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비쿠폰 지급 첫날…힘들게 찾아왔지만 상당수는 헛걸음
입력 2025.07.21 (21:51)
수정 2025.07.23 (14:04)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오늘부터 정부의 민생회복 소비쿠폰 신청이 시작됐습니다.
선불카드를 지급하는 행정복지센터에는 문을 열자마자 신청인들이 한꺼번에 몰리며 북새통을 이뤘지만 상당수는 빈손으로 발길을 돌려야 했습니다.
정재훈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복지카드로 소비쿠폰을 받으러 온 고령의 주민에게 행정복지센터 직원이 불가능한 상황을 설명합니다.
["문화누리카드는 안 돼요. 문자 드릴 테니까 그때 오세요."]
결국 빈손으로 발길을 돌릴 수밖에 없습니다.
[송대용/대전시 판암동 : "카드가 없어요. 만들어 놓은 게 하나도 없어요. 사람들도 많고 8월 중순에 해준다니까 그냥 가는 거예요. 나중에 하려고…."]
소비쿠폰 지급 첫 날, 행정복지센터마다 온라인으로 신청이 어려운 고령층과 취약 계층으로 북적였습니다.
[정병호/대전시 관저동 : "(휴대전화로 모바일뱅킹을 평소에 하신 적은?) 아이고 없어요. (어떻게 쓸 줄 모르시니까.) 해본 적이 없어요."]
행정복지센터로 소비쿠폰 신청자가 몰리면서 이렇게 천막까지 마련해 민원을 대응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감당할 수 있는 인원이 넘어서자 이름과 전화번호를 적고 순서를 기다리는 대기표까지 등장했습니다.
출생 연도에 따라 신청일이 다른 것을 모르고 오는 경우도 부지기수.
["43년생이면 여기 수요일에 오셔야 하거든요. 수요일날…."]
더욱이 대전의 경우 지류 상품권이 없어 신용과 체크, 선불카드로만 소비쿠폰을 신청할 수 있는데, 현장에서 받을 수 있는 선불카드는 바닥을 보이고 있습니다.
[정소운/대전 서구 관저2동 주무관 : "선불카드가 많이 부족한 상황이어서 다른 체크, 신용카드 등으로 안내를 많이 유도하고 있습니다."]
소비쿠폰 첫날부터 곳곳에서 혼란이 빚어지면서 정보 취약계층에 대한 지급 방식이 개선되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습니다.
KBS 뉴스 정재훈입니다.
촬영기자:강욱현
오늘부터 정부의 민생회복 소비쿠폰 신청이 시작됐습니다.
선불카드를 지급하는 행정복지센터에는 문을 열자마자 신청인들이 한꺼번에 몰리며 북새통을 이뤘지만 상당수는 빈손으로 발길을 돌려야 했습니다.
정재훈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복지카드로 소비쿠폰을 받으러 온 고령의 주민에게 행정복지센터 직원이 불가능한 상황을 설명합니다.
["문화누리카드는 안 돼요. 문자 드릴 테니까 그때 오세요."]
결국 빈손으로 발길을 돌릴 수밖에 없습니다.
[송대용/대전시 판암동 : "카드가 없어요. 만들어 놓은 게 하나도 없어요. 사람들도 많고 8월 중순에 해준다니까 그냥 가는 거예요. 나중에 하려고…."]
소비쿠폰 지급 첫 날, 행정복지센터마다 온라인으로 신청이 어려운 고령층과 취약 계층으로 북적였습니다.
[정병호/대전시 관저동 : "(휴대전화로 모바일뱅킹을 평소에 하신 적은?) 아이고 없어요. (어떻게 쓸 줄 모르시니까.) 해본 적이 없어요."]
행정복지센터로 소비쿠폰 신청자가 몰리면서 이렇게 천막까지 마련해 민원을 대응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감당할 수 있는 인원이 넘어서자 이름과 전화번호를 적고 순서를 기다리는 대기표까지 등장했습니다.
출생 연도에 따라 신청일이 다른 것을 모르고 오는 경우도 부지기수.
["43년생이면 여기 수요일에 오셔야 하거든요. 수요일날…."]
더욱이 대전의 경우 지류 상품권이 없어 신용과 체크, 선불카드로만 소비쿠폰을 신청할 수 있는데, 현장에서 받을 수 있는 선불카드는 바닥을 보이고 있습니다.
[정소운/대전 서구 관저2동 주무관 : "선불카드가 많이 부족한 상황이어서 다른 체크, 신용카드 등으로 안내를 많이 유도하고 있습니다."]
소비쿠폰 첫날부터 곳곳에서 혼란이 빚어지면서 정보 취약계층에 대한 지급 방식이 개선되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습니다.
KBS 뉴스 정재훈입니다.
촬영기자:강욱현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소비쿠폰 지급 첫날…힘들게 찾아왔지만 상당수는 헛걸음
-
- 입력 2025-07-21 21:51:38
- 수정2025-07-23 14:04:56

[앵커]
오늘부터 정부의 민생회복 소비쿠폰 신청이 시작됐습니다.
선불카드를 지급하는 행정복지센터에는 문을 열자마자 신청인들이 한꺼번에 몰리며 북새통을 이뤘지만 상당수는 빈손으로 발길을 돌려야 했습니다.
정재훈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복지카드로 소비쿠폰을 받으러 온 고령의 주민에게 행정복지센터 직원이 불가능한 상황을 설명합니다.
["문화누리카드는 안 돼요. 문자 드릴 테니까 그때 오세요."]
결국 빈손으로 발길을 돌릴 수밖에 없습니다.
[송대용/대전시 판암동 : "카드가 없어요. 만들어 놓은 게 하나도 없어요. 사람들도 많고 8월 중순에 해준다니까 그냥 가는 거예요. 나중에 하려고…."]
소비쿠폰 지급 첫 날, 행정복지센터마다 온라인으로 신청이 어려운 고령층과 취약 계층으로 북적였습니다.
[정병호/대전시 관저동 : "(휴대전화로 모바일뱅킹을 평소에 하신 적은?) 아이고 없어요. (어떻게 쓸 줄 모르시니까.) 해본 적이 없어요."]
행정복지센터로 소비쿠폰 신청자가 몰리면서 이렇게 천막까지 마련해 민원을 대응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감당할 수 있는 인원이 넘어서자 이름과 전화번호를 적고 순서를 기다리는 대기표까지 등장했습니다.
출생 연도에 따라 신청일이 다른 것을 모르고 오는 경우도 부지기수.
["43년생이면 여기 수요일에 오셔야 하거든요. 수요일날…."]
더욱이 대전의 경우 지류 상품권이 없어 신용과 체크, 선불카드로만 소비쿠폰을 신청할 수 있는데, 현장에서 받을 수 있는 선불카드는 바닥을 보이고 있습니다.
[정소운/대전 서구 관저2동 주무관 : "선불카드가 많이 부족한 상황이어서 다른 체크, 신용카드 등으로 안내를 많이 유도하고 있습니다."]
소비쿠폰 첫날부터 곳곳에서 혼란이 빚어지면서 정보 취약계층에 대한 지급 방식이 개선되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습니다.
KBS 뉴스 정재훈입니다.
촬영기자:강욱현
오늘부터 정부의 민생회복 소비쿠폰 신청이 시작됐습니다.
선불카드를 지급하는 행정복지센터에는 문을 열자마자 신청인들이 한꺼번에 몰리며 북새통을 이뤘지만 상당수는 빈손으로 발길을 돌려야 했습니다.
정재훈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복지카드로 소비쿠폰을 받으러 온 고령의 주민에게 행정복지센터 직원이 불가능한 상황을 설명합니다.
["문화누리카드는 안 돼요. 문자 드릴 테니까 그때 오세요."]
결국 빈손으로 발길을 돌릴 수밖에 없습니다.
[송대용/대전시 판암동 : "카드가 없어요. 만들어 놓은 게 하나도 없어요. 사람들도 많고 8월 중순에 해준다니까 그냥 가는 거예요. 나중에 하려고…."]
소비쿠폰 지급 첫 날, 행정복지센터마다 온라인으로 신청이 어려운 고령층과 취약 계층으로 북적였습니다.
[정병호/대전시 관저동 : "(휴대전화로 모바일뱅킹을 평소에 하신 적은?) 아이고 없어요. (어떻게 쓸 줄 모르시니까.) 해본 적이 없어요."]
행정복지센터로 소비쿠폰 신청자가 몰리면서 이렇게 천막까지 마련해 민원을 대응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감당할 수 있는 인원이 넘어서자 이름과 전화번호를 적고 순서를 기다리는 대기표까지 등장했습니다.
출생 연도에 따라 신청일이 다른 것을 모르고 오는 경우도 부지기수.
["43년생이면 여기 수요일에 오셔야 하거든요. 수요일날…."]
더욱이 대전의 경우 지류 상품권이 없어 신용과 체크, 선불카드로만 소비쿠폰을 신청할 수 있는데, 현장에서 받을 수 있는 선불카드는 바닥을 보이고 있습니다.
[정소운/대전 서구 관저2동 주무관 : "선불카드가 많이 부족한 상황이어서 다른 체크, 신용카드 등으로 안내를 많이 유도하고 있습니다."]
소비쿠폰 첫날부터 곳곳에서 혼란이 빚어지면서 정보 취약계층에 대한 지급 방식이 개선되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습니다.
KBS 뉴스 정재훈입니다.
촬영기자:강욱현
-
-
정재훈 기자 jjh119@kbs.co.kr
정재훈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다만 해당 기사는 댓글을 통해 피해자에 대한 2차 가해 우려가 제기됨에 따라 자체 논의를 거쳐 댓글창을 운영하지 않기로 결정했습니다.
여러분의 양해를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