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 부동산 바닥 찍었나?…“낙관하긴 일러”

입력 2025.07.29 (19:13) 수정 2025.07.29 (19:17)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장기 침체에 빠졌던 대구 부동산 시장이 회복 국면에 접어들었다는 전망이 조심스레 나오고 있습니다.

하지만, 낙관하기엔 이르다는 분석도 적지 않아 시장 전망이 엇갈리는 상황입니다.

우동윤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최근 3년 동안 아파트 공급이 집중됐던 대구 중구, 공급 과잉에 불황까지 겹쳐 자취를 감췄던 매매가 이달 들어 조금씩 일어나고 있습니다.

[이정진/공인중개사 : "2~3년 전보다는 실수요자 위주로 매도, 매수 문의가 조금씩 늘어나고 있고요. 거래가 조금씩 늘어나고 있는 것 같습니다."]

한 민간 부동산 연구소의 자료를 보면 올 상반기 대구의 아파트 매매는 천970건으로 최저점이었던 2022년 상반기에 비해 두 배 이상 늘었습니다.

미분양도 줄고 있습니다.

지난 5월 기준 대구의 미분양 주택은 8천5백여 채, 2022년 만 3천여 채로 정점을 찍고 감소하는 추세입니다.

특히, 집값 상승의 선행 지표인 매매가 대비 전세가 비율도 올 상반기 64.7%로 전년 동기 대비 소폭 상승했습니다.

[조두석/분양 대행사 대표 : "(내년 하반기부터) 신규 아파트 수요에 비해서 공급이 적어지는 물량 부족 현상이 일어날 것이고…. 내년 상반기부터 시장이 좀 바뀌지 않을까 그런 기대를 갖고 있습니다."]

하지만, 반등을 기대하기에는 이르다는 분석도 있습니다.

매매는 일부 선호 지역 신축 단지를 중심으로 늘었을 뿐이고, 미분양 감소도 할인 분양에 따른 일시적 현상이라는 겁니다.

[송원배/대구경북부동산학회 상임 이사 : "새 아파트가 이렇게 할인을 하고 있으니까 구축 아파트가 더 떨어지고 있는 겁니다. 반등이라든지 또 구축 아파트의 (가격) 하락이 당분간 지속될 수밖에 없는 환경을 가지고 있습니다."]

다만, 엇갈린 전망 속에서도 실수요자에게 유리한 상황이 지속되고 있다는 의견은 대체로 일치하는 것으로 보입니다.

KBS 뉴스 우동윤입니다.

촬영기자:백재민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대구 부동산 바닥 찍었나?…“낙관하긴 일러”
    • 입력 2025-07-29 19:13:07
    • 수정2025-07-29 19:17:27
    뉴스7(대구)
[앵커]

장기 침체에 빠졌던 대구 부동산 시장이 회복 국면에 접어들었다는 전망이 조심스레 나오고 있습니다.

하지만, 낙관하기엔 이르다는 분석도 적지 않아 시장 전망이 엇갈리는 상황입니다.

우동윤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최근 3년 동안 아파트 공급이 집중됐던 대구 중구, 공급 과잉에 불황까지 겹쳐 자취를 감췄던 매매가 이달 들어 조금씩 일어나고 있습니다.

[이정진/공인중개사 : "2~3년 전보다는 실수요자 위주로 매도, 매수 문의가 조금씩 늘어나고 있고요. 거래가 조금씩 늘어나고 있는 것 같습니다."]

한 민간 부동산 연구소의 자료를 보면 올 상반기 대구의 아파트 매매는 천970건으로 최저점이었던 2022년 상반기에 비해 두 배 이상 늘었습니다.

미분양도 줄고 있습니다.

지난 5월 기준 대구의 미분양 주택은 8천5백여 채, 2022년 만 3천여 채로 정점을 찍고 감소하는 추세입니다.

특히, 집값 상승의 선행 지표인 매매가 대비 전세가 비율도 올 상반기 64.7%로 전년 동기 대비 소폭 상승했습니다.

[조두석/분양 대행사 대표 : "(내년 하반기부터) 신규 아파트 수요에 비해서 공급이 적어지는 물량 부족 현상이 일어날 것이고…. 내년 상반기부터 시장이 좀 바뀌지 않을까 그런 기대를 갖고 있습니다."]

하지만, 반등을 기대하기에는 이르다는 분석도 있습니다.

매매는 일부 선호 지역 신축 단지를 중심으로 늘었을 뿐이고, 미분양 감소도 할인 분양에 따른 일시적 현상이라는 겁니다.

[송원배/대구경북부동산학회 상임 이사 : "새 아파트가 이렇게 할인을 하고 있으니까 구축 아파트가 더 떨어지고 있는 겁니다. 반등이라든지 또 구축 아파트의 (가격) 하락이 당분간 지속될 수밖에 없는 환경을 가지고 있습니다."]

다만, 엇갈린 전망 속에서도 실수요자에게 유리한 상황이 지속되고 있다는 의견은 대체로 일치하는 것으로 보입니다.

KBS 뉴스 우동윤입니다.

촬영기자:백재민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대구-주요뉴스

더보기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