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0년 전 기쁨 고스란히…‘광복 소나무’ 재조명
입력 2025.08.12 (19:14)
수정 2025.08.14 (16:43)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올해는 광복 80주년인데요,
대구에는, 80년 전 광복의 기쁨 속에 한 문중에서 심은 소나무가 있습니다.
80살이 된 영남 유일의 광복 소나무를 박진영 기자가 소개합니다.
[리포트]
대구 동구의 산골짜기에 자리한 단양 우씨 재실 '첨백당'.
건물 앞에 기품 있는 소나무 한 그루가 서 있습니다.
1945년 8월 15일 나라를 되찾은 날, 단양 우씨 문중이 심은 광복절 기념수입니다.
높이 6미터, 폭 9미터로 많은 가지가 여러 갈래로 굴곡져 뻗은 모습이 인상적입니다.
나무 옆에는 '단기 4278년 8월 15일, 해방기념' 이라고 적힌 비도 세워져 있습니다.
[우효/단양 우씨 종손 : "조부이신 우하정께서 광복의 기쁨을 누리고 후손들에게 영원히 수치스러운 일이 없도록 교훈적인 뜻을 담아서."]
소중한 의미를 담고 있지만 지역에는 그동안 잘 알려지지 않았습니다.
그러다 20년 전, 도평동장을 역임한 최주원 씨가 소나무 유래를 조사하고 '광복 소나무'라고 이름 붙여 홍보에 나섰습니다.
이후 최 씨는 정부가 광복절 기념물을 잘 관리하지 않는 사실을 깨닫고, 봉사단체까지 만들었는데, 10년 동안 전국에서 소나무 5곳, 탑 18곳을 발굴했습니다.
[최주원/광복소나무사랑모임 봉사단 회장 : "3·1절 관련 시설물은 정부에서 관리하는데 광복 기념물은 국가가 담당 부처도 없고 무관심합니다. 그래서 봉사단체에서 광복 기념물에 대한 관심을 갖고 활동하고 있습니다."]
봉사단체는 광복절을 맞아 이달 말까지 2.28 기념 학생도서관에서 전국 광복 기념물 사진회를 열어 광복의 의미를 되새깁니다.
KBS 뉴스 박진영입니다.
촬영기자:박병규
올해는 광복 80주년인데요,
대구에는, 80년 전 광복의 기쁨 속에 한 문중에서 심은 소나무가 있습니다.
80살이 된 영남 유일의 광복 소나무를 박진영 기자가 소개합니다.
[리포트]
대구 동구의 산골짜기에 자리한 단양 우씨 재실 '첨백당'.
건물 앞에 기품 있는 소나무 한 그루가 서 있습니다.
1945년 8월 15일 나라를 되찾은 날, 단양 우씨 문중이 심은 광복절 기념수입니다.
높이 6미터, 폭 9미터로 많은 가지가 여러 갈래로 굴곡져 뻗은 모습이 인상적입니다.
나무 옆에는 '단기 4278년 8월 15일, 해방기념' 이라고 적힌 비도 세워져 있습니다.
[우효/단양 우씨 종손 : "조부이신 우하정께서 광복의 기쁨을 누리고 후손들에게 영원히 수치스러운 일이 없도록 교훈적인 뜻을 담아서."]
소중한 의미를 담고 있지만 지역에는 그동안 잘 알려지지 않았습니다.
그러다 20년 전, 도평동장을 역임한 최주원 씨가 소나무 유래를 조사하고 '광복 소나무'라고 이름 붙여 홍보에 나섰습니다.
이후 최 씨는 정부가 광복절 기념물을 잘 관리하지 않는 사실을 깨닫고, 봉사단체까지 만들었는데, 10년 동안 전국에서 소나무 5곳, 탑 18곳을 발굴했습니다.
[최주원/광복소나무사랑모임 봉사단 회장 : "3·1절 관련 시설물은 정부에서 관리하는데 광복 기념물은 국가가 담당 부처도 없고 무관심합니다. 그래서 봉사단체에서 광복 기념물에 대한 관심을 갖고 활동하고 있습니다."]
봉사단체는 광복절을 맞아 이달 말까지 2.28 기념 학생도서관에서 전국 광복 기념물 사진회를 열어 광복의 의미를 되새깁니다.
KBS 뉴스 박진영입니다.
촬영기자:박병규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80년 전 기쁨 고스란히…‘광복 소나무’ 재조명
-
- 입력 2025-08-12 19:14:47
- 수정2025-08-14 16:43:03

[앵커]
올해는 광복 80주년인데요,
대구에는, 80년 전 광복의 기쁨 속에 한 문중에서 심은 소나무가 있습니다.
80살이 된 영남 유일의 광복 소나무를 박진영 기자가 소개합니다.
[리포트]
대구 동구의 산골짜기에 자리한 단양 우씨 재실 '첨백당'.
건물 앞에 기품 있는 소나무 한 그루가 서 있습니다.
1945년 8월 15일 나라를 되찾은 날, 단양 우씨 문중이 심은 광복절 기념수입니다.
높이 6미터, 폭 9미터로 많은 가지가 여러 갈래로 굴곡져 뻗은 모습이 인상적입니다.
나무 옆에는 '단기 4278년 8월 15일, 해방기념' 이라고 적힌 비도 세워져 있습니다.
[우효/단양 우씨 종손 : "조부이신 우하정께서 광복의 기쁨을 누리고 후손들에게 영원히 수치스러운 일이 없도록 교훈적인 뜻을 담아서."]
소중한 의미를 담고 있지만 지역에는 그동안 잘 알려지지 않았습니다.
그러다 20년 전, 도평동장을 역임한 최주원 씨가 소나무 유래를 조사하고 '광복 소나무'라고 이름 붙여 홍보에 나섰습니다.
이후 최 씨는 정부가 광복절 기념물을 잘 관리하지 않는 사실을 깨닫고, 봉사단체까지 만들었는데, 10년 동안 전국에서 소나무 5곳, 탑 18곳을 발굴했습니다.
[최주원/광복소나무사랑모임 봉사단 회장 : "3·1절 관련 시설물은 정부에서 관리하는데 광복 기념물은 국가가 담당 부처도 없고 무관심합니다. 그래서 봉사단체에서 광복 기념물에 대한 관심을 갖고 활동하고 있습니다."]
봉사단체는 광복절을 맞아 이달 말까지 2.28 기념 학생도서관에서 전국 광복 기념물 사진회를 열어 광복의 의미를 되새깁니다.
KBS 뉴스 박진영입니다.
촬영기자:박병규
올해는 광복 80주년인데요,
대구에는, 80년 전 광복의 기쁨 속에 한 문중에서 심은 소나무가 있습니다.
80살이 된 영남 유일의 광복 소나무를 박진영 기자가 소개합니다.
[리포트]
대구 동구의 산골짜기에 자리한 단양 우씨 재실 '첨백당'.
건물 앞에 기품 있는 소나무 한 그루가 서 있습니다.
1945년 8월 15일 나라를 되찾은 날, 단양 우씨 문중이 심은 광복절 기념수입니다.
높이 6미터, 폭 9미터로 많은 가지가 여러 갈래로 굴곡져 뻗은 모습이 인상적입니다.
나무 옆에는 '단기 4278년 8월 15일, 해방기념' 이라고 적힌 비도 세워져 있습니다.
[우효/단양 우씨 종손 : "조부이신 우하정께서 광복의 기쁨을 누리고 후손들에게 영원히 수치스러운 일이 없도록 교훈적인 뜻을 담아서."]
소중한 의미를 담고 있지만 지역에는 그동안 잘 알려지지 않았습니다.
그러다 20년 전, 도평동장을 역임한 최주원 씨가 소나무 유래를 조사하고 '광복 소나무'라고 이름 붙여 홍보에 나섰습니다.
이후 최 씨는 정부가 광복절 기념물을 잘 관리하지 않는 사실을 깨닫고, 봉사단체까지 만들었는데, 10년 동안 전국에서 소나무 5곳, 탑 18곳을 발굴했습니다.
[최주원/광복소나무사랑모임 봉사단 회장 : "3·1절 관련 시설물은 정부에서 관리하는데 광복 기념물은 국가가 담당 부처도 없고 무관심합니다. 그래서 봉사단체에서 광복 기념물에 대한 관심을 갖고 활동하고 있습니다."]
봉사단체는 광복절을 맞아 이달 말까지 2.28 기념 학생도서관에서 전국 광복 기념물 사진회를 열어 광복의 의미를 되새깁니다.
KBS 뉴스 박진영입니다.
촬영기자:박병규
-
-
박진영 기자 jyp@kbs.co.kr
박진영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슈
광복 80년, 다시 도약하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