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세협상 줄다리기 이제부터…협상 제외 품목 ‘캄캄’

입력 2025.08.01 (12:09) 수정 2025.08.01 (12:16)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관세 협상이 타결되기는 했지만, 큰 틀에서 조율을 마친 것일 뿐 세부 사항을 놓고는 추가 협의가 이어질 예정입니다.

한미 간에 서로 말이 다른 부분도 있고, 향후 과제로 남겨 놓은 의제도 있어서 줄다리기가 계속 이어질 것으로 보입니다.

정재우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25% 상호 관세가 발효되기 이틀 전 극적으로 타결된 한미 관세 협상.

큰 틀에서 합의는 이뤄졌지만, 세부 사항을 놓고는 한미 간에 일부 얘기가 엇갈렸습니다.

LNG 등 미국산 에너지 수입.

우리 정부 발표는 천억 달러어치를 향후 4년간 구매한다는 거였는데, 러트닉 미국 상무장관은 기간을 3년 반으로 언급했습니다.

한국이 미국에 투자하기로 한 3,500억 달러를 놓고도 러트닉 장관은 이익의 90%를 미국이 가져갈 거라고 언급했는데, 대통령실은 수익을 미국에서 재투자한다는 말 아니겠냐며 해석만 내놨습니다.

[김용범/대통령실 정책실장 : "이익을 90%를 미국이 가져가고, 좀 이해하기 어렵잖아요? 그런 상황은. 정상적인 문명국가에서는. 저희 내부적으로는 (미국 내) 재투자 개념일 것 같다…."]

한미 간에 말이 어긋나는 이런 항목들은 향후 추가 협의에서 논의될 걸로 보입니다.

정부는 일부 농축산물의 검역 절차 개선과 미국산 자동차의 안전 기준 완화를 놓고도 기술적 협의가 계속 이어질 거라고 밝혔습니다.

이번 협상에서 빠진 일부 품목들에선 후폭풍이 예상됩니다.

기존에 50% 관세를 물어왔던 철강과 알루미늄, 이번 협상에서 관세 유지가 확정돼 관세 부담이 이어지게 됐습니다.

정부는 미국에 관세 인하를 요청했지만, 트럼프 대통령이 난색을 표했다고 합니다.

경쟁국인 일본은 미국 철강사 US 스틸을 인수해 관세 부담을 지지 않는 만큼, 우리 업계의 어려움이 가중될 걸로 보입니다.

미국이 지속적으로 문제 삼아온 온라인플랫폼법 등 빅테크 규제 관련 내용도 추후 미국이 다시 문제를 제기할 수 있습니다.

KBS 뉴스 정재우입니다.

영상편집:이재연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관세협상 줄다리기 이제부터…협상 제외 품목 ‘캄캄’
    • 입력 2025-08-01 12:09:19
    • 수정2025-08-01 12:16:09
    뉴스 12
[앵커]

관세 협상이 타결되기는 했지만, 큰 틀에서 조율을 마친 것일 뿐 세부 사항을 놓고는 추가 협의가 이어질 예정입니다.

한미 간에 서로 말이 다른 부분도 있고, 향후 과제로 남겨 놓은 의제도 있어서 줄다리기가 계속 이어질 것으로 보입니다.

정재우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25% 상호 관세가 발효되기 이틀 전 극적으로 타결된 한미 관세 협상.

큰 틀에서 합의는 이뤄졌지만, 세부 사항을 놓고는 한미 간에 일부 얘기가 엇갈렸습니다.

LNG 등 미국산 에너지 수입.

우리 정부 발표는 천억 달러어치를 향후 4년간 구매한다는 거였는데, 러트닉 미국 상무장관은 기간을 3년 반으로 언급했습니다.

한국이 미국에 투자하기로 한 3,500억 달러를 놓고도 러트닉 장관은 이익의 90%를 미국이 가져갈 거라고 언급했는데, 대통령실은 수익을 미국에서 재투자한다는 말 아니겠냐며 해석만 내놨습니다.

[김용범/대통령실 정책실장 : "이익을 90%를 미국이 가져가고, 좀 이해하기 어렵잖아요? 그런 상황은. 정상적인 문명국가에서는. 저희 내부적으로는 (미국 내) 재투자 개념일 것 같다…."]

한미 간에 말이 어긋나는 이런 항목들은 향후 추가 협의에서 논의될 걸로 보입니다.

정부는 일부 농축산물의 검역 절차 개선과 미국산 자동차의 안전 기준 완화를 놓고도 기술적 협의가 계속 이어질 거라고 밝혔습니다.

이번 협상에서 빠진 일부 품목들에선 후폭풍이 예상됩니다.

기존에 50% 관세를 물어왔던 철강과 알루미늄, 이번 협상에서 관세 유지가 확정돼 관세 부담이 이어지게 됐습니다.

정부는 미국에 관세 인하를 요청했지만, 트럼프 대통령이 난색을 표했다고 합니다.

경쟁국인 일본은 미국 철강사 US 스틸을 인수해 관세 부담을 지지 않는 만큼, 우리 업계의 어려움이 가중될 걸로 보입니다.

미국이 지속적으로 문제 삼아온 온라인플랫폼법 등 빅테크 규제 관련 내용도 추후 미국이 다시 문제를 제기할 수 있습니다.

KBS 뉴스 정재우입니다.

영상편집:이재연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