익산시, ‘세컨드홈’ 특례 포함…장기 미분양 해소되나?

입력 2025.08.21 (21:52) 수정 2025.08.21 (21:54)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익산시가 이른바 '세컨드홈' 특례 지역에 포함되면서 아파트 장기 미분양 해소에 청신호가 켜졌습니다.

정부의 지원 대책에 기대감이 큰 반면, 투기성 자본 유입에 대한 우려도 적지 않습니다.

이수진 기자입니다.

[리포트]

다음 달 입주를 시작하는 한 아파트 단지입니다.

전체 8백34채 가운데 절반 가량이 미분양으로 알려졌습니다.

지난달 기준, 익산 지역 아파트 미분양 물량은 9백99채.

준공 후 미분양도 225채에 이릅니다.

정부가 익산 등 지방 중소도시 9곳을 '세컨드홈' 특례 대상에 포함했습니다.

[구윤철/경제부총리/지난 14일 : "(수도권 1주택자가) 비수도권의 준공 후 미분양 주택을 매입할 때는 취득세도 한시적으로 중과 배제하고 50%까지 감면하겠습니다."]

'세컨드홈'은 1주택자가 비수도권 인구감소지역에서 1채를 더 구입해도 동일한 세제 혜택을 주는 제도입니다.

특히 이번엔 집값 기준을 공시가격 9억 원까지 높여 익산 대부분 미분양 아파트가 포함됩니다.

[김남철/한국공인중개사협회 익산지회장 : "'세컨드홈' 정책 시행으로 미분양 (물량) 소진이 더 가팔라질 것으로 생각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인구 감소에 따른 취약한 수요 기반이 해소되지 않으면, 특례가 사라진 뒤 또 다른 위기를 불러올 수도 있다는 지적도 나옵니다.

또 투기 세력이 유입돼 실거주자 부담이 커질 수 있다는 우려도 큽니다.

[황인철/익산참여연대 시민사업국장 : "투기 수요가 지방에 늘어나다 보면 자연스럽게 수요가 늘면 가격은 상승할 수밖에 없는 구조잖아요. 실거주하는 주민에게는 이중고로 작용할 수 있는…."]

'세컨드홈' 특례는 임시방편이라는 지적 속에, 지역 부동산 시장 회복을 위한 정부와 지자체의 근본적인 대책이 뒤따라야 할 것으로 보입니다.

KBS 뉴스 이수진입니다.

촬영기자:김동균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익산시, ‘세컨드홈’ 특례 포함…장기 미분양 해소되나?
    • 입력 2025-08-21 21:52:38
    • 수정2025-08-21 21:54:48
    뉴스9(전주)
[앵커]

익산시가 이른바 '세컨드홈' 특례 지역에 포함되면서 아파트 장기 미분양 해소에 청신호가 켜졌습니다.

정부의 지원 대책에 기대감이 큰 반면, 투기성 자본 유입에 대한 우려도 적지 않습니다.

이수진 기자입니다.

[리포트]

다음 달 입주를 시작하는 한 아파트 단지입니다.

전체 8백34채 가운데 절반 가량이 미분양으로 알려졌습니다.

지난달 기준, 익산 지역 아파트 미분양 물량은 9백99채.

준공 후 미분양도 225채에 이릅니다.

정부가 익산 등 지방 중소도시 9곳을 '세컨드홈' 특례 대상에 포함했습니다.

[구윤철/경제부총리/지난 14일 : "(수도권 1주택자가) 비수도권의 준공 후 미분양 주택을 매입할 때는 취득세도 한시적으로 중과 배제하고 50%까지 감면하겠습니다."]

'세컨드홈'은 1주택자가 비수도권 인구감소지역에서 1채를 더 구입해도 동일한 세제 혜택을 주는 제도입니다.

특히 이번엔 집값 기준을 공시가격 9억 원까지 높여 익산 대부분 미분양 아파트가 포함됩니다.

[김남철/한국공인중개사협회 익산지회장 : "'세컨드홈' 정책 시행으로 미분양 (물량) 소진이 더 가팔라질 것으로 생각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인구 감소에 따른 취약한 수요 기반이 해소되지 않으면, 특례가 사라진 뒤 또 다른 위기를 불러올 수도 있다는 지적도 나옵니다.

또 투기 세력이 유입돼 실거주자 부담이 커질 수 있다는 우려도 큽니다.

[황인철/익산참여연대 시민사업국장 : "투기 수요가 지방에 늘어나다 보면 자연스럽게 수요가 늘면 가격은 상승할 수밖에 없는 구조잖아요. 실거주하는 주민에게는 이중고로 작용할 수 있는…."]

'세컨드홈' 특례는 임시방편이라는 지적 속에, 지역 부동산 시장 회복을 위한 정부와 지자체의 근본적인 대책이 뒤따라야 할 것으로 보입니다.

KBS 뉴스 이수진입니다.

촬영기자:김동균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전주-주요뉴스

더보기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