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민 먹는 물인데”…생수공장 건립 갈등

입력 2025.07.28 (11:30) 수정 2025.07.28 (15:57)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제천의 한 마을에서 샘물 개발을 두고 갈등이 불거졌습니다.

한 업체의 생수 공장 건립 계획에, 주민들이 식수가 고갈될 거라면서 반발하고 있는데요.

보도에 진희정 기자입니다.

[리포트]

제천시 송학면의 한 마을입니다.

마을 뒤편 산자락에 지하수를 퍼 올릴 취수 시설이 설치됐습니다.

일대에 생수 공장을 지으려는 업체가 수질과 취수량 등을 조사하려 설치한 임시 관정입니다.

주민들은 일대 7개 마을 200여 명이 같은 물을 식수와 농업 용수로 쓰고 있다면서 반발하고 있습니다.

정식 운영 전 사전 취수 과정인데도, 벌써 마을 물이 줄어들고 탁해지고 있다고 말합니다.

[전경래/제천시 송학면 : "서너 뙈기 (논에 물) 댔을 때 한나절이면 되는데, 지금은 하루 종일 가도 안 닿아요. 이틀 정도 받아야 해요."]

이 업체가 충청북도에 밝힌 취수 계획량은 하루 1,390톤.

2019년, 처음 임시 개발을 신청한 뒤 허가 기간 연장과 취소를 반복하면서 충청북도와 행정심판까지 벌였고, 최근에 최종 승소했습니다.

업체 측은 샘물 개발이 주민들이 쓰는 물에 영향을 주지 않는단 입장입니다.

하지만 주민들은 20여 년 전에도 다른 업체가 비슷한 개발을 하려다 땅 꺼짐이 발생하는 등 피해가 반복되고 있다고 주장합니다.

[조애형/생수공장 반대 비상대책위원장 : "생수 공장을 마을 한복판에 차리는 거잖아요. 자기들 사리사욕을 차리기 위해서, 마을 주민은 아무것도 아니고…. 한 마디 상의도 없었어요. 마을 주민들이 이거 파는 거 보고 알았어요."]

먹는물관리법상, 샘물 업체가 전문 기관에 의뢰해 작성한 환경영향조사서로 개발 심의가 이뤄집니다.

현재 원주지방환경청에서 업체가 제출한 조사서를 심의하고 있습니다.

이에 대해 주민들은 업체 주도의 환경영향조사를 신뢰할 수 없다면서 국민권익위원회에 민원을 제기했습니다.

최종 허가 기관인 충청북도는 실제 사업을 하려면 환경청 심의 이후 공장 설치와 영업 허가도 필요하다면서 절차에 따라 처리하겠단 입장입니다.

KBS 뉴스 진희정입니다.

촬영기자:최영준/영상편집:오진석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주민 먹는 물인데”…생수공장 건립 갈등
    • 입력 2025-07-28 11:30:40
    • 수정2025-07-28 15:57:22
    930뉴스(청주)
[앵커]

제천의 한 마을에서 샘물 개발을 두고 갈등이 불거졌습니다.

한 업체의 생수 공장 건립 계획에, 주민들이 식수가 고갈될 거라면서 반발하고 있는데요.

보도에 진희정 기자입니다.

[리포트]

제천시 송학면의 한 마을입니다.

마을 뒤편 산자락에 지하수를 퍼 올릴 취수 시설이 설치됐습니다.

일대에 생수 공장을 지으려는 업체가 수질과 취수량 등을 조사하려 설치한 임시 관정입니다.

주민들은 일대 7개 마을 200여 명이 같은 물을 식수와 농업 용수로 쓰고 있다면서 반발하고 있습니다.

정식 운영 전 사전 취수 과정인데도, 벌써 마을 물이 줄어들고 탁해지고 있다고 말합니다.

[전경래/제천시 송학면 : "서너 뙈기 (논에 물) 댔을 때 한나절이면 되는데, 지금은 하루 종일 가도 안 닿아요. 이틀 정도 받아야 해요."]

이 업체가 충청북도에 밝힌 취수 계획량은 하루 1,390톤.

2019년, 처음 임시 개발을 신청한 뒤 허가 기간 연장과 취소를 반복하면서 충청북도와 행정심판까지 벌였고, 최근에 최종 승소했습니다.

업체 측은 샘물 개발이 주민들이 쓰는 물에 영향을 주지 않는단 입장입니다.

하지만 주민들은 20여 년 전에도 다른 업체가 비슷한 개발을 하려다 땅 꺼짐이 발생하는 등 피해가 반복되고 있다고 주장합니다.

[조애형/생수공장 반대 비상대책위원장 : "생수 공장을 마을 한복판에 차리는 거잖아요. 자기들 사리사욕을 차리기 위해서, 마을 주민은 아무것도 아니고…. 한 마디 상의도 없었어요. 마을 주민들이 이거 파는 거 보고 알았어요."]

먹는물관리법상, 샘물 업체가 전문 기관에 의뢰해 작성한 환경영향조사서로 개발 심의가 이뤄집니다.

현재 원주지방환경청에서 업체가 제출한 조사서를 심의하고 있습니다.

이에 대해 주민들은 업체 주도의 환경영향조사를 신뢰할 수 없다면서 국민권익위원회에 민원을 제기했습니다.

최종 허가 기관인 충청북도는 실제 사업을 하려면 환경청 심의 이후 공장 설치와 영업 허가도 필요하다면서 절차에 따라 처리하겠단 입장입니다.

KBS 뉴스 진희정입니다.

촬영기자:최영준/영상편집:오진석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청주-주요뉴스

더보기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