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AI가 반려동물 돌본다? AI 용품 수요 급증
입력 2025.08.07 (09:52)
수정 2025.08.07 (09:55)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중국에선 반려동물 시장이 커지면서, AI 기술이 적용된 용품 시장도 크게 늘고 있습니다.
[리포트]
광둥성에 사는 가오 씨는 반려묘 네 마리를 키우고 있습니다.
AI 기능으로 고양이의 배변을 감지한 뒤 처리하는 고양이 자동 배변 처리기를 얼마 전, 구매했는데 크게 만족하고 있습니다.
[가오 씨 : "고양이가 들어가서 볼일을 보면, 자동으로 청소가 되죠. 체중까지 잴 수 있어 좋아요."]
이 기기에는 AI와 로봇 공학이 결합해 있는데요.
고양이 개체 식별과 배변 상태 감지, 그리고 건강 이상 신호 분석까지 해냅니다.
앱과 연동돼 반려동물의 식사량을 조절할 수 있는 인공 지능 기반의 자동 식수기와 급식기, 십 분이면 몸을 말려주는 강아지 전용 살균 드라이기는 없어서 못 팔 정도입니다.
중국의 반려동물 시장 규모는 올해 8114억 위안, 한화 157조 원으로 추산되는데, 이중 AI 인식 기능을 갖춘 제품의 수요와 공급이 크게 늘고 있습니다.
KBS 월드 뉴스입니다.
중국에선 반려동물 시장이 커지면서, AI 기술이 적용된 용품 시장도 크게 늘고 있습니다.
[리포트]
광둥성에 사는 가오 씨는 반려묘 네 마리를 키우고 있습니다.
AI 기능으로 고양이의 배변을 감지한 뒤 처리하는 고양이 자동 배변 처리기를 얼마 전, 구매했는데 크게 만족하고 있습니다.
[가오 씨 : "고양이가 들어가서 볼일을 보면, 자동으로 청소가 되죠. 체중까지 잴 수 있어 좋아요."]
이 기기에는 AI와 로봇 공학이 결합해 있는데요.
고양이 개체 식별과 배변 상태 감지, 그리고 건강 이상 신호 분석까지 해냅니다.
앱과 연동돼 반려동물의 식사량을 조절할 수 있는 인공 지능 기반의 자동 식수기와 급식기, 십 분이면 몸을 말려주는 강아지 전용 살균 드라이기는 없어서 못 팔 정도입니다.
중국의 반려동물 시장 규모는 올해 8114억 위안, 한화 157조 원으로 추산되는데, 이중 AI 인식 기능을 갖춘 제품의 수요와 공급이 크게 늘고 있습니다.
KBS 월드 뉴스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중국, AI가 반려동물 돌본다? AI 용품 수요 급증
-
- 입력 2025-08-07 09:52:09
- 수정2025-08-07 09:55:47

[앵커]
중국에선 반려동물 시장이 커지면서, AI 기술이 적용된 용품 시장도 크게 늘고 있습니다.
[리포트]
광둥성에 사는 가오 씨는 반려묘 네 마리를 키우고 있습니다.
AI 기능으로 고양이의 배변을 감지한 뒤 처리하는 고양이 자동 배변 처리기를 얼마 전, 구매했는데 크게 만족하고 있습니다.
[가오 씨 : "고양이가 들어가서 볼일을 보면, 자동으로 청소가 되죠. 체중까지 잴 수 있어 좋아요."]
이 기기에는 AI와 로봇 공학이 결합해 있는데요.
고양이 개체 식별과 배변 상태 감지, 그리고 건강 이상 신호 분석까지 해냅니다.
앱과 연동돼 반려동물의 식사량을 조절할 수 있는 인공 지능 기반의 자동 식수기와 급식기, 십 분이면 몸을 말려주는 강아지 전용 살균 드라이기는 없어서 못 팔 정도입니다.
중국의 반려동물 시장 규모는 올해 8114억 위안, 한화 157조 원으로 추산되는데, 이중 AI 인식 기능을 갖춘 제품의 수요와 공급이 크게 늘고 있습니다.
KBS 월드 뉴스입니다.
중국에선 반려동물 시장이 커지면서, AI 기술이 적용된 용품 시장도 크게 늘고 있습니다.
[리포트]
광둥성에 사는 가오 씨는 반려묘 네 마리를 키우고 있습니다.
AI 기능으로 고양이의 배변을 감지한 뒤 처리하는 고양이 자동 배변 처리기를 얼마 전, 구매했는데 크게 만족하고 있습니다.
[가오 씨 : "고양이가 들어가서 볼일을 보면, 자동으로 청소가 되죠. 체중까지 잴 수 있어 좋아요."]
이 기기에는 AI와 로봇 공학이 결합해 있는데요.
고양이 개체 식별과 배변 상태 감지, 그리고 건강 이상 신호 분석까지 해냅니다.
앱과 연동돼 반려동물의 식사량을 조절할 수 있는 인공 지능 기반의 자동 식수기와 급식기, 십 분이면 몸을 말려주는 강아지 전용 살균 드라이기는 없어서 못 팔 정도입니다.
중국의 반려동물 시장 규모는 올해 8114억 위안, 한화 157조 원으로 추산되는데, 이중 AI 인식 기능을 갖춘 제품의 수요와 공급이 크게 늘고 있습니다.
KBS 월드 뉴스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