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담한K] 서울대 10개 만들기…부산 살릴 해법될까?
입력 2025.08.18 (19:45)
수정 2025.08.18 (20:04)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이재명 대통령의 교육 공약 중 하나인 '서울대 10개 만들기'가 국정과제로 선정되면서 본격적으로 추진될 전망입니다.
대학 서열을 완화하고, 청년 유출과 지방 소멸 위기를 막겠다는 구상인데요.
‘서울대 10개 만들기’의미와 실현 가능성 짚어봅니다.
부산교육연구소 이상철 소장, 스튜디오에 나오셨습니다.
2022년 4월, '서울대 10개 만들기' 저자, 김종영 경희대 사회학과 교수와 화상연결로 인터뷰를 진행했었는데요.
이재명 정부 국정과제 '서울대 10개 만들기' 핵심 내용부터 설명해주시죠.
[앵커]
부산 청년들이 대학진학이나 취업을 위해 수도권으로 떠나면서 청년 유출, 지방 소멸 위기가 심각한 상황입니다.
이 정책이 실제로 지역 인재 유출을 막고 지방소멸 위기를 해결할 수 있을까요?
[앵커]
'서울대 10개 만들기' 정책의 또 다른 목표는 대학 서열 완화입니다.
이 정책이 입시 경쟁을 줄이고 대학 서열 해소에 실질적인 도움이 될 수 있을까요?
지역 거점 국립대인 부산대는 예전의 위상을 회복할 수 있을까요?
[앵커]
국립대 9곳 교육비를 서울대 수준으로 맞추려면 막대한 예산이 듭니다.
서울대 수준으로 끌어올리려면 국립대당 3천억 원 이상, 매년 약 3조 원의 재정이 필요합니다.
재정 투입이 현실적으로 가능하다고 보십니까?
[앵커]
그런데 우려되는 부분이 서울대 10개 만들기 정책이 추진되면 국립대에만 집중적으로 지원하게 되는데, 상대적으로 소외될 수 있는 사립대학들의 반발이나 저항은 없을까요?
[앵커]
정책의 성공을 위해서는 부산 지역사회와 부산대학교의 적극적인 노력도 필요할 텐데요.
구체적으로 어떤 준비와 변화가 필요하다고 보시나요?
이재명 대통령의 교육 공약 중 하나인 '서울대 10개 만들기'가 국정과제로 선정되면서 본격적으로 추진될 전망입니다.
대학 서열을 완화하고, 청년 유출과 지방 소멸 위기를 막겠다는 구상인데요.
‘서울대 10개 만들기’의미와 실현 가능성 짚어봅니다.
부산교육연구소 이상철 소장, 스튜디오에 나오셨습니다.
2022년 4월, '서울대 10개 만들기' 저자, 김종영 경희대 사회학과 교수와 화상연결로 인터뷰를 진행했었는데요.
이재명 정부 국정과제 '서울대 10개 만들기' 핵심 내용부터 설명해주시죠.
[앵커]
부산 청년들이 대학진학이나 취업을 위해 수도권으로 떠나면서 청년 유출, 지방 소멸 위기가 심각한 상황입니다.
이 정책이 실제로 지역 인재 유출을 막고 지방소멸 위기를 해결할 수 있을까요?
[앵커]
'서울대 10개 만들기' 정책의 또 다른 목표는 대학 서열 완화입니다.
이 정책이 입시 경쟁을 줄이고 대학 서열 해소에 실질적인 도움이 될 수 있을까요?
지역 거점 국립대인 부산대는 예전의 위상을 회복할 수 있을까요?
[앵커]
국립대 9곳 교육비를 서울대 수준으로 맞추려면 막대한 예산이 듭니다.
서울대 수준으로 끌어올리려면 국립대당 3천억 원 이상, 매년 약 3조 원의 재정이 필요합니다.
재정 투입이 현실적으로 가능하다고 보십니까?
[앵커]
그런데 우려되는 부분이 서울대 10개 만들기 정책이 추진되면 국립대에만 집중적으로 지원하게 되는데, 상대적으로 소외될 수 있는 사립대학들의 반발이나 저항은 없을까요?
[앵커]
정책의 성공을 위해서는 부산 지역사회와 부산대학교의 적극적인 노력도 필요할 텐데요.
구체적으로 어떤 준비와 변화가 필요하다고 보시나요?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대담한K] 서울대 10개 만들기…부산 살릴 해법될까?
-
- 입력 2025-08-18 19:45:50
- 수정2025-08-18 20:04:07

[앵커]
이재명 대통령의 교육 공약 중 하나인 '서울대 10개 만들기'가 국정과제로 선정되면서 본격적으로 추진될 전망입니다.
대학 서열을 완화하고, 청년 유출과 지방 소멸 위기를 막겠다는 구상인데요.
‘서울대 10개 만들기’의미와 실현 가능성 짚어봅니다.
부산교육연구소 이상철 소장, 스튜디오에 나오셨습니다.
2022년 4월, '서울대 10개 만들기' 저자, 김종영 경희대 사회학과 교수와 화상연결로 인터뷰를 진행했었는데요.
이재명 정부 국정과제 '서울대 10개 만들기' 핵심 내용부터 설명해주시죠.
[앵커]
부산 청년들이 대학진학이나 취업을 위해 수도권으로 떠나면서 청년 유출, 지방 소멸 위기가 심각한 상황입니다.
이 정책이 실제로 지역 인재 유출을 막고 지방소멸 위기를 해결할 수 있을까요?
[앵커]
'서울대 10개 만들기' 정책의 또 다른 목표는 대학 서열 완화입니다.
이 정책이 입시 경쟁을 줄이고 대학 서열 해소에 실질적인 도움이 될 수 있을까요?
지역 거점 국립대인 부산대는 예전의 위상을 회복할 수 있을까요?
[앵커]
국립대 9곳 교육비를 서울대 수준으로 맞추려면 막대한 예산이 듭니다.
서울대 수준으로 끌어올리려면 국립대당 3천억 원 이상, 매년 약 3조 원의 재정이 필요합니다.
재정 투입이 현실적으로 가능하다고 보십니까?
[앵커]
그런데 우려되는 부분이 서울대 10개 만들기 정책이 추진되면 국립대에만 집중적으로 지원하게 되는데, 상대적으로 소외될 수 있는 사립대학들의 반발이나 저항은 없을까요?
[앵커]
정책의 성공을 위해서는 부산 지역사회와 부산대학교의 적극적인 노력도 필요할 텐데요.
구체적으로 어떤 준비와 변화가 필요하다고 보시나요?
이재명 대통령의 교육 공약 중 하나인 '서울대 10개 만들기'가 국정과제로 선정되면서 본격적으로 추진될 전망입니다.
대학 서열을 완화하고, 청년 유출과 지방 소멸 위기를 막겠다는 구상인데요.
‘서울대 10개 만들기’의미와 실현 가능성 짚어봅니다.
부산교육연구소 이상철 소장, 스튜디오에 나오셨습니다.
2022년 4월, '서울대 10개 만들기' 저자, 김종영 경희대 사회학과 교수와 화상연결로 인터뷰를 진행했었는데요.
이재명 정부 국정과제 '서울대 10개 만들기' 핵심 내용부터 설명해주시죠.
[앵커]
부산 청년들이 대학진학이나 취업을 위해 수도권으로 떠나면서 청년 유출, 지방 소멸 위기가 심각한 상황입니다.
이 정책이 실제로 지역 인재 유출을 막고 지방소멸 위기를 해결할 수 있을까요?
[앵커]
'서울대 10개 만들기' 정책의 또 다른 목표는 대학 서열 완화입니다.
이 정책이 입시 경쟁을 줄이고 대학 서열 해소에 실질적인 도움이 될 수 있을까요?
지역 거점 국립대인 부산대는 예전의 위상을 회복할 수 있을까요?
[앵커]
국립대 9곳 교육비를 서울대 수준으로 맞추려면 막대한 예산이 듭니다.
서울대 수준으로 끌어올리려면 국립대당 3천억 원 이상, 매년 약 3조 원의 재정이 필요합니다.
재정 투입이 현실적으로 가능하다고 보십니까?
[앵커]
그런데 우려되는 부분이 서울대 10개 만들기 정책이 추진되면 국립대에만 집중적으로 지원하게 되는데, 상대적으로 소외될 수 있는 사립대학들의 반발이나 저항은 없을까요?
[앵커]
정책의 성공을 위해서는 부산 지역사회와 부산대학교의 적극적인 노력도 필요할 텐데요.
구체적으로 어떤 준비와 변화가 필요하다고 보시나요?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