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슈픽] ‘탱글탱글’ 통통하게 살찌운 대하의 계절이 돌아왔다!
입력 2025.08.21 (18:17)
수정 2025.08.21 (18:25)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햇전어와 햇꽃게, 맛보셨는지요?
폭염의 기세 속에서도 바다는 어느새 계절을 앞서 가을 별미를 속속 내놓고 있습니다.
그런데 이맘때를 기다려온 또 하나의 별미가 있죠. 바로 대합니다.
["대하다!"]
해마다 9월 전·후면 서해 천수만에선 대하 어장이 형성됩니다.
그중 충남 홍성군 남당항은 국내 자연산 대하 생산의 중심지로 꼽히는데요,
[KBS '6시 내고향'/지난해 8월 : "밀물 썰물도 조수간만의 격차가 좋고. 먹을 게 풍부하다 보니까 대하가 좋은 거 먹으러 들어와서 여기서 또 크고."]
봄에 산란한 대하가 씨알이 굵어지며 맛이 오르는 때가 바로 지금이죠.
["내 손 뼘보다도 커요."]
큰 '대', 새우 '하'.
대하는 그 이름처럼 우리 바다에 사는 80여 종의 새우 중 몸집이 가장 큰 종입니다.
길이는 보통 15cm에서 20cm. 큰 건 30cm를 넘기도 하는데요.
살아있을 땐 이렇게 붉은 다리를 흔들며 춤추듯 움직이지만, 물 밖에선 성질이 급해 금세 죽어버립니다.
횟집 수족관에서 흔히 보이는 대부분은 양식 흰다리새우입니다.
가격이 두세 배나 차이 나지만, 겉모습이 비슷해 혼동하기 쉬운데요.
[윤쭈꾸/리포터/KBS '6시 내고향'/2023년 9월 : "보면 수염이 엄청 길어요. 대하 몸길이보다 한 3배는 되는 것 같아요."]
대하는 수염이 몸통의 두세 배로 길고, 흰다리새우는 몸통보다 짧습니다.
또 대하는 뿔이 코끝을 넘지만, 흰다리새우는 그렇지 않죠.
키토산과 타우린이 풍부해 건강식으로 손꼽히는 대하는 재료 그 자체로도 맛이 뛰어납니다.
대표 메뉴는 단연 소금구이.
껍질 벗겨 통째 씹으면 탱글탱글한 속살이 입안 가득 만족감을 주는데요.
[석기은/미국 LA/KBS 뉴스/지난해 9월 : "미국에서는 이렇게 생으로 해서 바로 굽지는 않지만 이게 훨씬 더 맛있는 것 같아요. 싱싱하고."]
쫀득한 식감과 녹진한 맛이 어우러진 대하회는 산지만의 진미.
듬뿍 넣고 탕을 끓이면 대하에서 우러나는 달큰한 국물이 일품입니다.
머리까지 익힌 대하 튀김도 놓칠 수 없죠.
물오른 대하.
남당항에서 직접 즐겨보시죠.
내일(22일)부터 다음 달 7일까지 대하 축제가 열립니다.
포장은 1kg당 3만 8천 원, 식당에선 5만 5천 원.
혼선이 없도록 가격은 하나로 통일했다고 하니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구성:조서영/자료조사:백선영/영상편집:이상미
폭염의 기세 속에서도 바다는 어느새 계절을 앞서 가을 별미를 속속 내놓고 있습니다.
그런데 이맘때를 기다려온 또 하나의 별미가 있죠. 바로 대합니다.
["대하다!"]
해마다 9월 전·후면 서해 천수만에선 대하 어장이 형성됩니다.
그중 충남 홍성군 남당항은 국내 자연산 대하 생산의 중심지로 꼽히는데요,
[KBS '6시 내고향'/지난해 8월 : "밀물 썰물도 조수간만의 격차가 좋고. 먹을 게 풍부하다 보니까 대하가 좋은 거 먹으러 들어와서 여기서 또 크고."]
봄에 산란한 대하가 씨알이 굵어지며 맛이 오르는 때가 바로 지금이죠.
["내 손 뼘보다도 커요."]
큰 '대', 새우 '하'.
대하는 그 이름처럼 우리 바다에 사는 80여 종의 새우 중 몸집이 가장 큰 종입니다.
길이는 보통 15cm에서 20cm. 큰 건 30cm를 넘기도 하는데요.
살아있을 땐 이렇게 붉은 다리를 흔들며 춤추듯 움직이지만, 물 밖에선 성질이 급해 금세 죽어버립니다.
횟집 수족관에서 흔히 보이는 대부분은 양식 흰다리새우입니다.
가격이 두세 배나 차이 나지만, 겉모습이 비슷해 혼동하기 쉬운데요.
[윤쭈꾸/리포터/KBS '6시 내고향'/2023년 9월 : "보면 수염이 엄청 길어요. 대하 몸길이보다 한 3배는 되는 것 같아요."]
대하는 수염이 몸통의 두세 배로 길고, 흰다리새우는 몸통보다 짧습니다.
또 대하는 뿔이 코끝을 넘지만, 흰다리새우는 그렇지 않죠.
키토산과 타우린이 풍부해 건강식으로 손꼽히는 대하는 재료 그 자체로도 맛이 뛰어납니다.
대표 메뉴는 단연 소금구이.
껍질 벗겨 통째 씹으면 탱글탱글한 속살이 입안 가득 만족감을 주는데요.
[석기은/미국 LA/KBS 뉴스/지난해 9월 : "미국에서는 이렇게 생으로 해서 바로 굽지는 않지만 이게 훨씬 더 맛있는 것 같아요. 싱싱하고."]
쫀득한 식감과 녹진한 맛이 어우러진 대하회는 산지만의 진미.
듬뿍 넣고 탕을 끓이면 대하에서 우러나는 달큰한 국물이 일품입니다.
머리까지 익힌 대하 튀김도 놓칠 수 없죠.
물오른 대하.
남당항에서 직접 즐겨보시죠.
내일(22일)부터 다음 달 7일까지 대하 축제가 열립니다.
포장은 1kg당 3만 8천 원, 식당에선 5만 5천 원.
혼선이 없도록 가격은 하나로 통일했다고 하니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구성:조서영/자료조사:백선영/영상편집:이상미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이슈픽] ‘탱글탱글’ 통통하게 살찌운 대하의 계절이 돌아왔다!
-
- 입력 2025-08-21 18:17:17
- 수정2025-08-21 18:25:28

햇전어와 햇꽃게, 맛보셨는지요?
폭염의 기세 속에서도 바다는 어느새 계절을 앞서 가을 별미를 속속 내놓고 있습니다.
그런데 이맘때를 기다려온 또 하나의 별미가 있죠. 바로 대합니다.
["대하다!"]
해마다 9월 전·후면 서해 천수만에선 대하 어장이 형성됩니다.
그중 충남 홍성군 남당항은 국내 자연산 대하 생산의 중심지로 꼽히는데요,
[KBS '6시 내고향'/지난해 8월 : "밀물 썰물도 조수간만의 격차가 좋고. 먹을 게 풍부하다 보니까 대하가 좋은 거 먹으러 들어와서 여기서 또 크고."]
봄에 산란한 대하가 씨알이 굵어지며 맛이 오르는 때가 바로 지금이죠.
["내 손 뼘보다도 커요."]
큰 '대', 새우 '하'.
대하는 그 이름처럼 우리 바다에 사는 80여 종의 새우 중 몸집이 가장 큰 종입니다.
길이는 보통 15cm에서 20cm. 큰 건 30cm를 넘기도 하는데요.
살아있을 땐 이렇게 붉은 다리를 흔들며 춤추듯 움직이지만, 물 밖에선 성질이 급해 금세 죽어버립니다.
횟집 수족관에서 흔히 보이는 대부분은 양식 흰다리새우입니다.
가격이 두세 배나 차이 나지만, 겉모습이 비슷해 혼동하기 쉬운데요.
[윤쭈꾸/리포터/KBS '6시 내고향'/2023년 9월 : "보면 수염이 엄청 길어요. 대하 몸길이보다 한 3배는 되는 것 같아요."]
대하는 수염이 몸통의 두세 배로 길고, 흰다리새우는 몸통보다 짧습니다.
또 대하는 뿔이 코끝을 넘지만, 흰다리새우는 그렇지 않죠.
키토산과 타우린이 풍부해 건강식으로 손꼽히는 대하는 재료 그 자체로도 맛이 뛰어납니다.
대표 메뉴는 단연 소금구이.
껍질 벗겨 통째 씹으면 탱글탱글한 속살이 입안 가득 만족감을 주는데요.
[석기은/미국 LA/KBS 뉴스/지난해 9월 : "미국에서는 이렇게 생으로 해서 바로 굽지는 않지만 이게 훨씬 더 맛있는 것 같아요. 싱싱하고."]
쫀득한 식감과 녹진한 맛이 어우러진 대하회는 산지만의 진미.
듬뿍 넣고 탕을 끓이면 대하에서 우러나는 달큰한 국물이 일품입니다.
머리까지 익힌 대하 튀김도 놓칠 수 없죠.
물오른 대하.
남당항에서 직접 즐겨보시죠.
내일(22일)부터 다음 달 7일까지 대하 축제가 열립니다.
포장은 1kg당 3만 8천 원, 식당에선 5만 5천 원.
혼선이 없도록 가격은 하나로 통일했다고 하니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구성:조서영/자료조사:백선영/영상편집:이상미
폭염의 기세 속에서도 바다는 어느새 계절을 앞서 가을 별미를 속속 내놓고 있습니다.
그런데 이맘때를 기다려온 또 하나의 별미가 있죠. 바로 대합니다.
["대하다!"]
해마다 9월 전·후면 서해 천수만에선 대하 어장이 형성됩니다.
그중 충남 홍성군 남당항은 국내 자연산 대하 생산의 중심지로 꼽히는데요,
[KBS '6시 내고향'/지난해 8월 : "밀물 썰물도 조수간만의 격차가 좋고. 먹을 게 풍부하다 보니까 대하가 좋은 거 먹으러 들어와서 여기서 또 크고."]
봄에 산란한 대하가 씨알이 굵어지며 맛이 오르는 때가 바로 지금이죠.
["내 손 뼘보다도 커요."]
큰 '대', 새우 '하'.
대하는 그 이름처럼 우리 바다에 사는 80여 종의 새우 중 몸집이 가장 큰 종입니다.
길이는 보통 15cm에서 20cm. 큰 건 30cm를 넘기도 하는데요.
살아있을 땐 이렇게 붉은 다리를 흔들며 춤추듯 움직이지만, 물 밖에선 성질이 급해 금세 죽어버립니다.
횟집 수족관에서 흔히 보이는 대부분은 양식 흰다리새우입니다.
가격이 두세 배나 차이 나지만, 겉모습이 비슷해 혼동하기 쉬운데요.
[윤쭈꾸/리포터/KBS '6시 내고향'/2023년 9월 : "보면 수염이 엄청 길어요. 대하 몸길이보다 한 3배는 되는 것 같아요."]
대하는 수염이 몸통의 두세 배로 길고, 흰다리새우는 몸통보다 짧습니다.
또 대하는 뿔이 코끝을 넘지만, 흰다리새우는 그렇지 않죠.
키토산과 타우린이 풍부해 건강식으로 손꼽히는 대하는 재료 그 자체로도 맛이 뛰어납니다.
대표 메뉴는 단연 소금구이.
껍질 벗겨 통째 씹으면 탱글탱글한 속살이 입안 가득 만족감을 주는데요.
[석기은/미국 LA/KBS 뉴스/지난해 9월 : "미국에서는 이렇게 생으로 해서 바로 굽지는 않지만 이게 훨씬 더 맛있는 것 같아요. 싱싱하고."]
쫀득한 식감과 녹진한 맛이 어우러진 대하회는 산지만의 진미.
듬뿍 넣고 탕을 끓이면 대하에서 우러나는 달큰한 국물이 일품입니다.
머리까지 익힌 대하 튀김도 놓칠 수 없죠.
물오른 대하.
남당항에서 직접 즐겨보시죠.
내일(22일)부터 다음 달 7일까지 대하 축제가 열립니다.
포장은 1kg당 3만 8천 원, 식당에선 5만 5천 원.
혼선이 없도록 가격은 하나로 통일했다고 하니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구성:조서영/자료조사:백선영/영상편집:이상미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