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정체제개편 논란 계속…“무리한 예산 편성” vs “여론조사 중단”
입력 2025.08.12 (19:00)
수정 2025.08.12 (19:07)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제주형 행정체제개편을 둘러싼 논란이 연일 계속되고 있습니다.
제주도가 추경에 포함한 행정체제개편 예산에 대해 예결위 심사가 시작됐는데요.
전액 삭감 요구가 나오는가 하면, 도의회 차원의 여론조사를 멈춰야 한단 지적도 나왔습니다.
안서연 기자입니다.
[리포트]
제주도가 편성한 행정체제개편 예산은 198억 원.
상임위는 이 가운데 청사 리모델링 등 40억 원을 삭감했습니다.
공을 넘겨받은 예결위에선 민생 경제 회복을 위한 추경안에 목적과 다른 예산을 편성한 것을 놓고 질타가 쏟아졌습니다.
[고의숙/제주도의원 : "예산을 편성함으로 인해서 감당해야 하는 도민들의 민생 예산의 삭감, 이 부분에 대해서는 어떻게 책임지실지."]
[진명기/제주도 행정부지사 : "우리는 미리 준비하고자 하는 거고 도의 상징적 추진 의지를 보여줄 필요가 있다."]
숙의형 공론화에 대한 해석도 엇갈렸습니다.
공론화 초창기 여론조사에서 60% 이상이 2개 시 유지를 원했는데도 제외됐다는 지적과 함께 바로 잡아야 한단 주장이 나오는가 하면,
[김경학/제주도의원 : "예산을 전액 삭감해서 주민투표 요구 중단에 대한 의지를 보여야 할 때다, 이런 생각을 가지고 있습니다. 어떻게 생각하세요?"]
이미 민주적 정당성을 확보했다며, 도의장이 추진하는 여론조사를 멈춰야 한단 목소리도 나왔습니다.
[송영훈/제주도의원 : "다수 의원님이 이 방식에 대해서는 나중에 더 분란이 커질 수도 있고 도민 사회 갈등이 더 악화할 수 있다."]
내년 7월 출범까지는 시간이 촉박한 만큼 속도 조절이 필요하단 의견도 나온 가운데, 제주도는 내일 발표되는 국정기획위의 국정과제가 변곡점이 될 것이라고 기대했습니다.
한편, 의회는 오는 20일 계획대로 여론조사를 실시한단 방침입니다.
의회는 입법 담당관의 유권 해석 결과, 민주주의 권한 실현을 위한 의회 차원의 여론조사가 가능하고 2015년에도 단독으로 한 적 있다고 밝혔습니다.
아울러 강원도의회에선 주요 정책 결정에 주민 여론을 반영하기 위해 여론조사 조례를 제정하기도 했다며 명분은 충분하다고 덧붙였습니다.
KBS 뉴스 안서연입니다.
촬영기자:부수홍/그래픽:박미나
제주형 행정체제개편을 둘러싼 논란이 연일 계속되고 있습니다.
제주도가 추경에 포함한 행정체제개편 예산에 대해 예결위 심사가 시작됐는데요.
전액 삭감 요구가 나오는가 하면, 도의회 차원의 여론조사를 멈춰야 한단 지적도 나왔습니다.
안서연 기자입니다.
[리포트]
제주도가 편성한 행정체제개편 예산은 198억 원.
상임위는 이 가운데 청사 리모델링 등 40억 원을 삭감했습니다.
공을 넘겨받은 예결위에선 민생 경제 회복을 위한 추경안에 목적과 다른 예산을 편성한 것을 놓고 질타가 쏟아졌습니다.
[고의숙/제주도의원 : "예산을 편성함으로 인해서 감당해야 하는 도민들의 민생 예산의 삭감, 이 부분에 대해서는 어떻게 책임지실지."]
[진명기/제주도 행정부지사 : "우리는 미리 준비하고자 하는 거고 도의 상징적 추진 의지를 보여줄 필요가 있다."]
숙의형 공론화에 대한 해석도 엇갈렸습니다.
공론화 초창기 여론조사에서 60% 이상이 2개 시 유지를 원했는데도 제외됐다는 지적과 함께 바로 잡아야 한단 주장이 나오는가 하면,
[김경학/제주도의원 : "예산을 전액 삭감해서 주민투표 요구 중단에 대한 의지를 보여야 할 때다, 이런 생각을 가지고 있습니다. 어떻게 생각하세요?"]
이미 민주적 정당성을 확보했다며, 도의장이 추진하는 여론조사를 멈춰야 한단 목소리도 나왔습니다.
[송영훈/제주도의원 : "다수 의원님이 이 방식에 대해서는 나중에 더 분란이 커질 수도 있고 도민 사회 갈등이 더 악화할 수 있다."]
내년 7월 출범까지는 시간이 촉박한 만큼 속도 조절이 필요하단 의견도 나온 가운데, 제주도는 내일 발표되는 국정기획위의 국정과제가 변곡점이 될 것이라고 기대했습니다.
한편, 의회는 오는 20일 계획대로 여론조사를 실시한단 방침입니다.
의회는 입법 담당관의 유권 해석 결과, 민주주의 권한 실현을 위한 의회 차원의 여론조사가 가능하고 2015년에도 단독으로 한 적 있다고 밝혔습니다.
아울러 강원도의회에선 주요 정책 결정에 주민 여론을 반영하기 위해 여론조사 조례를 제정하기도 했다며 명분은 충분하다고 덧붙였습니다.
KBS 뉴스 안서연입니다.
촬영기자:부수홍/그래픽:박미나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행정체제개편 논란 계속…“무리한 예산 편성” vs “여론조사 중단”
-
- 입력 2025-08-12 19:00:03
- 수정2025-08-12 19:07:17

[앵커]
제주형 행정체제개편을 둘러싼 논란이 연일 계속되고 있습니다.
제주도가 추경에 포함한 행정체제개편 예산에 대해 예결위 심사가 시작됐는데요.
전액 삭감 요구가 나오는가 하면, 도의회 차원의 여론조사를 멈춰야 한단 지적도 나왔습니다.
안서연 기자입니다.
[리포트]
제주도가 편성한 행정체제개편 예산은 198억 원.
상임위는 이 가운데 청사 리모델링 등 40억 원을 삭감했습니다.
공을 넘겨받은 예결위에선 민생 경제 회복을 위한 추경안에 목적과 다른 예산을 편성한 것을 놓고 질타가 쏟아졌습니다.
[고의숙/제주도의원 : "예산을 편성함으로 인해서 감당해야 하는 도민들의 민생 예산의 삭감, 이 부분에 대해서는 어떻게 책임지실지."]
[진명기/제주도 행정부지사 : "우리는 미리 준비하고자 하는 거고 도의 상징적 추진 의지를 보여줄 필요가 있다."]
숙의형 공론화에 대한 해석도 엇갈렸습니다.
공론화 초창기 여론조사에서 60% 이상이 2개 시 유지를 원했는데도 제외됐다는 지적과 함께 바로 잡아야 한단 주장이 나오는가 하면,
[김경학/제주도의원 : "예산을 전액 삭감해서 주민투표 요구 중단에 대한 의지를 보여야 할 때다, 이런 생각을 가지고 있습니다. 어떻게 생각하세요?"]
이미 민주적 정당성을 확보했다며, 도의장이 추진하는 여론조사를 멈춰야 한단 목소리도 나왔습니다.
[송영훈/제주도의원 : "다수 의원님이 이 방식에 대해서는 나중에 더 분란이 커질 수도 있고 도민 사회 갈등이 더 악화할 수 있다."]
내년 7월 출범까지는 시간이 촉박한 만큼 속도 조절이 필요하단 의견도 나온 가운데, 제주도는 내일 발표되는 국정기획위의 국정과제가 변곡점이 될 것이라고 기대했습니다.
한편, 의회는 오는 20일 계획대로 여론조사를 실시한단 방침입니다.
의회는 입법 담당관의 유권 해석 결과, 민주주의 권한 실현을 위한 의회 차원의 여론조사가 가능하고 2015년에도 단독으로 한 적 있다고 밝혔습니다.
아울러 강원도의회에선 주요 정책 결정에 주민 여론을 반영하기 위해 여론조사 조례를 제정하기도 했다며 명분은 충분하다고 덧붙였습니다.
KBS 뉴스 안서연입니다.
촬영기자:부수홍/그래픽:박미나
제주형 행정체제개편을 둘러싼 논란이 연일 계속되고 있습니다.
제주도가 추경에 포함한 행정체제개편 예산에 대해 예결위 심사가 시작됐는데요.
전액 삭감 요구가 나오는가 하면, 도의회 차원의 여론조사를 멈춰야 한단 지적도 나왔습니다.
안서연 기자입니다.
[리포트]
제주도가 편성한 행정체제개편 예산은 198억 원.
상임위는 이 가운데 청사 리모델링 등 40억 원을 삭감했습니다.
공을 넘겨받은 예결위에선 민생 경제 회복을 위한 추경안에 목적과 다른 예산을 편성한 것을 놓고 질타가 쏟아졌습니다.
[고의숙/제주도의원 : "예산을 편성함으로 인해서 감당해야 하는 도민들의 민생 예산의 삭감, 이 부분에 대해서는 어떻게 책임지실지."]
[진명기/제주도 행정부지사 : "우리는 미리 준비하고자 하는 거고 도의 상징적 추진 의지를 보여줄 필요가 있다."]
숙의형 공론화에 대한 해석도 엇갈렸습니다.
공론화 초창기 여론조사에서 60% 이상이 2개 시 유지를 원했는데도 제외됐다는 지적과 함께 바로 잡아야 한단 주장이 나오는가 하면,
[김경학/제주도의원 : "예산을 전액 삭감해서 주민투표 요구 중단에 대한 의지를 보여야 할 때다, 이런 생각을 가지고 있습니다. 어떻게 생각하세요?"]
이미 민주적 정당성을 확보했다며, 도의장이 추진하는 여론조사를 멈춰야 한단 목소리도 나왔습니다.
[송영훈/제주도의원 : "다수 의원님이 이 방식에 대해서는 나중에 더 분란이 커질 수도 있고 도민 사회 갈등이 더 악화할 수 있다."]
내년 7월 출범까지는 시간이 촉박한 만큼 속도 조절이 필요하단 의견도 나온 가운데, 제주도는 내일 발표되는 국정기획위의 국정과제가 변곡점이 될 것이라고 기대했습니다.
한편, 의회는 오는 20일 계획대로 여론조사를 실시한단 방침입니다.
의회는 입법 담당관의 유권 해석 결과, 민주주의 권한 실현을 위한 의회 차원의 여론조사가 가능하고 2015년에도 단독으로 한 적 있다고 밝혔습니다.
아울러 강원도의회에선 주요 정책 결정에 주민 여론을 반영하기 위해 여론조사 조례를 제정하기도 했다며 명분은 충분하다고 덧붙였습니다.
KBS 뉴스 안서연입니다.
촬영기자:부수홍/그래픽:박미나
-
-
안서연 기자 asy0104@kbs.co.kr
안서연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