빨리 찾아온 폭염…뜨거운 바다에 어민은 ‘속수무책’

입력 2025.07.15 (21:42) 수정 2025.07.15 (21:48)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지난해보다 빨라진 폭염에 수산업계는 그야말로 비상입니다.

올여름 바다 수온이 30도 안팎까지 치솟을 걸로 예상되지만, 어업 현장에선 별다른 대책이 없어 속앓이하고 있습니다.

민소영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매년 이맘때면 은갈치 어선으로 활기차던 항구, 그런데 요즘은 정박해 있는 어선들이 즐비합니다.

출항해 봤자 기름값도 건질 수 없자, 아예 조업을 포기한 겁니다.

올해 유독 제주 앞바다에서 갈치가 자취를 감춰버렸기 때문입니다.

[오종실/성산포 어선주협의회장 : "너무나 갈치 (어장이) 형성이 안 돼서 참, 울면서 출어하지 못하고 있습니다. (바닷물이) 섞여야 고기도 올라오고 수온도 내려갈 건데."]

지난해 기록적 폭염과 높은 바다 수온으로 광어 30톤이 폐사한 양식장, 올해는 다 자라지 않은 광어를 일찍 출하하기로 했습니다.

고수온으로 인한 집단 폐사를 줄이기 위한 고육지책이었습니다.

[김일환/양식업 : "손해가 엄청나죠. 1kg 이상 키워야 정상적인 가격을 받을 텐데. 한참 크는 고기거든요. 고수온에 죽는 것보다 지금 좀 팔아버리는 것이 나을 수도 있다."]

제주 양식업 고수온 피해는 3년 새 20배 가까이 껑충 뛰더니, 지난해엔 53억 원을 찍는 등 해마다 기록을 갈아치우고 있습니다.

어민들은 재해보험에 가입하더라도, 보상액은 실제 피해액의 50% 정도도 안 된다고 호소합니다.

수온이 높아지면, 바닷물에 액화산소를 공급하기도 하지만 어업 현장에선 버겁기만 합니다.

[오동훈/제주어류양식수협 상임이사 : "비용이 약 한 달에 천만 원 이상 들어가다 보니까 경제적으로 이 분(어민)들이 감당하기에는 매우 부담스러워요."]

어느 해보다 일찍 찾아온 폭염, 뜨거워지는 바다를 터전으로 살아가는 어민들의 속은 더 타들어 가고 있습니다.

KBS 뉴스 민소영입니다.

촬영기자고아람/그래픽:문수지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빨리 찾아온 폭염…뜨거운 바다에 어민은 ‘속수무책’
    • 입력 2025-07-15 21:42:41
    • 수정2025-07-15 21:48:23
    뉴스9(제주)
[앵커]

지난해보다 빨라진 폭염에 수산업계는 그야말로 비상입니다.

올여름 바다 수온이 30도 안팎까지 치솟을 걸로 예상되지만, 어업 현장에선 별다른 대책이 없어 속앓이하고 있습니다.

민소영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매년 이맘때면 은갈치 어선으로 활기차던 항구, 그런데 요즘은 정박해 있는 어선들이 즐비합니다.

출항해 봤자 기름값도 건질 수 없자, 아예 조업을 포기한 겁니다.

올해 유독 제주 앞바다에서 갈치가 자취를 감춰버렸기 때문입니다.

[오종실/성산포 어선주협의회장 : "너무나 갈치 (어장이) 형성이 안 돼서 참, 울면서 출어하지 못하고 있습니다. (바닷물이) 섞여야 고기도 올라오고 수온도 내려갈 건데."]

지난해 기록적 폭염과 높은 바다 수온으로 광어 30톤이 폐사한 양식장, 올해는 다 자라지 않은 광어를 일찍 출하하기로 했습니다.

고수온으로 인한 집단 폐사를 줄이기 위한 고육지책이었습니다.

[김일환/양식업 : "손해가 엄청나죠. 1kg 이상 키워야 정상적인 가격을 받을 텐데. 한참 크는 고기거든요. 고수온에 죽는 것보다 지금 좀 팔아버리는 것이 나을 수도 있다."]

제주 양식업 고수온 피해는 3년 새 20배 가까이 껑충 뛰더니, 지난해엔 53억 원을 찍는 등 해마다 기록을 갈아치우고 있습니다.

어민들은 재해보험에 가입하더라도, 보상액은 실제 피해액의 50% 정도도 안 된다고 호소합니다.

수온이 높아지면, 바닷물에 액화산소를 공급하기도 하지만 어업 현장에선 버겁기만 합니다.

[오동훈/제주어류양식수협 상임이사 : "비용이 약 한 달에 천만 원 이상 들어가다 보니까 경제적으로 이 분(어민)들이 감당하기에는 매우 부담스러워요."]

어느 해보다 일찍 찾아온 폭염, 뜨거워지는 바다를 터전으로 살아가는 어민들의 속은 더 타들어 가고 있습니다.

KBS 뉴스 민소영입니다.

촬영기자고아람/그래픽:문수지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제주-주요뉴스

더보기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