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 日이즈미에서 ‘광주’로…사진 속 광주항공대
입력 2025.08.15 (08:26)
수정 2025.08.15 (09:34)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일본은 전쟁 말기 연합군의 공습을 피해 광주에 대규모의 해군항공기지를 건설했습니다.
취재진은 일본 현지에서 관련 자료들을 단독으로 확보했는데요.
서남해안 일제 군사시설과 광주 해군항공기지의 실체를 확인하는 광복 80주년 기획보도.
먼저 사진을 통해 본 일제 광주항공기지의 모습을 이성각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일본 이즈미시의 옛 해군 비행기지입니다.
폭이 수십 미터에 이르는 대형 폭격기용 콘크리트 격납고가 전쟁 당시 미군의 폭격으로 심하게 파손됐습니다.
조종사 훈련을 맡았던 당시 일본 이즈미 해군항공대는 미군의 폭격이 심해지자 실전 기지로 전환합니다.
대신 조종사 교육은 광주비행장으로 이전합니다.
[일본 가고시마현 이즈미시 평화학습가이드 : "공습을 당하기 때문에 훈련소를 놔둘 상황이 아니었죠. 실전기지가 된 겁니다. 훈련기지는 광주로 이전한 거죠."]
광주로 옮겨온 건 1945년 3월...
취재팀이 입수한 당시 일본군 사진에는 광주 비행장의 모습이 또렷하게 남았습니다.
벽돌로 반듯하게 지은 지휘소와 지붕이 있는 격납고, 또 3~4층 높이로 보이는 관제탑 등 전쟁 중인데도 비행장 시설을 제대로 갖췄습니다.
[와카쓰키 신지/전후사(戰後史)회의 마쓰에 대표 : "이건 관제탑이죠, 이런 시설이 광주에 있었다는 건 지금 도면으로는 상상이 되지 않네요. 이런 건 없었을 거라고 생각했습니다."]
공중폭격 훈련을 바라보는 군인들과 중간연습기 3대가 나란히 이륙하는 모습도 사진으로 남았습니다.
[와카쓰키 신지/전후사(戰後史)회의 마쓰에 대표 : "이건 중간연습기입니다. 이 아래 폭탄을 붙이는 겁니다."]
일본의 전문가들은 250킬로그램 폭탄 사진과 공중폭격 훈련 모습을 지켜보는 사진을 볼 때 광주에서도 이른바 '자살 특공훈련'이 있었다고 추정합니다.
[와카쓰키 신지/전후사(戰後史)회의 마쓰에 대표 : "폭탄을 (기체와) 볼트·너트로 고정했습니다. 투하하는 장치는 없습니다. 가서 충돌하는 거밖에 없습니다."]
실제로 일본군 연습항공대는 광주에 온 지 두 달 만에 실전 부대인 제5항공함대에 배속됐습니다.
KBS 뉴스 이성각입니다.
일본은 전쟁 말기 연합군의 공습을 피해 광주에 대규모의 해군항공기지를 건설했습니다.
취재진은 일본 현지에서 관련 자료들을 단독으로 확보했는데요.
서남해안 일제 군사시설과 광주 해군항공기지의 실체를 확인하는 광복 80주년 기획보도.
먼저 사진을 통해 본 일제 광주항공기지의 모습을 이성각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일본 이즈미시의 옛 해군 비행기지입니다.
폭이 수십 미터에 이르는 대형 폭격기용 콘크리트 격납고가 전쟁 당시 미군의 폭격으로 심하게 파손됐습니다.
조종사 훈련을 맡았던 당시 일본 이즈미 해군항공대는 미군의 폭격이 심해지자 실전 기지로 전환합니다.
대신 조종사 교육은 광주비행장으로 이전합니다.
[일본 가고시마현 이즈미시 평화학습가이드 : "공습을 당하기 때문에 훈련소를 놔둘 상황이 아니었죠. 실전기지가 된 겁니다. 훈련기지는 광주로 이전한 거죠."]
광주로 옮겨온 건 1945년 3월...
취재팀이 입수한 당시 일본군 사진에는 광주 비행장의 모습이 또렷하게 남았습니다.
벽돌로 반듯하게 지은 지휘소와 지붕이 있는 격납고, 또 3~4층 높이로 보이는 관제탑 등 전쟁 중인데도 비행장 시설을 제대로 갖췄습니다.
[와카쓰키 신지/전후사(戰後史)회의 마쓰에 대표 : "이건 관제탑이죠, 이런 시설이 광주에 있었다는 건 지금 도면으로는 상상이 되지 않네요. 이런 건 없었을 거라고 생각했습니다."]
공중폭격 훈련을 바라보는 군인들과 중간연습기 3대가 나란히 이륙하는 모습도 사진으로 남았습니다.
[와카쓰키 신지/전후사(戰後史)회의 마쓰에 대표 : "이건 중간연습기입니다. 이 아래 폭탄을 붙이는 겁니다."]
일본의 전문가들은 250킬로그램 폭탄 사진과 공중폭격 훈련 모습을 지켜보는 사진을 볼 때 광주에서도 이른바 '자살 특공훈련'이 있었다고 추정합니다.
[와카쓰키 신지/전후사(戰後史)회의 마쓰에 대표 : "폭탄을 (기체와) 볼트·너트로 고정했습니다. 투하하는 장치는 없습니다. 가서 충돌하는 거밖에 없습니다."]
실제로 일본군 연습항공대는 광주에 온 지 두 달 만에 실전 부대인 제5항공함대에 배속됐습니다.
KBS 뉴스 이성각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단독] 日이즈미에서 ‘광주’로…사진 속 광주항공대
-
- 입력 2025-08-15 08:26:07
- 수정2025-08-15 09:34:00

[앵커]
일본은 전쟁 말기 연합군의 공습을 피해 광주에 대규모의 해군항공기지를 건설했습니다.
취재진은 일본 현지에서 관련 자료들을 단독으로 확보했는데요.
서남해안 일제 군사시설과 광주 해군항공기지의 실체를 확인하는 광복 80주년 기획보도.
먼저 사진을 통해 본 일제 광주항공기지의 모습을 이성각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일본 이즈미시의 옛 해군 비행기지입니다.
폭이 수십 미터에 이르는 대형 폭격기용 콘크리트 격납고가 전쟁 당시 미군의 폭격으로 심하게 파손됐습니다.
조종사 훈련을 맡았던 당시 일본 이즈미 해군항공대는 미군의 폭격이 심해지자 실전 기지로 전환합니다.
대신 조종사 교육은 광주비행장으로 이전합니다.
[일본 가고시마현 이즈미시 평화학습가이드 : "공습을 당하기 때문에 훈련소를 놔둘 상황이 아니었죠. 실전기지가 된 겁니다. 훈련기지는 광주로 이전한 거죠."]
광주로 옮겨온 건 1945년 3월...
취재팀이 입수한 당시 일본군 사진에는 광주 비행장의 모습이 또렷하게 남았습니다.
벽돌로 반듯하게 지은 지휘소와 지붕이 있는 격납고, 또 3~4층 높이로 보이는 관제탑 등 전쟁 중인데도 비행장 시설을 제대로 갖췄습니다.
[와카쓰키 신지/전후사(戰後史)회의 마쓰에 대표 : "이건 관제탑이죠, 이런 시설이 광주에 있었다는 건 지금 도면으로는 상상이 되지 않네요. 이런 건 없었을 거라고 생각했습니다."]
공중폭격 훈련을 바라보는 군인들과 중간연습기 3대가 나란히 이륙하는 모습도 사진으로 남았습니다.
[와카쓰키 신지/전후사(戰後史)회의 마쓰에 대표 : "이건 중간연습기입니다. 이 아래 폭탄을 붙이는 겁니다."]
일본의 전문가들은 250킬로그램 폭탄 사진과 공중폭격 훈련 모습을 지켜보는 사진을 볼 때 광주에서도 이른바 '자살 특공훈련'이 있었다고 추정합니다.
[와카쓰키 신지/전후사(戰後史)회의 마쓰에 대표 : "폭탄을 (기체와) 볼트·너트로 고정했습니다. 투하하는 장치는 없습니다. 가서 충돌하는 거밖에 없습니다."]
실제로 일본군 연습항공대는 광주에 온 지 두 달 만에 실전 부대인 제5항공함대에 배속됐습니다.
KBS 뉴스 이성각입니다.
일본은 전쟁 말기 연합군의 공습을 피해 광주에 대규모의 해군항공기지를 건설했습니다.
취재진은 일본 현지에서 관련 자료들을 단독으로 확보했는데요.
서남해안 일제 군사시설과 광주 해군항공기지의 실체를 확인하는 광복 80주년 기획보도.
먼저 사진을 통해 본 일제 광주항공기지의 모습을 이성각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일본 이즈미시의 옛 해군 비행기지입니다.
폭이 수십 미터에 이르는 대형 폭격기용 콘크리트 격납고가 전쟁 당시 미군의 폭격으로 심하게 파손됐습니다.
조종사 훈련을 맡았던 당시 일본 이즈미 해군항공대는 미군의 폭격이 심해지자 실전 기지로 전환합니다.
대신 조종사 교육은 광주비행장으로 이전합니다.
[일본 가고시마현 이즈미시 평화학습가이드 : "공습을 당하기 때문에 훈련소를 놔둘 상황이 아니었죠. 실전기지가 된 겁니다. 훈련기지는 광주로 이전한 거죠."]
광주로 옮겨온 건 1945년 3월...
취재팀이 입수한 당시 일본군 사진에는 광주 비행장의 모습이 또렷하게 남았습니다.
벽돌로 반듯하게 지은 지휘소와 지붕이 있는 격납고, 또 3~4층 높이로 보이는 관제탑 등 전쟁 중인데도 비행장 시설을 제대로 갖췄습니다.
[와카쓰키 신지/전후사(戰後史)회의 마쓰에 대표 : "이건 관제탑이죠, 이런 시설이 광주에 있었다는 건 지금 도면으로는 상상이 되지 않네요. 이런 건 없었을 거라고 생각했습니다."]
공중폭격 훈련을 바라보는 군인들과 중간연습기 3대가 나란히 이륙하는 모습도 사진으로 남았습니다.
[와카쓰키 신지/전후사(戰後史)회의 마쓰에 대표 : "이건 중간연습기입니다. 이 아래 폭탄을 붙이는 겁니다."]
일본의 전문가들은 250킬로그램 폭탄 사진과 공중폭격 훈련 모습을 지켜보는 사진을 볼 때 광주에서도 이른바 '자살 특공훈련'이 있었다고 추정합니다.
[와카쓰키 신지/전후사(戰後史)회의 마쓰에 대표 : "폭탄을 (기체와) 볼트·너트로 고정했습니다. 투하하는 장치는 없습니다. 가서 충돌하는 거밖에 없습니다."]
실제로 일본군 연습항공대는 광주에 온 지 두 달 만에 실전 부대인 제5항공함대에 배속됐습니다.
KBS 뉴스 이성각입니다.
-
-
이성각 기자 drill@kbs.co.kr
이성각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