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드 플러스] 규모 8.8 강진이 깨웠나…캄차카 화산, 수백년 만에 분화
입력 2025.08.04 (15:34)
수정 2025.08.04 (15:41)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지구촌의 다양한 소식을 전해드리는 월드 플러스입니다.
러시아 동부 캄차카반도에서 지난주 수요일 규모 8.8의 강진이 발생했죠.
강진 발생 사흘 만인 2일, 캄차카 크라셰닌니코프 화산이 수백 년 만에 분화했습니다.
회색빛 연기 기둥이 무서운 기세로 하늘을 뒤덮습니다.
현지 시각 2일 러시아 동부 캄차카반도의 크라셰닌니코프 화산이 수백 년 만에 분화했습니다.
높이 천 8백여 미터의 크라셰닌니코프 화산은 기관별로 기록이 엇갈리긴 하나 대략 15~16세기를 끝으로 활동이 잠잠했는데요.
그렇게 잠자고 있던 화산이 최소 470여 년, 최대 600년 만에 다시 깨어난 겁니다.
현지 당국은 "화산재 기둥이 6천 미터까지 치솟은 걸로 추정된다"며 "화산재가 태평양을 통해 동쪽으로 확산 중이나 이동 경로에 거주 지역은 없다고 전했는데요.
더불어 수백 년 만에 일어난 이날 분화를 두고 사흘 전 캄차카반도를 강타한 규모 8.8의 대지진과 관련이 있을 수 있다고 덧붙였습니다.
러시아 동부 캄차카반도에서 지난주 수요일 규모 8.8의 강진이 발생했죠.
강진 발생 사흘 만인 2일, 캄차카 크라셰닌니코프 화산이 수백 년 만에 분화했습니다.
회색빛 연기 기둥이 무서운 기세로 하늘을 뒤덮습니다.
현지 시각 2일 러시아 동부 캄차카반도의 크라셰닌니코프 화산이 수백 년 만에 분화했습니다.
높이 천 8백여 미터의 크라셰닌니코프 화산은 기관별로 기록이 엇갈리긴 하나 대략 15~16세기를 끝으로 활동이 잠잠했는데요.
그렇게 잠자고 있던 화산이 최소 470여 년, 최대 600년 만에 다시 깨어난 겁니다.
현지 당국은 "화산재 기둥이 6천 미터까지 치솟은 걸로 추정된다"며 "화산재가 태평양을 통해 동쪽으로 확산 중이나 이동 경로에 거주 지역은 없다고 전했는데요.
더불어 수백 년 만에 일어난 이날 분화를 두고 사흘 전 캄차카반도를 강타한 규모 8.8의 대지진과 관련이 있을 수 있다고 덧붙였습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월드 플러스] 규모 8.8 강진이 깨웠나…캄차카 화산, 수백년 만에 분화
-
- 입력 2025-08-04 15:34:15
- 수정2025-08-04 15:41:54

지구촌의 다양한 소식을 전해드리는 월드 플러스입니다.
러시아 동부 캄차카반도에서 지난주 수요일 규모 8.8의 강진이 발생했죠.
강진 발생 사흘 만인 2일, 캄차카 크라셰닌니코프 화산이 수백 년 만에 분화했습니다.
회색빛 연기 기둥이 무서운 기세로 하늘을 뒤덮습니다.
현지 시각 2일 러시아 동부 캄차카반도의 크라셰닌니코프 화산이 수백 년 만에 분화했습니다.
높이 천 8백여 미터의 크라셰닌니코프 화산은 기관별로 기록이 엇갈리긴 하나 대략 15~16세기를 끝으로 활동이 잠잠했는데요.
그렇게 잠자고 있던 화산이 최소 470여 년, 최대 600년 만에 다시 깨어난 겁니다.
현지 당국은 "화산재 기둥이 6천 미터까지 치솟은 걸로 추정된다"며 "화산재가 태평양을 통해 동쪽으로 확산 중이나 이동 경로에 거주 지역은 없다고 전했는데요.
더불어 수백 년 만에 일어난 이날 분화를 두고 사흘 전 캄차카반도를 강타한 규모 8.8의 대지진과 관련이 있을 수 있다고 덧붙였습니다.
러시아 동부 캄차카반도에서 지난주 수요일 규모 8.8의 강진이 발생했죠.
강진 발생 사흘 만인 2일, 캄차카 크라셰닌니코프 화산이 수백 년 만에 분화했습니다.
회색빛 연기 기둥이 무서운 기세로 하늘을 뒤덮습니다.
현지 시각 2일 러시아 동부 캄차카반도의 크라셰닌니코프 화산이 수백 년 만에 분화했습니다.
높이 천 8백여 미터의 크라셰닌니코프 화산은 기관별로 기록이 엇갈리긴 하나 대략 15~16세기를 끝으로 활동이 잠잠했는데요.
그렇게 잠자고 있던 화산이 최소 470여 년, 최대 600년 만에 다시 깨어난 겁니다.
현지 당국은 "화산재 기둥이 6천 미터까지 치솟은 걸로 추정된다"며 "화산재가 태평양을 통해 동쪽으로 확산 중이나 이동 경로에 거주 지역은 없다고 전했는데요.
더불어 수백 년 만에 일어난 이날 분화를 두고 사흘 전 캄차카반도를 강타한 규모 8.8의 대지진과 관련이 있을 수 있다고 덧붙였습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