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운 바다서도 생존’…고수온 적합 어종 키운다

입력 2025.08.08 (08:45) 수정 2025.08.08 (09:36)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최근 고급 어종인 참다랑어가 동해에서 대량으로 잡히고, 양식장 어류는 폐사하는 등 기후 변화가 바다 생태계에 큰 영향을 주고 있는데요,

경북도가 바다 환경 변화에 대응해 고수온 적합 어종 양식에 본격적으로 나섰습니다.

김도훈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어린 말쥐치들이 커다란 수조 속을 누빕니다.

지난 3월 부화해 넉 달 정도 키운 개체로, 포항과 영덕 등 바다 양식장으로 옮겨져 성체가 될 때까지 자라게 됩니다.

회나 조림, 구이용으로 인기가 높은 말쥐치는 지금껏 제주도와 남해안 일대의 양식장에서 키워왔는데, 경북 동해안에서 생산과 양식에 나서는 건 이번이 처음입니다.

기후 변화로 인한 수온 상승 때문입니다.

[임후순/경북어업기술원 어업기술지원과장 : "(말쥐치는) 아열대 어종이라서 수온에 굉장히 강합니다. 고수온에 강해서, 수온이 좀 올라가도 살아날 수 있는 확률이 많아서 대체 어종으로 생각하게 됐습니다."]

경북 동해안에는 지난 1일부터 고수온 주의보가 내려졌습니다.

전 세계 바다의 표층 수온은 지난 1968년 이후 0.74도 올랐는데 같은 기간 우리나라 동해의 경우 대마난류 등의 영향으로 이보다 3배가량 높은 2.04도나 상승했습니다.

해마다 고수온으로 주력 어종인 강도다리와 넙치 등 집단 폐사가 잇따르자 경북도는 말쥐치와 잿방어 같은 품종 전환에 나섰습니다.

[박형환/경상북도 해양수산과장 : "스마트 양식 고도화를 적극 추진하고 있습니다. 고수온에 강한 신품종을 개발해서 첨단 양식 시설을 활용한 기후 환경 변화에 적극 대응하도록 하겠습니다."]

기후 온난화로 바다 생태계가 급변하고 있는 가운데 대안 어종 양식이 성과를 거둘지 주목됩니다.

KBS 뉴스 김도훈입니다.

촬영기자:신상응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더운 바다서도 생존’…고수온 적합 어종 키운다
    • 입력 2025-08-08 08:45:05
    • 수정2025-08-08 09:36:46
    뉴스광장(대구)
[앵커]

최근 고급 어종인 참다랑어가 동해에서 대량으로 잡히고, 양식장 어류는 폐사하는 등 기후 변화가 바다 생태계에 큰 영향을 주고 있는데요,

경북도가 바다 환경 변화에 대응해 고수온 적합 어종 양식에 본격적으로 나섰습니다.

김도훈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어린 말쥐치들이 커다란 수조 속을 누빕니다.

지난 3월 부화해 넉 달 정도 키운 개체로, 포항과 영덕 등 바다 양식장으로 옮겨져 성체가 될 때까지 자라게 됩니다.

회나 조림, 구이용으로 인기가 높은 말쥐치는 지금껏 제주도와 남해안 일대의 양식장에서 키워왔는데, 경북 동해안에서 생산과 양식에 나서는 건 이번이 처음입니다.

기후 변화로 인한 수온 상승 때문입니다.

[임후순/경북어업기술원 어업기술지원과장 : "(말쥐치는) 아열대 어종이라서 수온에 굉장히 강합니다. 고수온에 강해서, 수온이 좀 올라가도 살아날 수 있는 확률이 많아서 대체 어종으로 생각하게 됐습니다."]

경북 동해안에는 지난 1일부터 고수온 주의보가 내려졌습니다.

전 세계 바다의 표층 수온은 지난 1968년 이후 0.74도 올랐는데 같은 기간 우리나라 동해의 경우 대마난류 등의 영향으로 이보다 3배가량 높은 2.04도나 상승했습니다.

해마다 고수온으로 주력 어종인 강도다리와 넙치 등 집단 폐사가 잇따르자 경북도는 말쥐치와 잿방어 같은 품종 전환에 나섰습니다.

[박형환/경상북도 해양수산과장 : "스마트 양식 고도화를 적극 추진하고 있습니다. 고수온에 강한 신품종을 개발해서 첨단 양식 시설을 활용한 기후 환경 변화에 적극 대응하도록 하겠습니다."]

기후 온난화로 바다 생태계가 급변하고 있는 가운데 대안 어종 양식이 성과를 거둘지 주목됩니다.

KBS 뉴스 김도훈입니다.

촬영기자:신상응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대구-주요뉴스

더보기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