니다.
강원도 무형유산인 원주매지농악입니다.
아이들이 살고 있는 마을의 이야기로 채워져 있어 금세 친숙해집니다.
[이다율/농악 참가자/7살 : "악기를 가지고 춤을 춰서, 징도 치고 하는 게 재밌었어요."]
흥겨운 농악에 박수를 치고, 장단을 맞추며 내고장 문화의 소중함을 배웁니다.
[강영구/원주매지농악 예능 보유자 : "마당에서도 실제로 캠핑을 해가면서 1박 2일 동안 있으면서 다양한 프로그램을 하기 때문에 굉장히 호응도가 좋고."]
1,400년 역사를 가진 산사에 모처럼 활기가 넘칩니다.
젊은 청년들이 모여 정갈한 마음으로 탑 주위를 돕니다.
강원도 무형유산인 월정사 탑돌이를 직접 체험해 봅니다.
모두 '우리고장 국가유산'을 일상의 교육과 체험, 문화 활동에 접목한 사업입니다.
잊혀져가는 지역 문화를 되살리고, 주민들에게는 소중한 추억이 됩니다.
강원도에선 해마다 30여 개 사업이 마련됩니다.
체험 학습 중심에서 온 가족이 즐기는 문화 사업으로 확장하고 있습니다.
장소도 박물관 등에서 벗어나 가까운 공원과 관광지로도 넓혀갑니다.
[김나영/원주시역사박물관 학예연구사 : "자유롭게 와서 그런 국가유산 관련된 교육을 받을 수 있게 전시 연계 활동지를 저희가 직접 개발해서 어린이와 가족 관람객들이 쉽게 우리 문화유산을 공부할 수 있도록."]
우리 고장의 문화유산을 더 가까이에서 즐기며 주민들의 일상의 즐거움도 커지고 있습니다.
KBS 뉴스 김영준입니다.
촬영기자:홍기석
마을에는 저마다의 역사와 특색을 지닌 문화유산들이 많습니다.
아쉬운 점은 갈수록 잊히고 있다는 건데요.
내 고장 문화유산을 다양한 체험으로 더 가까이 즐기는 프로그램이 호응을 얻고 있습니다.
김영준 기자입니다.
[리포트]
손에 손을 잡고 걸어가는 유치원생들.
숲속 공연장에 도착해, 농악 잔치에 빠져듭니다.
강원도 무형유산인 원주매지농악입니다.
아이들이 살고 있는 마을의 이야기로 채워져 있어 금세 친숙해집니다.
[이다율/농악 참가자/7살 : "악기를 가지고 춤을 춰서, 징도 치고 하는 게 재밌었어요."]
흥겨운 농악에 박수를 치고, 장단을 맞추며 내고장 문화의 소중함을 배웁니다.
[강영구/원주매지농악 예능 보유자 : "마당에서도 실제로 캠핑을 해가면서 1박 2일 동안 있으면서 다양한 프로그램을 하기 때문에 굉장히 호응도가 좋고."]
1,400년 역사를 가진 산사에 모처럼 활기가 넘칩니다.
젊은 청년들이 모여 정갈한 마음으로 탑 주위를 돕니다.
강원도 무형유산인 월정사 탑돌이를 직접 체험해 봅니다.
모두 '우리고장 국가유산'을 일상의 교육과 체험, 문화 활동에 접목한 사업입니다.
잊혀져가는 지역 문화를 되살리고, 주민들에게는 소중한 추억이 됩니다.
강원도에선 해마다 30여 개 사업이 마련됩니다.
체험 학습 중심에서 온 가족이 즐기는 문화 사업으로 확장하고 있습니다.
장소도 박물관 등에서 벗어나 가까운 공원과 관광지로도 넓혀갑니다.
[김나영/원주시역사박물관 학예연구사 : "자유롭게 와서 그런 국가유산 관련된 교육을 받을 수 있게 전시 연계 활동지를 저희가 직접 개발해서 어린이와 가족 관람객들이 쉽게 우리 문화유산을 공부할 수 있도록."]
우리 고장의 문화유산을 더 가까이에서 즐기며 주민들의 일상의 즐거움도 커지고 있습니다.
KBS 뉴스 김영준입니다.
촬영기자:홍기석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우리 마을 문화 유산, 더 가까이 즐겨요!
-
- 입력 2025-07-11 19:35:45
- 수정2025-07-11 19:42:01

[앵커]
마을에는 저마다의 역사와 특색을 지닌 문화유산들이 많습니다.
아쉬운 점은 갈수록 잊히고 있다는 건데요.
내 고장 문화유산을 다양한 체험으로 더 가까이 즐기는 프로그램이 호응을 얻고 있습니다.
김영준 기자입니다.
[리포트]
손에 손을 잡고 걸어가는 유치원생들.
숲속 공연장에 도착해, 농악 잔치에 빠져듭니다.
강원도 무형유산인 원주매지농악입니다.
아이들이 살고 있는 마을의 이야기로 채워져 있어 금세 친숙해집니다.
[이다율/농악 참가자/7살 : "악기를 가지고 춤을 춰서, 징도 치고 하는 게 재밌었어요."]
흥겨운 농악에 박수를 치고, 장단을 맞추며 내고장 문화의 소중함을 배웁니다.
[강영구/원주매지농악 예능 보유자 : "마당에서도 실제로 캠핑을 해가면서 1박 2일 동안 있으면서 다양한 프로그램을 하기 때문에 굉장히 호응도가 좋고."]
1,400년 역사를 가진 산사에 모처럼 활기가 넘칩니다.
젊은 청년들이 모여 정갈한 마음으로 탑 주위를 돕니다.
강원도 무형유산인 월정사 탑돌이를 직접 체험해 봅니다.
모두 '우리고장 국가유산'을 일상의 교육과 체험, 문화 활동에 접목한 사업입니다.
잊혀져가는 지역 문화를 되살리고, 주민들에게는 소중한 추억이 됩니다.
강원도에선 해마다 30여 개 사업이 마련됩니다.
체험 학습 중심에서 온 가족이 즐기는 문화 사업으로 확장하고 있습니다.
장소도 박물관 등에서 벗어나 가까운 공원과 관광지로도 넓혀갑니다.
[김나영/원주시역사박물관 학예연구사 : "자유롭게 와서 그런 국가유산 관련된 교육을 받을 수 있게 전시 연계 활동지를 저희가 직접 개발해서 어린이와 가족 관람객들이 쉽게 우리 문화유산을 공부할 수 있도록."]
우리 고장의 문화유산을 더 가까이에서 즐기며 주민들의 일상의 즐거움도 커지고 있습니다.
KBS 뉴스 김영준입니다.
촬영기자:홍기석
마을에는 저마다의 역사와 특색을 지닌 문화유산들이 많습니다.
아쉬운 점은 갈수록 잊히고 있다는 건데요.
내 고장 문화유산을 다양한 체험으로 더 가까이 즐기는 프로그램이 호응을 얻고 있습니다.
김영준 기자입니다.
[리포트]
손에 손을 잡고 걸어가는 유치원생들.
숲속 공연장에 도착해, 농악 잔치에 빠져듭니다.
강원도 무형유산인 원주매지농악입니다.
아이들이 살고 있는 마을의 이야기로 채워져 있어 금세 친숙해집니다.
[이다율/농악 참가자/7살 : "악기를 가지고 춤을 춰서, 징도 치고 하는 게 재밌었어요."]
흥겨운 농악에 박수를 치고, 장단을 맞추며 내고장 문화의 소중함을 배웁니다.
[강영구/원주매지농악 예능 보유자 : "마당에서도 실제로 캠핑을 해가면서 1박 2일 동안 있으면서 다양한 프로그램을 하기 때문에 굉장히 호응도가 좋고."]
1,400년 역사를 가진 산사에 모처럼 활기가 넘칩니다.
젊은 청년들이 모여 정갈한 마음으로 탑 주위를 돕니다.
강원도 무형유산인 월정사 탑돌이를 직접 체험해 봅니다.
모두 '우리고장 국가유산'을 일상의 교육과 체험, 문화 활동에 접목한 사업입니다.
잊혀져가는 지역 문화를 되살리고, 주민들에게는 소중한 추억이 됩니다.
강원도에선 해마다 30여 개 사업이 마련됩니다.
체험 학습 중심에서 온 가족이 즐기는 문화 사업으로 확장하고 있습니다.
장소도 박물관 등에서 벗어나 가까운 공원과 관광지로도 넓혀갑니다.
[김나영/원주시역사박물관 학예연구사 : "자유롭게 와서 그런 국가유산 관련된 교육을 받을 수 있게 전시 연계 활동지를 저희가 직접 개발해서 어린이와 가족 관람객들이 쉽게 우리 문화유산을 공부할 수 있도록."]
우리 고장의 문화유산을 더 가까이에서 즐기며 주민들의 일상의 즐거움도 커지고 있습니다.
KBS 뉴스 김영준입니다.
촬영기자:홍기석
-
-
김영준 기자 yjkim1@kbs.co.kr
김영준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