퇴출 수순 디지털교과서 도입 3위 제주…후속 조치 어떻게?
입력 2025.08.07 (21:48)
수정 2025.08.07 (21:53)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새 정부 들어 인공지능 디지털 교과서의 지위가 교육자료로 격하됐죠,
오늘 열린 도의회 임시회에선 디지털 교과서 정책 변화에 따른 혼란을 막기 위한 대책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왔습니다.
임연희 기자입니다.
[리포트]
올해 초 제주도 내 학교 절반 가까운 100곳에서 인공지능 디지털교과서를 도입했습니다.
현장 교사들 반응은 냉담했습니다.
전교조 제주지부 자체 조사 결과 도내 교사 10명 중 8명이 수업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답해 대다수가 부정적이었습니다.
결국 새 정부 출범 후 디지털교과서의 법적 지위를 참고용 교육자료로 낮추는 법안이 국회를 통과하며 사실상 퇴출 수순을 밟게 됐습니다.
전국에서 3번째로 디지털 교과서 도입 비중이 큰 제주.
윤석열 정부의 졸속인 교육 정책을 제주도교육청이 앞장서 추진해 혼란을 부추겼다는 질타가 나왔습니다.
[고의숙/제주도의원 : "학교의 우려, 교육단체의 우려, 의회의 우려를 신중히 받아들이지 않은 결과 학교의 2학기 혼란은 교육청이 온전히 감당하면서 처리해야 될 상황에 이르렀다."]
제주 지역 디지털교과서 예산은 13억 9천만 원.
70%는 이미 집행됐는데 남은 예산은 어떻게 할지 후속 대응마저 미흡하다고 지적했습니다.
[김창식/제주도의원 : "2학기에 교육자료로 이것이 전환될 건데 (디지털교과서 구독료) 계약 상황을 어떻게 할 겁니까? 추진을?"]
[문정옥/제주도교육청 기획조정실장 : "검정도서 자격을 상실한 것으로 볼 수 있는가에 대한 법률 자문이라든가, 아니면 교육부의 답변이 필요한 상황입니다."]
민원에 시달리다 명을 달리한 중학교 교사 사건 이후 무너지는 교권에 대한 우려도 나왔습니다.
특히 교사들이 마지막으로 기댈 수 있는 지역교권보호위원회의 교사 참여 비중이 낮다는 지적이 나왔습니다.
[강동우/제주도의원 : "유독 제주시교육지원청은 (교권보호위) 교사 비율이 9.3%밖에 안 돼요. 관리자는 25.5%인데."]
이달부터 시행된 청소년 무료 버스 정책에 대해선 지원 대상에 빠진 중도 입국 자녀 등 취약계층 청소년이 소외되지 않도록 보완해달라고 의원들은 주문했습니다.
KBS 뉴스 임연희입니다.
촬영기자:한창희
새 정부 들어 인공지능 디지털 교과서의 지위가 교육자료로 격하됐죠,
오늘 열린 도의회 임시회에선 디지털 교과서 정책 변화에 따른 혼란을 막기 위한 대책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왔습니다.
임연희 기자입니다.
[리포트]
올해 초 제주도 내 학교 절반 가까운 100곳에서 인공지능 디지털교과서를 도입했습니다.
현장 교사들 반응은 냉담했습니다.
전교조 제주지부 자체 조사 결과 도내 교사 10명 중 8명이 수업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답해 대다수가 부정적이었습니다.
결국 새 정부 출범 후 디지털교과서의 법적 지위를 참고용 교육자료로 낮추는 법안이 국회를 통과하며 사실상 퇴출 수순을 밟게 됐습니다.
전국에서 3번째로 디지털 교과서 도입 비중이 큰 제주.
윤석열 정부의 졸속인 교육 정책을 제주도교육청이 앞장서 추진해 혼란을 부추겼다는 질타가 나왔습니다.
[고의숙/제주도의원 : "학교의 우려, 교육단체의 우려, 의회의 우려를 신중히 받아들이지 않은 결과 학교의 2학기 혼란은 교육청이 온전히 감당하면서 처리해야 될 상황에 이르렀다."]
제주 지역 디지털교과서 예산은 13억 9천만 원.
70%는 이미 집행됐는데 남은 예산은 어떻게 할지 후속 대응마저 미흡하다고 지적했습니다.
[김창식/제주도의원 : "2학기에 교육자료로 이것이 전환될 건데 (디지털교과서 구독료) 계약 상황을 어떻게 할 겁니까? 추진을?"]
[문정옥/제주도교육청 기획조정실장 : "검정도서 자격을 상실한 것으로 볼 수 있는가에 대한 법률 자문이라든가, 아니면 교육부의 답변이 필요한 상황입니다."]
민원에 시달리다 명을 달리한 중학교 교사 사건 이후 무너지는 교권에 대한 우려도 나왔습니다.
특히 교사들이 마지막으로 기댈 수 있는 지역교권보호위원회의 교사 참여 비중이 낮다는 지적이 나왔습니다.
[강동우/제주도의원 : "유독 제주시교육지원청은 (교권보호위) 교사 비율이 9.3%밖에 안 돼요. 관리자는 25.5%인데."]
이달부터 시행된 청소년 무료 버스 정책에 대해선 지원 대상에 빠진 중도 입국 자녀 등 취약계층 청소년이 소외되지 않도록 보완해달라고 의원들은 주문했습니다.
KBS 뉴스 임연희입니다.
촬영기자:한창희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퇴출 수순 디지털교과서 도입 3위 제주…후속 조치 어떻게?
-
- 입력 2025-08-07 21:48:41
- 수정2025-08-07 21:53:20

[앵커]
새 정부 들어 인공지능 디지털 교과서의 지위가 교육자료로 격하됐죠,
오늘 열린 도의회 임시회에선 디지털 교과서 정책 변화에 따른 혼란을 막기 위한 대책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왔습니다.
임연희 기자입니다.
[리포트]
올해 초 제주도 내 학교 절반 가까운 100곳에서 인공지능 디지털교과서를 도입했습니다.
현장 교사들 반응은 냉담했습니다.
전교조 제주지부 자체 조사 결과 도내 교사 10명 중 8명이 수업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답해 대다수가 부정적이었습니다.
결국 새 정부 출범 후 디지털교과서의 법적 지위를 참고용 교육자료로 낮추는 법안이 국회를 통과하며 사실상 퇴출 수순을 밟게 됐습니다.
전국에서 3번째로 디지털 교과서 도입 비중이 큰 제주.
윤석열 정부의 졸속인 교육 정책을 제주도교육청이 앞장서 추진해 혼란을 부추겼다는 질타가 나왔습니다.
[고의숙/제주도의원 : "학교의 우려, 교육단체의 우려, 의회의 우려를 신중히 받아들이지 않은 결과 학교의 2학기 혼란은 교육청이 온전히 감당하면서 처리해야 될 상황에 이르렀다."]
제주 지역 디지털교과서 예산은 13억 9천만 원.
70%는 이미 집행됐는데 남은 예산은 어떻게 할지 후속 대응마저 미흡하다고 지적했습니다.
[김창식/제주도의원 : "2학기에 교육자료로 이것이 전환될 건데 (디지털교과서 구독료) 계약 상황을 어떻게 할 겁니까? 추진을?"]
[문정옥/제주도교육청 기획조정실장 : "검정도서 자격을 상실한 것으로 볼 수 있는가에 대한 법률 자문이라든가, 아니면 교육부의 답변이 필요한 상황입니다."]
민원에 시달리다 명을 달리한 중학교 교사 사건 이후 무너지는 교권에 대한 우려도 나왔습니다.
특히 교사들이 마지막으로 기댈 수 있는 지역교권보호위원회의 교사 참여 비중이 낮다는 지적이 나왔습니다.
[강동우/제주도의원 : "유독 제주시교육지원청은 (교권보호위) 교사 비율이 9.3%밖에 안 돼요. 관리자는 25.5%인데."]
이달부터 시행된 청소년 무료 버스 정책에 대해선 지원 대상에 빠진 중도 입국 자녀 등 취약계층 청소년이 소외되지 않도록 보완해달라고 의원들은 주문했습니다.
KBS 뉴스 임연희입니다.
촬영기자:한창희
새 정부 들어 인공지능 디지털 교과서의 지위가 교육자료로 격하됐죠,
오늘 열린 도의회 임시회에선 디지털 교과서 정책 변화에 따른 혼란을 막기 위한 대책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왔습니다.
임연희 기자입니다.
[리포트]
올해 초 제주도 내 학교 절반 가까운 100곳에서 인공지능 디지털교과서를 도입했습니다.
현장 교사들 반응은 냉담했습니다.
전교조 제주지부 자체 조사 결과 도내 교사 10명 중 8명이 수업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답해 대다수가 부정적이었습니다.
결국 새 정부 출범 후 디지털교과서의 법적 지위를 참고용 교육자료로 낮추는 법안이 국회를 통과하며 사실상 퇴출 수순을 밟게 됐습니다.
전국에서 3번째로 디지털 교과서 도입 비중이 큰 제주.
윤석열 정부의 졸속인 교육 정책을 제주도교육청이 앞장서 추진해 혼란을 부추겼다는 질타가 나왔습니다.
[고의숙/제주도의원 : "학교의 우려, 교육단체의 우려, 의회의 우려를 신중히 받아들이지 않은 결과 학교의 2학기 혼란은 교육청이 온전히 감당하면서 처리해야 될 상황에 이르렀다."]
제주 지역 디지털교과서 예산은 13억 9천만 원.
70%는 이미 집행됐는데 남은 예산은 어떻게 할지 후속 대응마저 미흡하다고 지적했습니다.
[김창식/제주도의원 : "2학기에 교육자료로 이것이 전환될 건데 (디지털교과서 구독료) 계약 상황을 어떻게 할 겁니까? 추진을?"]
[문정옥/제주도교육청 기획조정실장 : "검정도서 자격을 상실한 것으로 볼 수 있는가에 대한 법률 자문이라든가, 아니면 교육부의 답변이 필요한 상황입니다."]
민원에 시달리다 명을 달리한 중학교 교사 사건 이후 무너지는 교권에 대한 우려도 나왔습니다.
특히 교사들이 마지막으로 기댈 수 있는 지역교권보호위원회의 교사 참여 비중이 낮다는 지적이 나왔습니다.
[강동우/제주도의원 : "유독 제주시교육지원청은 (교권보호위) 교사 비율이 9.3%밖에 안 돼요. 관리자는 25.5%인데."]
이달부터 시행된 청소년 무료 버스 정책에 대해선 지원 대상에 빠진 중도 입국 자녀 등 취약계층 청소년이 소외되지 않도록 보완해달라고 의원들은 주문했습니다.
KBS 뉴스 임연희입니다.
촬영기자:한창희
-
-
임연희 기자 yhlim@kbs.co.kr
임연희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