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7일 후 발효’ 관세 명령 서명…한미 외교장관 “정상회담 일정 논의”
입력 2025.08.01 (12:07)
수정 2025.08.01 (14:12)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미국 트럼프 대통령이 전 세계에 부과하는 상호 관세 행정명령에 서명했습니다.
상호 관세 부과 시점은 7일 뒤로 명시돼 우리 시각으로 오는 7일 오후 1시부터 발효됩니다.
한미 외교장관 회담도 열렸는데 조현 외교부 장관은 첫 만남이 건설적이었다면서 한미 정상회담 일정 등을 조율했다고 밝혔습니다.
김양순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전 세계를 대상으로 하는 새로운 상호 관세 행정명령에 서명했습니다.
한국과 일본, 유럽연합에는 15%의 상호 관세가 부과됐고, 무역협정이 타결되지 못한 인도에는 25%·타이완 20% 관세가 부과됐습니다.
캐나다에는 현재 25% 관세율이 35%로 상향됐습니다.
새롭게 부과된 상호 관세는 수입품 품목 코드 변경을 거쳐 7일 뒤부터 효력이 시작돼 우리 시각 오는 7일 오후 1시 발효될 것으로 보입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관세 덕분에 미국이 더 위대해지고 있다며 오늘도 몇몇 나라와 훌륭한 합의를 이뤄냈다고 말했습니다.
[도널드 트럼프/미국 대통령 : "우리는 국가를 위해 말 그대로 수조 달러를 벌어들이고 있습니다. 이것은 미국을 매우 부유하고 다시 존경받는 나라로 만들고 있습니다."]
백악관은 트럼프 대통령과 한국 협상단이 함께 무역 협상 타결 뒤 엄지 손가락을 치켜 세우며 환하게 웃는 사진을 공개했습니다.
협상과 관련해 베센트 미 재무장관은 한국의 많은 무역 장벽을 허물었다며 트럼프 대통령이 한국의 제안을 조금 더 높였다고 전했습니다.
[스콧 베센트/미국 재무장관/CNBC 인터뷰 : "트럼프 대통령이 한국의 제안을 조금 더 올렸고, 우리는 매우 좋은 합의에 도달했습니다. 한국은 15%의 관세를 받게 됐고, 상당한 양의 미국산 에너지를 구매하기로 했습니다."]
조현 외교장관은 루비오 국무장관과 양자 회담을 갖고 이재명 대통령과 트럼프 대통령 간 한미 정상회담 일정 조율을 시작했습니다.
북한의 완전한 비핵화라는 공동의 목표를 확인하고, 무역 협상 후속 조치 등도 논의했다며 첫 만남이 건설적이었다고 밝혔습니다.
[조현/외교부 장관 : "정상회담이 곧 있을 것이라는 것, 그것도 지금 이제 날짜를 조율 중입니다. 그 내용도 물론 이제 실무선에서 더 충실하게 만들어 가는 데 합의를 했습니다."]
미 국무부는 이번 한미 무역 협상 타결과 관련해 70년 한미 동맹의 굳건함을 반영했다고 평가했습니다.
KBS 뉴스 김양순입니다.
영상편집:김은주/자료조사:김나영 박은진
미국 트럼프 대통령이 전 세계에 부과하는 상호 관세 행정명령에 서명했습니다.
상호 관세 부과 시점은 7일 뒤로 명시돼 우리 시각으로 오는 7일 오후 1시부터 발효됩니다.
한미 외교장관 회담도 열렸는데 조현 외교부 장관은 첫 만남이 건설적이었다면서 한미 정상회담 일정 등을 조율했다고 밝혔습니다.
김양순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전 세계를 대상으로 하는 새로운 상호 관세 행정명령에 서명했습니다.
한국과 일본, 유럽연합에는 15%의 상호 관세가 부과됐고, 무역협정이 타결되지 못한 인도에는 25%·타이완 20% 관세가 부과됐습니다.
캐나다에는 현재 25% 관세율이 35%로 상향됐습니다.
새롭게 부과된 상호 관세는 수입품 품목 코드 변경을 거쳐 7일 뒤부터 효력이 시작돼 우리 시각 오는 7일 오후 1시 발효될 것으로 보입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관세 덕분에 미국이 더 위대해지고 있다며 오늘도 몇몇 나라와 훌륭한 합의를 이뤄냈다고 말했습니다.
[도널드 트럼프/미국 대통령 : "우리는 국가를 위해 말 그대로 수조 달러를 벌어들이고 있습니다. 이것은 미국을 매우 부유하고 다시 존경받는 나라로 만들고 있습니다."]
백악관은 트럼프 대통령과 한국 협상단이 함께 무역 협상 타결 뒤 엄지 손가락을 치켜 세우며 환하게 웃는 사진을 공개했습니다.
협상과 관련해 베센트 미 재무장관은 한국의 많은 무역 장벽을 허물었다며 트럼프 대통령이 한국의 제안을 조금 더 높였다고 전했습니다.
[스콧 베센트/미국 재무장관/CNBC 인터뷰 : "트럼프 대통령이 한국의 제안을 조금 더 올렸고, 우리는 매우 좋은 합의에 도달했습니다. 한국은 15%의 관세를 받게 됐고, 상당한 양의 미국산 에너지를 구매하기로 했습니다."]
조현 외교장관은 루비오 국무장관과 양자 회담을 갖고 이재명 대통령과 트럼프 대통령 간 한미 정상회담 일정 조율을 시작했습니다.
북한의 완전한 비핵화라는 공동의 목표를 확인하고, 무역 협상 후속 조치 등도 논의했다며 첫 만남이 건설적이었다고 밝혔습니다.
[조현/외교부 장관 : "정상회담이 곧 있을 것이라는 것, 그것도 지금 이제 날짜를 조율 중입니다. 그 내용도 물론 이제 실무선에서 더 충실하게 만들어 가는 데 합의를 했습니다."]
미 국무부는 이번 한미 무역 협상 타결과 관련해 70년 한미 동맹의 굳건함을 반영했다고 평가했습니다.
KBS 뉴스 김양순입니다.
영상편집:김은주/자료조사:김나영 박은진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트럼프, ‘7일 후 발효’ 관세 명령 서명…한미 외교장관 “정상회담 일정 논의”
-
- 입력 2025-08-01 12:07:43
- 수정2025-08-01 14:12:59

[앵커]
미국 트럼프 대통령이 전 세계에 부과하는 상호 관세 행정명령에 서명했습니다.
상호 관세 부과 시점은 7일 뒤로 명시돼 우리 시각으로 오는 7일 오후 1시부터 발효됩니다.
한미 외교장관 회담도 열렸는데 조현 외교부 장관은 첫 만남이 건설적이었다면서 한미 정상회담 일정 등을 조율했다고 밝혔습니다.
김양순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전 세계를 대상으로 하는 새로운 상호 관세 행정명령에 서명했습니다.
한국과 일본, 유럽연합에는 15%의 상호 관세가 부과됐고, 무역협정이 타결되지 못한 인도에는 25%·타이완 20% 관세가 부과됐습니다.
캐나다에는 현재 25% 관세율이 35%로 상향됐습니다.
새롭게 부과된 상호 관세는 수입품 품목 코드 변경을 거쳐 7일 뒤부터 효력이 시작돼 우리 시각 오는 7일 오후 1시 발효될 것으로 보입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관세 덕분에 미국이 더 위대해지고 있다며 오늘도 몇몇 나라와 훌륭한 합의를 이뤄냈다고 말했습니다.
[도널드 트럼프/미국 대통령 : "우리는 국가를 위해 말 그대로 수조 달러를 벌어들이고 있습니다. 이것은 미국을 매우 부유하고 다시 존경받는 나라로 만들고 있습니다."]
백악관은 트럼프 대통령과 한국 협상단이 함께 무역 협상 타결 뒤 엄지 손가락을 치켜 세우며 환하게 웃는 사진을 공개했습니다.
협상과 관련해 베센트 미 재무장관은 한국의 많은 무역 장벽을 허물었다며 트럼프 대통령이 한국의 제안을 조금 더 높였다고 전했습니다.
[스콧 베센트/미국 재무장관/CNBC 인터뷰 : "트럼프 대통령이 한국의 제안을 조금 더 올렸고, 우리는 매우 좋은 합의에 도달했습니다. 한국은 15%의 관세를 받게 됐고, 상당한 양의 미국산 에너지를 구매하기로 했습니다."]
조현 외교장관은 루비오 국무장관과 양자 회담을 갖고 이재명 대통령과 트럼프 대통령 간 한미 정상회담 일정 조율을 시작했습니다.
북한의 완전한 비핵화라는 공동의 목표를 확인하고, 무역 협상 후속 조치 등도 논의했다며 첫 만남이 건설적이었다고 밝혔습니다.
[조현/외교부 장관 : "정상회담이 곧 있을 것이라는 것, 그것도 지금 이제 날짜를 조율 중입니다. 그 내용도 물론 이제 실무선에서 더 충실하게 만들어 가는 데 합의를 했습니다."]
미 국무부는 이번 한미 무역 협상 타결과 관련해 70년 한미 동맹의 굳건함을 반영했다고 평가했습니다.
KBS 뉴스 김양순입니다.
영상편집:김은주/자료조사:김나영 박은진
미국 트럼프 대통령이 전 세계에 부과하는 상호 관세 행정명령에 서명했습니다.
상호 관세 부과 시점은 7일 뒤로 명시돼 우리 시각으로 오는 7일 오후 1시부터 발효됩니다.
한미 외교장관 회담도 열렸는데 조현 외교부 장관은 첫 만남이 건설적이었다면서 한미 정상회담 일정 등을 조율했다고 밝혔습니다.
김양순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전 세계를 대상으로 하는 새로운 상호 관세 행정명령에 서명했습니다.
한국과 일본, 유럽연합에는 15%의 상호 관세가 부과됐고, 무역협정이 타결되지 못한 인도에는 25%·타이완 20% 관세가 부과됐습니다.
캐나다에는 현재 25% 관세율이 35%로 상향됐습니다.
새롭게 부과된 상호 관세는 수입품 품목 코드 변경을 거쳐 7일 뒤부터 효력이 시작돼 우리 시각 오는 7일 오후 1시 발효될 것으로 보입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관세 덕분에 미국이 더 위대해지고 있다며 오늘도 몇몇 나라와 훌륭한 합의를 이뤄냈다고 말했습니다.
[도널드 트럼프/미국 대통령 : "우리는 국가를 위해 말 그대로 수조 달러를 벌어들이고 있습니다. 이것은 미국을 매우 부유하고 다시 존경받는 나라로 만들고 있습니다."]
백악관은 트럼프 대통령과 한국 협상단이 함께 무역 협상 타결 뒤 엄지 손가락을 치켜 세우며 환하게 웃는 사진을 공개했습니다.
협상과 관련해 베센트 미 재무장관은 한국의 많은 무역 장벽을 허물었다며 트럼프 대통령이 한국의 제안을 조금 더 높였다고 전했습니다.
[스콧 베센트/미국 재무장관/CNBC 인터뷰 : "트럼프 대통령이 한국의 제안을 조금 더 올렸고, 우리는 매우 좋은 합의에 도달했습니다. 한국은 15%의 관세를 받게 됐고, 상당한 양의 미국산 에너지를 구매하기로 했습니다."]
조현 외교장관은 루비오 국무장관과 양자 회담을 갖고 이재명 대통령과 트럼프 대통령 간 한미 정상회담 일정 조율을 시작했습니다.
북한의 완전한 비핵화라는 공동의 목표를 확인하고, 무역 협상 후속 조치 등도 논의했다며 첫 만남이 건설적이었다고 밝혔습니다.
[조현/외교부 장관 : "정상회담이 곧 있을 것이라는 것, 그것도 지금 이제 날짜를 조율 중입니다. 그 내용도 물론 이제 실무선에서 더 충실하게 만들어 가는 데 합의를 했습니다."]
미 국무부는 이번 한미 무역 협상 타결과 관련해 70년 한미 동맹의 굳건함을 반영했다고 평가했습니다.
KBS 뉴스 김양순입니다.
영상편집:김은주/자료조사:김나영 박은진
-
-
김양순 기자 ysooni@kbs.co.kr
김양순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슈
한미 관세협상 타결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