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형 자율학교 ‘디카시’ 교육 눈길…학교 공동체 동참
입력 2025.08.09 (21:49)
수정 2025.08.09 (21:56)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디카시'라고 들어보셨나요?
디지털카메라로 찍은 사진에 시 구절을 더하는 새로운 문학 장르라고 하는데요.
제주의 한 자율학교에서 '디카시 교육'이 뿌리를 내리며 결실을 보고 있습니다.
임연희 기자입니다.
[리포트]
["노을은 마치 귤즙을 하늘에 짠 것 같다. 하늘에서 귤즙을 먹으며 자면 어떤 꿈을 꿀까."]
노을 진 제주 바다 사진에 특유의 상상력이 더해진 시 한 구절.
디지털카메라 사진에 짧은 시를 덧붙이는 이른바 '디카시' 작품입니다.
제주형 자율학교인 효돈중학교에서 '디카시' 수업을 시작한 건 2021년.
사진 촬영을 좋아하는 요즘 또래 학생들 선호에 맞춰 문학적 발상과 사유력, 창의력을 키우기 위해섭니다.
[현서원/효돈중학교 학생 : "그냥 보통의 시처럼 흔하지 않고 우리 학교에서만 특별히 다루는 시였다 보니까. 조금 더 의미 있었던 것 같고."]
매년 차곡차곡 모인 디카시 작품은 최근 중학교 철학 수업용 교과서인 교육청 인정 도서에도 실렸습니다.
틀에 박힌 교육과정에서 벗어나 창의적 교육 시도를 할 수 있는 제주형 자율학교여서 가능했습니다.
[송미혜/효돈중학교 교장 : "우리 학교는 다른 학교에서 하지 않는 중학교 철학을 지금 3년째 수업을 하고 있어요. 그래서 디카시를 쓰면서 아이들이 사유하는 것, 철학 하는 것(을 배우죠.)"]
최근엔 학생뿐만 아니라 학부모와 교직원, 마을 아이들과 주민들이 함께 디카시 시집을 펴냈습니다.
[정시아·윤영지/마을 주민 : "우리 동네에 항상 매년 열리는 축제가 있는데. 쇠소깍 축제라고. 그때 우연히 축제에 참가했다가 시를 제출했는데 당선이 됐어요."]
자율형 학교에서 심은 특별한 창작 활동의 씨앗이 학교 담장 너머 지역공동체까지 가지로 뻗어나가고 있습니다.
KBS 뉴스 임연희입니다.
촬영기자:고성호
'디카시'라고 들어보셨나요?
디지털카메라로 찍은 사진에 시 구절을 더하는 새로운 문학 장르라고 하는데요.
제주의 한 자율학교에서 '디카시 교육'이 뿌리를 내리며 결실을 보고 있습니다.
임연희 기자입니다.
[리포트]
["노을은 마치 귤즙을 하늘에 짠 것 같다. 하늘에서 귤즙을 먹으며 자면 어떤 꿈을 꿀까."]
노을 진 제주 바다 사진에 특유의 상상력이 더해진 시 한 구절.
디지털카메라 사진에 짧은 시를 덧붙이는 이른바 '디카시' 작품입니다.
제주형 자율학교인 효돈중학교에서 '디카시' 수업을 시작한 건 2021년.
사진 촬영을 좋아하는 요즘 또래 학생들 선호에 맞춰 문학적 발상과 사유력, 창의력을 키우기 위해섭니다.
[현서원/효돈중학교 학생 : "그냥 보통의 시처럼 흔하지 않고 우리 학교에서만 특별히 다루는 시였다 보니까. 조금 더 의미 있었던 것 같고."]
매년 차곡차곡 모인 디카시 작품은 최근 중학교 철학 수업용 교과서인 교육청 인정 도서에도 실렸습니다.
틀에 박힌 교육과정에서 벗어나 창의적 교육 시도를 할 수 있는 제주형 자율학교여서 가능했습니다.
[송미혜/효돈중학교 교장 : "우리 학교는 다른 학교에서 하지 않는 중학교 철학을 지금 3년째 수업을 하고 있어요. 그래서 디카시를 쓰면서 아이들이 사유하는 것, 철학 하는 것(을 배우죠.)"]
최근엔 학생뿐만 아니라 학부모와 교직원, 마을 아이들과 주민들이 함께 디카시 시집을 펴냈습니다.
[정시아·윤영지/마을 주민 : "우리 동네에 항상 매년 열리는 축제가 있는데. 쇠소깍 축제라고. 그때 우연히 축제에 참가했다가 시를 제출했는데 당선이 됐어요."]
자율형 학교에서 심은 특별한 창작 활동의 씨앗이 학교 담장 너머 지역공동체까지 가지로 뻗어나가고 있습니다.
KBS 뉴스 임연희입니다.
촬영기자:고성호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제주형 자율학교 ‘디카시’ 교육 눈길…학교 공동체 동참
-
- 입력 2025-08-09 21:49:25
- 수정2025-08-09 21:56:58

[앵커]
'디카시'라고 들어보셨나요?
디지털카메라로 찍은 사진에 시 구절을 더하는 새로운 문학 장르라고 하는데요.
제주의 한 자율학교에서 '디카시 교육'이 뿌리를 내리며 결실을 보고 있습니다.
임연희 기자입니다.
[리포트]
["노을은 마치 귤즙을 하늘에 짠 것 같다. 하늘에서 귤즙을 먹으며 자면 어떤 꿈을 꿀까."]
노을 진 제주 바다 사진에 특유의 상상력이 더해진 시 한 구절.
디지털카메라 사진에 짧은 시를 덧붙이는 이른바 '디카시' 작품입니다.
제주형 자율학교인 효돈중학교에서 '디카시' 수업을 시작한 건 2021년.
사진 촬영을 좋아하는 요즘 또래 학생들 선호에 맞춰 문학적 발상과 사유력, 창의력을 키우기 위해섭니다.
[현서원/효돈중학교 학생 : "그냥 보통의 시처럼 흔하지 않고 우리 학교에서만 특별히 다루는 시였다 보니까. 조금 더 의미 있었던 것 같고."]
매년 차곡차곡 모인 디카시 작품은 최근 중학교 철학 수업용 교과서인 교육청 인정 도서에도 실렸습니다.
틀에 박힌 교육과정에서 벗어나 창의적 교육 시도를 할 수 있는 제주형 자율학교여서 가능했습니다.
[송미혜/효돈중학교 교장 : "우리 학교는 다른 학교에서 하지 않는 중학교 철학을 지금 3년째 수업을 하고 있어요. 그래서 디카시를 쓰면서 아이들이 사유하는 것, 철학 하는 것(을 배우죠.)"]
최근엔 학생뿐만 아니라 학부모와 교직원, 마을 아이들과 주민들이 함께 디카시 시집을 펴냈습니다.
[정시아·윤영지/마을 주민 : "우리 동네에 항상 매년 열리는 축제가 있는데. 쇠소깍 축제라고. 그때 우연히 축제에 참가했다가 시를 제출했는데 당선이 됐어요."]
자율형 학교에서 심은 특별한 창작 활동의 씨앗이 학교 담장 너머 지역공동체까지 가지로 뻗어나가고 있습니다.
KBS 뉴스 임연희입니다.
촬영기자:고성호
'디카시'라고 들어보셨나요?
디지털카메라로 찍은 사진에 시 구절을 더하는 새로운 문학 장르라고 하는데요.
제주의 한 자율학교에서 '디카시 교육'이 뿌리를 내리며 결실을 보고 있습니다.
임연희 기자입니다.
[리포트]
["노을은 마치 귤즙을 하늘에 짠 것 같다. 하늘에서 귤즙을 먹으며 자면 어떤 꿈을 꿀까."]
노을 진 제주 바다 사진에 특유의 상상력이 더해진 시 한 구절.
디지털카메라 사진에 짧은 시를 덧붙이는 이른바 '디카시' 작품입니다.
제주형 자율학교인 효돈중학교에서 '디카시' 수업을 시작한 건 2021년.
사진 촬영을 좋아하는 요즘 또래 학생들 선호에 맞춰 문학적 발상과 사유력, 창의력을 키우기 위해섭니다.
[현서원/효돈중학교 학생 : "그냥 보통의 시처럼 흔하지 않고 우리 학교에서만 특별히 다루는 시였다 보니까. 조금 더 의미 있었던 것 같고."]
매년 차곡차곡 모인 디카시 작품은 최근 중학교 철학 수업용 교과서인 교육청 인정 도서에도 실렸습니다.
틀에 박힌 교육과정에서 벗어나 창의적 교육 시도를 할 수 있는 제주형 자율학교여서 가능했습니다.
[송미혜/효돈중학교 교장 : "우리 학교는 다른 학교에서 하지 않는 중학교 철학을 지금 3년째 수업을 하고 있어요. 그래서 디카시를 쓰면서 아이들이 사유하는 것, 철학 하는 것(을 배우죠.)"]
최근엔 학생뿐만 아니라 학부모와 교직원, 마을 아이들과 주민들이 함께 디카시 시집을 펴냈습니다.
[정시아·윤영지/마을 주민 : "우리 동네에 항상 매년 열리는 축제가 있는데. 쇠소깍 축제라고. 그때 우연히 축제에 참가했다가 시를 제출했는데 당선이 됐어요."]
자율형 학교에서 심은 특별한 창작 활동의 씨앗이 학교 담장 너머 지역공동체까지 가지로 뻗어나가고 있습니다.
KBS 뉴스 임연희입니다.
촬영기자:고성호
-
-
임연희 기자 yhlim@kbs.co.kr
임연희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