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 하원 ‘가상자산 3법’ 통과…스테이블 코인 첫 제도화

입력 2025.07.18 (23:34) 수정 2025.07.18 (23:44)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가상자산 중에 미국 달러 같은 법정 화폐와 가치가 연동되도록 설계된, '스테이블 코인'이 있는데요.

미국 의회가 이 스테이블 코인에 대한 법안을 처음으로 통과시켰습니다.

가상 화폐의 제도권 편입을 인정한다는 뜻입니다.

워싱턴 김경수 특파원이 보도합니다.

[리포트]

상원에 이어 현지 시각 17일 하원까지 통과한 이른바 '지니어스 법'은 '스테이블 코인'의 정의와 발행 절차 등을 담고 있습니다.

허가를 받아야 발행할 수 있고, 달러 같은 법정 화폐의 고정 금액으로 교환되도록 설계해야 한다는 규제를 담고 있지만, 결과적으로 가상 자산을 제도권 영역으로 편입하는 셈입니다.

이번에 하원을 함께 통과하고, 상원 심의를 앞둔 다른 두 법안도 가상자산의 법적 명확성을 더하는 내용입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의원들을 직접 설득하며 가상자산 관련 법안들을 추진해 왔습니다.

[도널드 트럼프/미국 대통령/지난 3월 : "저는 미국을 세계 최고의 비트코인 강국이자 전 세계 가상자산 수도로 만들겠다고 약속했습니다."]

트럼프의 친 가상자산 정책에는 가상자산이 가져올 새로운 시대에도 미국의 금융 패권을 이어가겠다는 의지도 반영됐다는 분석이 나옵니다.

중국이 디지털 위안화를 앞세워 국제 결제망에서 달러 패권에 도전하고 있는 상황도 감안했다는 뜻입니다.

[톰 에머/미국 하원의원/공화당 : "세계 기축통화로서 달러의 지배를 공고히 함으로써 디지털 자산 어젠다의 '아메리카 퍼스트'를 실현하는 법안입니다."]

트럼프는 이번 주를 크립토 위크, 즉, 가상 자산 주간으로도 선포했습니다.

불확실성 해소에 정책 기대감까지 더해져 가상 자산 가격은 전반적으로 오름세를 보였습니다.

워싱턴에서 KBS 뉴스 김경수입니다.

촬영기자:박준석/영상편집:서삼현/자료조사:정지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미 하원 ‘가상자산 3법’ 통과…스테이블 코인 첫 제도화
    • 입력 2025-07-18 23:34:39
    • 수정2025-07-18 23:44:28
    뉴스라인 W
[앵커]

가상자산 중에 미국 달러 같은 법정 화폐와 가치가 연동되도록 설계된, '스테이블 코인'이 있는데요.

미국 의회가 이 스테이블 코인에 대한 법안을 처음으로 통과시켰습니다.

가상 화폐의 제도권 편입을 인정한다는 뜻입니다.

워싱턴 김경수 특파원이 보도합니다.

[리포트]

상원에 이어 현지 시각 17일 하원까지 통과한 이른바 '지니어스 법'은 '스테이블 코인'의 정의와 발행 절차 등을 담고 있습니다.

허가를 받아야 발행할 수 있고, 달러 같은 법정 화폐의 고정 금액으로 교환되도록 설계해야 한다는 규제를 담고 있지만, 결과적으로 가상 자산을 제도권 영역으로 편입하는 셈입니다.

이번에 하원을 함께 통과하고, 상원 심의를 앞둔 다른 두 법안도 가상자산의 법적 명확성을 더하는 내용입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의원들을 직접 설득하며 가상자산 관련 법안들을 추진해 왔습니다.

[도널드 트럼프/미국 대통령/지난 3월 : "저는 미국을 세계 최고의 비트코인 강국이자 전 세계 가상자산 수도로 만들겠다고 약속했습니다."]

트럼프의 친 가상자산 정책에는 가상자산이 가져올 새로운 시대에도 미국의 금융 패권을 이어가겠다는 의지도 반영됐다는 분석이 나옵니다.

중국이 디지털 위안화를 앞세워 국제 결제망에서 달러 패권에 도전하고 있는 상황도 감안했다는 뜻입니다.

[톰 에머/미국 하원의원/공화당 : "세계 기축통화로서 달러의 지배를 공고히 함으로써 디지털 자산 어젠다의 '아메리카 퍼스트'를 실현하는 법안입니다."]

트럼프는 이번 주를 크립토 위크, 즉, 가상 자산 주간으로도 선포했습니다.

불확실성 해소에 정책 기대감까지 더해져 가상 자산 가격은 전반적으로 오름세를 보였습니다.

워싱턴에서 KBS 뉴스 김경수입니다.

촬영기자:박준석/영상편집:서삼현/자료조사:정지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