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쇄폐점 현실화…흔들리는 지역 상권 어쩌나
입력 2025.08.18 (21:37)
수정 2025.08.18 (21:42)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기업회생 절차를 밟고 있는 홈플러스가 대전과 천안에서도 점포 2곳을 닫기로 했습니다.
우려하던 연쇄 폐점이 현실이 되면서 상권 침체와 대규모 실직 등 지역 사회문제로 번질 조짐을 보여 대책 마련이 시급합니다.
백상현 기자입니다.
[리포트]
지난 13일 폐점이 결정된 홈플러스 대전 문화점입니다.
지난해 인접한 백화점이 문을 닫은 데 이어 대형마트까지 폐점이 결정되자 주변 상권에선 대형 악제로 받아들이고 있습니다.
실제 2022년 홈플러스 동대전점이 문을 닫자 7개월 동안 인근 음식점의 매출은 16% 감소한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서영호/인근 상인 : "(마트) 근무하시는 분들의 점심 식사라든지 이런 부분도 사라지게 되니까 지역 상권에 상당히 문제가 생기겠죠."]
대규모 아파트 단지와 맞닿아 있어 주민 소비 동선 불편은 물론, 폐점 뒤 빈 대형건물로 남으면 구도심 공동화가 더 빨라질 것이란 우려도 나옵니다.
[오가비/대전시 괴정동 : "아무래도 유동 인구가 많이 줄어드니까 밤에 분위기 이런 거 자체가 좀 어둡게 느껴지지 않을까…."]
대규모 실직 우려도 문제입니다.
홈플러스는 폐점 점포의 직원을 순환 배치해 고용을 이어가겠다는 입장이지만, 노조는 협력업체 직원들까지 따지면 폐점 점포 한 곳당 약 천 명이 일자리를 잃을 것으로 추산하고 있습니다.
[안수용/마트산업노조 홈플러스지부장/지난 14일 : "10만 명에 달하는 노동자, 소상공인들 그리고 지역 경제가 무너지기 전에 정부는 즉각 나서야 합니다."]
대형마트 폐점이 지역 사회에 미치는 영향이 막대한 만큼, 기업 차원의 문제로만 치부해선 안 되는 상황입니다.
[양준석/대전세종연구원 책임연구위원 : "소비지원금을 준다든지 (상권) 공동마케팅 행사, 문화 관련된 축제 이런 것들이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대형마트 폐점의 충격을 최소화 할 수 있는 지역 상권 보호와 고용 안정, 공실 대책 마련 등 다각적인 대응이 시급해 보입니다.
KBS 뉴스 백상현입니다.
촬영기자:강수헌
기업회생 절차를 밟고 있는 홈플러스가 대전과 천안에서도 점포 2곳을 닫기로 했습니다.
우려하던 연쇄 폐점이 현실이 되면서 상권 침체와 대규모 실직 등 지역 사회문제로 번질 조짐을 보여 대책 마련이 시급합니다.
백상현 기자입니다.
[리포트]
지난 13일 폐점이 결정된 홈플러스 대전 문화점입니다.
지난해 인접한 백화점이 문을 닫은 데 이어 대형마트까지 폐점이 결정되자 주변 상권에선 대형 악제로 받아들이고 있습니다.
실제 2022년 홈플러스 동대전점이 문을 닫자 7개월 동안 인근 음식점의 매출은 16% 감소한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서영호/인근 상인 : "(마트) 근무하시는 분들의 점심 식사라든지 이런 부분도 사라지게 되니까 지역 상권에 상당히 문제가 생기겠죠."]
대규모 아파트 단지와 맞닿아 있어 주민 소비 동선 불편은 물론, 폐점 뒤 빈 대형건물로 남으면 구도심 공동화가 더 빨라질 것이란 우려도 나옵니다.
[오가비/대전시 괴정동 : "아무래도 유동 인구가 많이 줄어드니까 밤에 분위기 이런 거 자체가 좀 어둡게 느껴지지 않을까…."]
대규모 실직 우려도 문제입니다.
홈플러스는 폐점 점포의 직원을 순환 배치해 고용을 이어가겠다는 입장이지만, 노조는 협력업체 직원들까지 따지면 폐점 점포 한 곳당 약 천 명이 일자리를 잃을 것으로 추산하고 있습니다.
[안수용/마트산업노조 홈플러스지부장/지난 14일 : "10만 명에 달하는 노동자, 소상공인들 그리고 지역 경제가 무너지기 전에 정부는 즉각 나서야 합니다."]
대형마트 폐점이 지역 사회에 미치는 영향이 막대한 만큼, 기업 차원의 문제로만 치부해선 안 되는 상황입니다.
[양준석/대전세종연구원 책임연구위원 : "소비지원금을 준다든지 (상권) 공동마케팅 행사, 문화 관련된 축제 이런 것들이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대형마트 폐점의 충격을 최소화 할 수 있는 지역 상권 보호와 고용 안정, 공실 대책 마련 등 다각적인 대응이 시급해 보입니다.
KBS 뉴스 백상현입니다.
촬영기자:강수헌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연쇄폐점 현실화…흔들리는 지역 상권 어쩌나
-
- 입력 2025-08-18 21:37:57
- 수정2025-08-18 21:42:41

[앵커]
기업회생 절차를 밟고 있는 홈플러스가 대전과 천안에서도 점포 2곳을 닫기로 했습니다.
우려하던 연쇄 폐점이 현실이 되면서 상권 침체와 대규모 실직 등 지역 사회문제로 번질 조짐을 보여 대책 마련이 시급합니다.
백상현 기자입니다.
[리포트]
지난 13일 폐점이 결정된 홈플러스 대전 문화점입니다.
지난해 인접한 백화점이 문을 닫은 데 이어 대형마트까지 폐점이 결정되자 주변 상권에선 대형 악제로 받아들이고 있습니다.
실제 2022년 홈플러스 동대전점이 문을 닫자 7개월 동안 인근 음식점의 매출은 16% 감소한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서영호/인근 상인 : "(마트) 근무하시는 분들의 점심 식사라든지 이런 부분도 사라지게 되니까 지역 상권에 상당히 문제가 생기겠죠."]
대규모 아파트 단지와 맞닿아 있어 주민 소비 동선 불편은 물론, 폐점 뒤 빈 대형건물로 남으면 구도심 공동화가 더 빨라질 것이란 우려도 나옵니다.
[오가비/대전시 괴정동 : "아무래도 유동 인구가 많이 줄어드니까 밤에 분위기 이런 거 자체가 좀 어둡게 느껴지지 않을까…."]
대규모 실직 우려도 문제입니다.
홈플러스는 폐점 점포의 직원을 순환 배치해 고용을 이어가겠다는 입장이지만, 노조는 협력업체 직원들까지 따지면 폐점 점포 한 곳당 약 천 명이 일자리를 잃을 것으로 추산하고 있습니다.
[안수용/마트산업노조 홈플러스지부장/지난 14일 : "10만 명에 달하는 노동자, 소상공인들 그리고 지역 경제가 무너지기 전에 정부는 즉각 나서야 합니다."]
대형마트 폐점이 지역 사회에 미치는 영향이 막대한 만큼, 기업 차원의 문제로만 치부해선 안 되는 상황입니다.
[양준석/대전세종연구원 책임연구위원 : "소비지원금을 준다든지 (상권) 공동마케팅 행사, 문화 관련된 축제 이런 것들이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대형마트 폐점의 충격을 최소화 할 수 있는 지역 상권 보호와 고용 안정, 공실 대책 마련 등 다각적인 대응이 시급해 보입니다.
KBS 뉴스 백상현입니다.
촬영기자:강수헌
기업회생 절차를 밟고 있는 홈플러스가 대전과 천안에서도 점포 2곳을 닫기로 했습니다.
우려하던 연쇄 폐점이 현실이 되면서 상권 침체와 대규모 실직 등 지역 사회문제로 번질 조짐을 보여 대책 마련이 시급합니다.
백상현 기자입니다.
[리포트]
지난 13일 폐점이 결정된 홈플러스 대전 문화점입니다.
지난해 인접한 백화점이 문을 닫은 데 이어 대형마트까지 폐점이 결정되자 주변 상권에선 대형 악제로 받아들이고 있습니다.
실제 2022년 홈플러스 동대전점이 문을 닫자 7개월 동안 인근 음식점의 매출은 16% 감소한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서영호/인근 상인 : "(마트) 근무하시는 분들의 점심 식사라든지 이런 부분도 사라지게 되니까 지역 상권에 상당히 문제가 생기겠죠."]
대규모 아파트 단지와 맞닿아 있어 주민 소비 동선 불편은 물론, 폐점 뒤 빈 대형건물로 남으면 구도심 공동화가 더 빨라질 것이란 우려도 나옵니다.
[오가비/대전시 괴정동 : "아무래도 유동 인구가 많이 줄어드니까 밤에 분위기 이런 거 자체가 좀 어둡게 느껴지지 않을까…."]
대규모 실직 우려도 문제입니다.
홈플러스는 폐점 점포의 직원을 순환 배치해 고용을 이어가겠다는 입장이지만, 노조는 협력업체 직원들까지 따지면 폐점 점포 한 곳당 약 천 명이 일자리를 잃을 것으로 추산하고 있습니다.
[안수용/마트산업노조 홈플러스지부장/지난 14일 : "10만 명에 달하는 노동자, 소상공인들 그리고 지역 경제가 무너지기 전에 정부는 즉각 나서야 합니다."]
대형마트 폐점이 지역 사회에 미치는 영향이 막대한 만큼, 기업 차원의 문제로만 치부해선 안 되는 상황입니다.
[양준석/대전세종연구원 책임연구위원 : "소비지원금을 준다든지 (상권) 공동마케팅 행사, 문화 관련된 축제 이런 것들이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대형마트 폐점의 충격을 최소화 할 수 있는 지역 상권 보호와 고용 안정, 공실 대책 마련 등 다각적인 대응이 시급해 보입니다.
KBS 뉴스 백상현입니다.
촬영기자:강수헌
-
-
백상현 기자 bsh@kbs.co.kr
백상현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