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공항·취수원 속도 내나…대구시, 국정과제 본격 대응
입력 2025.08.15 (10:29)
수정 2025.08.15 (14:21)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새 정부의 국정과제에 대구에선 7대 공약과 15대 과제가 포함됐습니다.
신공항과 취수원 이전 등 지역 주요 현안이 반영되면서 한동안 지지부진했던 사업들이 속도를 낼 수 있을지 주목됩니다.
정혜미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정부 국정기획위원회가 내놓은 국정운영 5개년 계획안, 대구시가 1호 과제로 건의한 대구경북 신공항 건설이 포함됐습니다.
사업 지연 요인 해소와 원거리 노선 공항 조성이 명시된 가운데, 11조 원이 넘는 사업비 충당에 정부 지원이 현실화할지 관심을 끕니다.
대구와 신공항, 주변 지역을 잇는 신공항 순환 철도와 대구광주 달빛철도 조기 추진도 담겼습니다.
취수원 다변화와 염색산단 이전도 포함돼 장기간 답보하던 현안의 해결 여부도 주목됩니다.
이밖에 AI 로봇수도 조성과 미래모빌리티 산업 전환, 바이오 메디컬 클러스터, 대구 독립기념관 조성 등도 포함됐습니다.
[이재명 대통령 : "국정기획위원회 안을 면밀하고 신속하게 검토해서 가능한 범위 내에서 최대한 이행해 나가겠습니다."]
대구시는 새 정부 국정과제와 연계해 핵심 사업 추진을 본격화하고, 국가 차원의 재정, 제도 지원도 적극 요청할 방침입니다.
[황윤근/대구시 정책기획관 : "실행계획을 구체화 해나가고 추진 과제에서 어려움이 있는 사안에 대해서는 정치권, 중앙부처하고 소통을 적극적으로 해서…."]
지역 공약은 국무회의를 거쳐 최종 확정되며, 지방시대위원회가 관계 부처, 지자체와 협력해 총괄 지원합니다.
이재명 대통령은 국정기획위원회 안이 정부 정책으로 최종 확정된 것은 아니라고 밝힌 만큼, 실제 정책에 반영될 때까지 대구시의 전방위적인 대응과 노력이 필요해 보입니다.
KBS 뉴스 정혜미입니다.
촬영기자:백창민
새 정부의 국정과제에 대구에선 7대 공약과 15대 과제가 포함됐습니다.
신공항과 취수원 이전 등 지역 주요 현안이 반영되면서 한동안 지지부진했던 사업들이 속도를 낼 수 있을지 주목됩니다.
정혜미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정부 국정기획위원회가 내놓은 국정운영 5개년 계획안, 대구시가 1호 과제로 건의한 대구경북 신공항 건설이 포함됐습니다.
사업 지연 요인 해소와 원거리 노선 공항 조성이 명시된 가운데, 11조 원이 넘는 사업비 충당에 정부 지원이 현실화할지 관심을 끕니다.
대구와 신공항, 주변 지역을 잇는 신공항 순환 철도와 대구광주 달빛철도 조기 추진도 담겼습니다.
취수원 다변화와 염색산단 이전도 포함돼 장기간 답보하던 현안의 해결 여부도 주목됩니다.
이밖에 AI 로봇수도 조성과 미래모빌리티 산업 전환, 바이오 메디컬 클러스터, 대구 독립기념관 조성 등도 포함됐습니다.
[이재명 대통령 : "국정기획위원회 안을 면밀하고 신속하게 검토해서 가능한 범위 내에서 최대한 이행해 나가겠습니다."]
대구시는 새 정부 국정과제와 연계해 핵심 사업 추진을 본격화하고, 국가 차원의 재정, 제도 지원도 적극 요청할 방침입니다.
[황윤근/대구시 정책기획관 : "실행계획을 구체화 해나가고 추진 과제에서 어려움이 있는 사안에 대해서는 정치권, 중앙부처하고 소통을 적극적으로 해서…."]
지역 공약은 국무회의를 거쳐 최종 확정되며, 지방시대위원회가 관계 부처, 지자체와 협력해 총괄 지원합니다.
이재명 대통령은 국정기획위원회 안이 정부 정책으로 최종 확정된 것은 아니라고 밝힌 만큼, 실제 정책에 반영될 때까지 대구시의 전방위적인 대응과 노력이 필요해 보입니다.
KBS 뉴스 정혜미입니다.
촬영기자:백창민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신공항·취수원 속도 내나…대구시, 국정과제 본격 대응
-
- 입력 2025-08-15 10:29:17
- 수정2025-08-15 14:21:02

[앵커]
새 정부의 국정과제에 대구에선 7대 공약과 15대 과제가 포함됐습니다.
신공항과 취수원 이전 등 지역 주요 현안이 반영되면서 한동안 지지부진했던 사업들이 속도를 낼 수 있을지 주목됩니다.
정혜미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정부 국정기획위원회가 내놓은 국정운영 5개년 계획안, 대구시가 1호 과제로 건의한 대구경북 신공항 건설이 포함됐습니다.
사업 지연 요인 해소와 원거리 노선 공항 조성이 명시된 가운데, 11조 원이 넘는 사업비 충당에 정부 지원이 현실화할지 관심을 끕니다.
대구와 신공항, 주변 지역을 잇는 신공항 순환 철도와 대구광주 달빛철도 조기 추진도 담겼습니다.
취수원 다변화와 염색산단 이전도 포함돼 장기간 답보하던 현안의 해결 여부도 주목됩니다.
이밖에 AI 로봇수도 조성과 미래모빌리티 산업 전환, 바이오 메디컬 클러스터, 대구 독립기념관 조성 등도 포함됐습니다.
[이재명 대통령 : "국정기획위원회 안을 면밀하고 신속하게 검토해서 가능한 범위 내에서 최대한 이행해 나가겠습니다."]
대구시는 새 정부 국정과제와 연계해 핵심 사업 추진을 본격화하고, 국가 차원의 재정, 제도 지원도 적극 요청할 방침입니다.
[황윤근/대구시 정책기획관 : "실행계획을 구체화 해나가고 추진 과제에서 어려움이 있는 사안에 대해서는 정치권, 중앙부처하고 소통을 적극적으로 해서…."]
지역 공약은 국무회의를 거쳐 최종 확정되며, 지방시대위원회가 관계 부처, 지자체와 협력해 총괄 지원합니다.
이재명 대통령은 국정기획위원회 안이 정부 정책으로 최종 확정된 것은 아니라고 밝힌 만큼, 실제 정책에 반영될 때까지 대구시의 전방위적인 대응과 노력이 필요해 보입니다.
KBS 뉴스 정혜미입니다.
촬영기자:백창민
새 정부의 국정과제에 대구에선 7대 공약과 15대 과제가 포함됐습니다.
신공항과 취수원 이전 등 지역 주요 현안이 반영되면서 한동안 지지부진했던 사업들이 속도를 낼 수 있을지 주목됩니다.
정혜미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정부 국정기획위원회가 내놓은 국정운영 5개년 계획안, 대구시가 1호 과제로 건의한 대구경북 신공항 건설이 포함됐습니다.
사업 지연 요인 해소와 원거리 노선 공항 조성이 명시된 가운데, 11조 원이 넘는 사업비 충당에 정부 지원이 현실화할지 관심을 끕니다.
대구와 신공항, 주변 지역을 잇는 신공항 순환 철도와 대구광주 달빛철도 조기 추진도 담겼습니다.
취수원 다변화와 염색산단 이전도 포함돼 장기간 답보하던 현안의 해결 여부도 주목됩니다.
이밖에 AI 로봇수도 조성과 미래모빌리티 산업 전환, 바이오 메디컬 클러스터, 대구 독립기념관 조성 등도 포함됐습니다.
[이재명 대통령 : "국정기획위원회 안을 면밀하고 신속하게 검토해서 가능한 범위 내에서 최대한 이행해 나가겠습니다."]
대구시는 새 정부 국정과제와 연계해 핵심 사업 추진을 본격화하고, 국가 차원의 재정, 제도 지원도 적극 요청할 방침입니다.
[황윤근/대구시 정책기획관 : "실행계획을 구체화 해나가고 추진 과제에서 어려움이 있는 사안에 대해서는 정치권, 중앙부처하고 소통을 적극적으로 해서…."]
지역 공약은 국무회의를 거쳐 최종 확정되며, 지방시대위원회가 관계 부처, 지자체와 협력해 총괄 지원합니다.
이재명 대통령은 국정기획위원회 안이 정부 정책으로 최종 확정된 것은 아니라고 밝힌 만큼, 실제 정책에 반영될 때까지 대구시의 전방위적인 대응과 노력이 필요해 보입니다.
KBS 뉴스 정혜미입니다.
촬영기자:백창민
-
-
정혜미 기자 with@kbs.co.kr
정혜미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