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장해도 부담”…중견기업 꺼리는 중소기업

입력 2025.08.05 (19:19) 수정 2025.08.05 (19:25)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중소기업에서 중견기업을 거쳐 대기업으로, 기업을 크게 키우는 게 기업가들의 꿈일 텐데요.

하지만 지역 중소기업 10곳 중 6곳은 '중견기업' 진입에 부담을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왜 그런지, 강성원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자동차공장 자동화 설비를 생산하는 부산의 한 중소기업입니다.

창업 36년째, 연구개발과 각종 지원에 힘입어 직원 수 90명에 연 매출 450억 원 규모 강소기업으로 성장할 수 있었습니다.

3년 안에 연 매출 3천억 원을 목표로 내수 시장을 넘어 수출 경쟁을 벌여야 하는 상황.

하지만 각종 혜택이 끊기는 중견기업 지위가 부담스럽습니다.

[장정열/㈜화인 부사장 : "(근로자들도) 중견기업에서 대기업으로 이탈하는 경우도 있고 하기 때문에 기업 지원은 물론이거니와 근로자 지원도 필요하다고 봅니다."]

업종별로 매출 1000억 원 이상이면 중견기업, 그 중견기업 매출의 70% 이상이면 중견기업 후보 기업이라 부르는데요,

부산 지역에는 116개 업체, 전체 기업의 3.1%에 불과합니다.

문제는 이들조차 지역 산업의 근간이 될 중견기업 지위가 달갑지 않다는 것.

부산상공회의소 조사 결과, 116개 지역 중견기업 후보 중 63.9%가 중견기업으로의 진입이 부담된다고 답했습니다.

중소기업으로 받는 세제 혜택이 줄어든다는 게 가장 큰 이유였습니다.

또 공공 조달 시장 참여가 제한되거나 노동·환경 문제에 각종 규제가 더 강화되기 때문이라고 답했습니다.

중견기업으로 안착하려면 세제 지원 강화, 정책금융 지원 강화, 규제 완화가 필요하다고 답했습니다.

[전종윤/부산상의 경제정책본부 과장 : "이런 정책들에 대한 발굴, 좀 더 효율적인 정책을 찾기 위한 노력을 강화해서 이것들이 실제 정책으로 반영될 수 있도록…."]

부산 116개 중견기업 후보 기업의 절반 이상은 "앞으로 5~10년 내 중견기업에 진입할 것"으로 예상했습니다.

이에 따라 비상장 중견기업에 대한 유예 기간 확대 등 더 꼼꼼한 지원 정책이 필요합니다.

KBS 뉴스 강성원입니다.

촬영기자:김기태/그래픽:조양성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성장해도 부담”…중견기업 꺼리는 중소기업
    • 입력 2025-08-05 19:19:50
    • 수정2025-08-05 19:25:37
    뉴스7(부산)
[앵커]

중소기업에서 중견기업을 거쳐 대기업으로, 기업을 크게 키우는 게 기업가들의 꿈일 텐데요.

하지만 지역 중소기업 10곳 중 6곳은 '중견기업' 진입에 부담을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왜 그런지, 강성원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자동차공장 자동화 설비를 생산하는 부산의 한 중소기업입니다.

창업 36년째, 연구개발과 각종 지원에 힘입어 직원 수 90명에 연 매출 450억 원 규모 강소기업으로 성장할 수 있었습니다.

3년 안에 연 매출 3천억 원을 목표로 내수 시장을 넘어 수출 경쟁을 벌여야 하는 상황.

하지만 각종 혜택이 끊기는 중견기업 지위가 부담스럽습니다.

[장정열/㈜화인 부사장 : "(근로자들도) 중견기업에서 대기업으로 이탈하는 경우도 있고 하기 때문에 기업 지원은 물론이거니와 근로자 지원도 필요하다고 봅니다."]

업종별로 매출 1000억 원 이상이면 중견기업, 그 중견기업 매출의 70% 이상이면 중견기업 후보 기업이라 부르는데요,

부산 지역에는 116개 업체, 전체 기업의 3.1%에 불과합니다.

문제는 이들조차 지역 산업의 근간이 될 중견기업 지위가 달갑지 않다는 것.

부산상공회의소 조사 결과, 116개 지역 중견기업 후보 중 63.9%가 중견기업으로의 진입이 부담된다고 답했습니다.

중소기업으로 받는 세제 혜택이 줄어든다는 게 가장 큰 이유였습니다.

또 공공 조달 시장 참여가 제한되거나 노동·환경 문제에 각종 규제가 더 강화되기 때문이라고 답했습니다.

중견기업으로 안착하려면 세제 지원 강화, 정책금융 지원 강화, 규제 완화가 필요하다고 답했습니다.

[전종윤/부산상의 경제정책본부 과장 : "이런 정책들에 대한 발굴, 좀 더 효율적인 정책을 찾기 위한 노력을 강화해서 이것들이 실제 정책으로 반영될 수 있도록…."]

부산 116개 중견기업 후보 기업의 절반 이상은 "앞으로 5~10년 내 중견기업에 진입할 것"으로 예상했습니다.

이에 따라 비상장 중견기업에 대한 유예 기간 확대 등 더 꼼꼼한 지원 정책이 필요합니다.

KBS 뉴스 강성원입니다.

촬영기자:김기태/그래픽:조양성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부산-주요뉴스

더보기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