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복 80주년, 평범한 독립운동가들의 이름을 기억하다

입력 2025.08.15 (10:24) 수정 2025.08.15 (14:24)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오늘(15일)은 80주년 광복절입니다.

경남에도 일제에 빼앗긴 나라를 찾기 위해 목숨을 걸었던 독립운동가들이 많은데요.

독립운동가들을 기억하고, 그들의 헌신을 기리기 위한 다양한 전시가 경남 곳곳에서 열리고 있습니다.

문그린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창원광장에 경남 출신 독립운동가들의 사진과 기록들이 전시됐습니다.

27세 청년이었던 최수봉 선생의 사진이 눈에 띕니다.

광부와 우편 배달부 일을 했던 최 선생은 일제강점기였던 1920년 12월, 밀양경찰서에 폭탄을 투척하며 항일 투쟁에 나섰지만, 결국 체포돼 사형을 선고받았습니다.

[박형인/광복회 경상남도지부장 : "수많은 의열단원이 밀양을 중심으로 뭉쳤다는 데 큰 의미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경남의 독립운동가 23명의 얼굴과 문서가 빼곡합니다.

경남기록원이 독립운동가 23명의 체포나 재판, 형량 등 수형 기록을 최초 공개했습니다.

하동군 적량면의 면장을 지내다 독립운동을 위해 면장직을 사퇴한 박치화 선생.

'하동독립선언서'를 작성하고 배포한 혐의로 옥고를 치른 이후에도 독립을 위한 계몽 활동을 이어갔습니다.

[허윤서·허성민·류원표/어린이 관람객 : "몰랐던 사람들인데 처음 알게 되어서 놀랐고 그다음에 많은 사람이 희생했다는 게 조금 슬펐어요. 저분들 덕분에 우리나라가 광복을 맞을 수 있어서 좀 고마운 마음이 들었어요."]

대한민국 국민으로 우리가 누리는 자유와 행복은 알려지지 않은 수많은 독립운동가들의 희생 덕분입니다.

[김회선/경상남도기록원 기록연구사 : "어떤 큰 의지가 있어야 하는 게 아니라 그때 조선의 독립이 이런 보통 사람들이 염원하는 그런 일상적인 정서였다…."]

창원광장에서 열리는 독립운동 사진전은 오는 17일까지, 경남기록원에서 열리는 독립운동 기록물 전시는 11월까지 계속됩니다.

KBS 뉴스 문그린입니다.

촬영기자:김대현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광복 80주년, 평범한 독립운동가들의 이름을 기억하다
    • 입력 2025-08-15 10:24:39
    • 수정2025-08-15 14:24:52
    930뉴스(창원)
[앵커]

오늘(15일)은 80주년 광복절입니다.

경남에도 일제에 빼앗긴 나라를 찾기 위해 목숨을 걸었던 독립운동가들이 많은데요.

독립운동가들을 기억하고, 그들의 헌신을 기리기 위한 다양한 전시가 경남 곳곳에서 열리고 있습니다.

문그린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창원광장에 경남 출신 독립운동가들의 사진과 기록들이 전시됐습니다.

27세 청년이었던 최수봉 선생의 사진이 눈에 띕니다.

광부와 우편 배달부 일을 했던 최 선생은 일제강점기였던 1920년 12월, 밀양경찰서에 폭탄을 투척하며 항일 투쟁에 나섰지만, 결국 체포돼 사형을 선고받았습니다.

[박형인/광복회 경상남도지부장 : "수많은 의열단원이 밀양을 중심으로 뭉쳤다는 데 큰 의미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경남의 독립운동가 23명의 얼굴과 문서가 빼곡합니다.

경남기록원이 독립운동가 23명의 체포나 재판, 형량 등 수형 기록을 최초 공개했습니다.

하동군 적량면의 면장을 지내다 독립운동을 위해 면장직을 사퇴한 박치화 선생.

'하동독립선언서'를 작성하고 배포한 혐의로 옥고를 치른 이후에도 독립을 위한 계몽 활동을 이어갔습니다.

[허윤서·허성민·류원표/어린이 관람객 : "몰랐던 사람들인데 처음 알게 되어서 놀랐고 그다음에 많은 사람이 희생했다는 게 조금 슬펐어요. 저분들 덕분에 우리나라가 광복을 맞을 수 있어서 좀 고마운 마음이 들었어요."]

대한민국 국민으로 우리가 누리는 자유와 행복은 알려지지 않은 수많은 독립운동가들의 희생 덕분입니다.

[김회선/경상남도기록원 기록연구사 : "어떤 큰 의지가 있어야 하는 게 아니라 그때 조선의 독립이 이런 보통 사람들이 염원하는 그런 일상적인 정서였다…."]

창원광장에서 열리는 독립운동 사진전은 오는 17일까지, 경남기록원에서 열리는 독립운동 기록물 전시는 11월까지 계속됩니다.

KBS 뉴스 문그린입니다.

촬영기자:김대현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창원-주요뉴스

더보기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