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로 미래로] 북한 실상 ‘고발’ 그림으로 표현

입력 2025.08.23 (08:28) 수정 2025.08.23 (08:33)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문학은 단순한 이야기가 아니라 시대와 사회를 비추는 거울이자 때로는 억압된 현실을 고발하는 도구가 되기도 합니다.

네, 바로 그런 의미에서 오늘 소개할 전시와 책에 주목할 필요가 있습니다.

북한 체제를 고발한 소설을 모티브로 남북의 작가들이 그림을 그렸습니다.

이 소설가는 북한에 살며 현역 작가로 활동하고 있는데 원고를 북한 밖으로 몰래 반출했고, 전시에 참여한 화가 중 한 명은 북한에서 선전 포스터를 그리다 탈북했다고 합니다.

북한 인권을 되짚어 보는 전시회에 정미정 리포터가 다녀왔습니다.

함께 보시죠.

[리포트]

서울 광화문 한복판, 도심에서 열린 전시회장을 찾아가 보았습니다.

벽면에 가득 걸린 작품들.

북한의 독재 체제와 억압받는 주민들의 삶을 상징하는 그림들이 관람객들의 시선을 사로잡습니다.

[김지우/관람객 : "(그림의) 요소들이 강렬하고 직관적으로 다가온 것 같아서 '참혹한 북한 인권의 실상들을 조금 빠르게 알 수 있지 않았나'라는 의미에서 많이 인상 깊었던 것 같습니다."]

얽히고설킨 가시철망 위 붉은 글씨가 서슬푸른 북한의 현실을 드러내는 듯하고. 또 다른 작품에선 감시와 구속을 넘어 자유를 향해 날아가는, 하얀 깃털을 펜으로 형상화해 희망의 메시지를 전합니다.

이번 전시에는 21명의 남북한 출신 작가들이 문학 속 이야기를 그림으로 풀어냈습니다.

[도희윤/(사)행복한통일로 대표 : "('탈 북(book) 스토리' 전시회라고 하던데 어떤 전시회인가요?) 반디 선생의 '고발' 작품을 21명의 작가들이 (참여해서) 반디 작가의 책이 30개국에서 번역이 됐거든요. 그 표지를 모티브로 해서 그림으로 표현한 전시입니다."]

책 고발은 북한 주민들의 억압된 일상과 모순된 체제의 모습을 단편 소설 형식으로 담아냈는데요.

활자 속 이야기들이 화폭 위에 옮겨진다면 어떤 모습일까요?

책의 작가 반디는 실제로 북한에 거주 중인데요.

반디는 필명으로 체제의 감시를 피해 몰래 원고를 써 내려갔다고 합니다.

[도희윤/(사)행복한통일로 대표 : "(반디 작가의) 얼굴, 나이, 어디에 계시는지 전혀 알려진 게 없는 상황입니다. 알려드릴 수도 없는 거고요. 그렇지만 반디 선생님의 몸은 북한에 계시는 거고 북한에서 현역 작가로 활동하신 분입니다. 활동을 하시면서 정말로 하고 싶은 이야기를 조용히, 은밀하게 원고지에 적으셨죠."]

원고는 2013년 북한 밖으로 비밀리에 반출됐고, 다음 해 한국에서 '고발'이라는 소설집으로 출판됐습니다.

그가 집필한 7편의 단편에는 북한의 실상이 적나라하게 적혀 있는데요.

대표적으로 단편 '빨간 버섯'은 북한의 일당독재 체제를 향한 날카로운 고발의식이 담겼습니다.

[도희윤/(사)행복한통일로 대표 : "빨간 버섯이라는 것은 북한의 노동당사. 북한은 대부분의 당사가 붉은 벽돌, 붉은 벽돌이 굉장히 고급스러운 소재래요. 북한은 모든 게 당 중심이거든요. 당이 결심하고 당이 명령하고 당에 의해서 움직이는 사회다 이렇게 보시면 됩니다."]

이처럼 소설에 내재된 이야기는, 그림에 묘사되어 전시회에 걸렸는데요.

송미리 작가의 작품, '빨간 버섯'입니다.

[도희윤/(사)행복한통일로 대표 : "이 나무에는 잎이 하나도 없어요. 빨간 버섯에 의해서 어떻게 보면 모든 게 다 빨려 버린 그런 모습들을 이 작가님은 표현하신 겁니다."]

이번 전시에는 3명의 탈북민 작가들도 함께 했는데, 2009년 탈북한 권효진 작가도 그중 한 명입니다.

북한에 있을 때 청진 시내 곳곳에 선전 구호들을 직접 썼다는 권 작가.

[권효진/참여 작가/탈북민 : "(북한 청진) 거기서 당을 선전하는 포스터를 그리거나 구호를 쓰거나 그런 일을 했습니다."]

검은 바탕 위에 큼지막하게 자리한 '고발'이란 글씨가 선명합니다.

글자의 획 안을 들여다보면 북한 주민들의 고통이 촘촘히 채워져 있는데요.

[권효진/참여 작가/탈북민 : "(북한) 인민들이 겪고 있었던 또 더 가깝게는 제 자신이 겪은 내용들을 그대로 집약적으로 모아서 한번 고발에다가 넣어봤습니다."]

책에 적힌 섬세한 표현과 생생한 서사는 북한 내부 사정에 정통한 사람만이 쓸 수 있다고 설명합니다.

[권효진/참여 작가/탈북민 : "'무시기드라' 이건 그것이 어떤 것이더라 이 표현을 '무시기드라' 이렇게 표현하는 거예요. 이건 완전히 함북 사투리 그대로 재현한 거거든요."]

작품들을 감상하며, 소설 속 장면과 장소에 담긴 의미를 되짚어 내려가는 권 작가.

["'마르크스-레닌주의학원'인데, 지금은 '김일성고급당학교'가 됐어요. 김일성 광장 앞입니다."]

단편 '지척만리' 속 명철과 그 아내의 이야기를 그린 그림에서도 발길을 멈췄습니다.

[권효진/참여 작가/탈북민 : "남편이 (다녀온) 북한의 노동단련대라는 곳이 어떤 장소라는 걸 부인이 너무나도 잘 알거든요. 부인의 대답은 눈물입니다."]

이 풍경들은 권 작가가 고향에서 마주했던 아픔의 현실이기도 했는데요.

["이걸 보니까 지금도 바라보는 내 자신이 눈물이 나와요. 이게 일상이었으니까. 가족을 보는 것 같이..."]

작품 앞에 선 관객들도 깊게 몰입됐습니다.

[박지용/관람객 : "고발을 읽었던 사람으로서 그림으로 보니까 너무 감명 깊고 세 자녀를 키우는 아빠 입장으로서, 이런 사회에 빨리 자유를 줄 수 있으면 좋겠다는 생각이 드는 것 같습니다."]

북한 작가의 필명 반디는 반딧불이, 즉 어두운 체제 속에서도 꺼지지 않는 작은 희망을 뜻한다고 합니다.

그렇다면 반디 작가가 희망하는 세상은 어떤 모습일까요?

반디 작가의 원고 입수부터 출간까지 모든 과정을 함께했다는 도희윤 대표.

[도희윤/(사)행복한통일로 대표 : "반디 선생님의 친척을 통해서 이 내용의 정보를 듣고 저희들이 사람을 보내서 반디 선생을 뵙고 원고지가 나오게 된 거죠."]

한국에 도착했을 당시의 원고 모습입니다.

1980년대 후반부터 1990년대 초반까지 작성된 낡은 원고를 책으로 엮기 위한 타이핑 작업 역시 도 대표의 몫이었습니다.

[도희윤/(사)행복한통일로 대표 : "이 작품에 대해서는 딱 두 사람만이 원본을 보고 컴퓨터에 타이핑을 친 거죠. 각색되지 않은 유일한 내용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북한 조선작가동맹의 일원이기도 한 반디 작가는 탈북 권유에도 끝내 원고만을 전했다고 합니다.

["탈북을 할 수 있었을 것 같은데, 왜 탈북을 하지 않으셨는지 궁금한데요."]

[도희윤/(사)행복한통일로 대표 : "내가 정말로 뼈를 깎아 쓴 이 글, 이 글이 세상에 나간다면 내가 나간 거와 똑같다 이런 말씀을 해주셨어요."]

그의 바람대로, '고발'은 현재 전 세계 30여 개국에서 출판됐습니다.

특히 영문판은 한강의 '채식주의자'를 번역한 데보라 스미스가 맡아 2017년 영국 '펜 번역상'을 받았습니다.

올해에는 반디 작가의 시집이 새롭게 나왔는데요.

2013년 입수한 원고 속에 함께 수록됐던 50편의 시를 하나로 묶어 냈습니다.

["'아! K,B,S, 사회교육방송'(현재 KBS 한민족방송) 이라고 하는 내용이 나와요. 이게 라디오 방송인데, 이 방송을 반디 선생님이 들으셨던 거죠. 들으시고 시를 쓰신 거예요."]

작가의 꿈이 담긴 한 편의 시가 편지처럼 전해집니다.

[도희윤/(사)행복한통일로 대표 : "꿈이라고 하는 시를 맨 마지막에 배치하셨어요. '이 세상 넓은 세상 맘껏 맛보자 아 만세 만세 만만세 자유 만만세' 저희들이 원하는 것도 진정으로 평화로운 통일인거죠. 북한 주민들에게 희망을 주는 그것이 그분이 바라는 미래다 이렇게 말씀드릴 수 있습니다."]

억압의 굴레를 벗어나 마음껏 자유를 누리는 드넓은 세상.

반디 작가의 간절한 바람이 현실로 다가올 날을 기다려 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통일로 미래로] 북한 실상 ‘고발’ 그림으로 표현
    • 입력 2025-08-23 08:28:19
    • 수정2025-08-23 08:33:39
    남북의 창
[앵커]

문학은 단순한 이야기가 아니라 시대와 사회를 비추는 거울이자 때로는 억압된 현실을 고발하는 도구가 되기도 합니다.

네, 바로 그런 의미에서 오늘 소개할 전시와 책에 주목할 필요가 있습니다.

북한 체제를 고발한 소설을 모티브로 남북의 작가들이 그림을 그렸습니다.

이 소설가는 북한에 살며 현역 작가로 활동하고 있는데 원고를 북한 밖으로 몰래 반출했고, 전시에 참여한 화가 중 한 명은 북한에서 선전 포스터를 그리다 탈북했다고 합니다.

북한 인권을 되짚어 보는 전시회에 정미정 리포터가 다녀왔습니다.

함께 보시죠.

[리포트]

서울 광화문 한복판, 도심에서 열린 전시회장을 찾아가 보았습니다.

벽면에 가득 걸린 작품들.

북한의 독재 체제와 억압받는 주민들의 삶을 상징하는 그림들이 관람객들의 시선을 사로잡습니다.

[김지우/관람객 : "(그림의) 요소들이 강렬하고 직관적으로 다가온 것 같아서 '참혹한 북한 인권의 실상들을 조금 빠르게 알 수 있지 않았나'라는 의미에서 많이 인상 깊었던 것 같습니다."]

얽히고설킨 가시철망 위 붉은 글씨가 서슬푸른 북한의 현실을 드러내는 듯하고. 또 다른 작품에선 감시와 구속을 넘어 자유를 향해 날아가는, 하얀 깃털을 펜으로 형상화해 희망의 메시지를 전합니다.

이번 전시에는 21명의 남북한 출신 작가들이 문학 속 이야기를 그림으로 풀어냈습니다.

[도희윤/(사)행복한통일로 대표 : "('탈 북(book) 스토리' 전시회라고 하던데 어떤 전시회인가요?) 반디 선생의 '고발' 작품을 21명의 작가들이 (참여해서) 반디 작가의 책이 30개국에서 번역이 됐거든요. 그 표지를 모티브로 해서 그림으로 표현한 전시입니다."]

책 고발은 북한 주민들의 억압된 일상과 모순된 체제의 모습을 단편 소설 형식으로 담아냈는데요.

활자 속 이야기들이 화폭 위에 옮겨진다면 어떤 모습일까요?

책의 작가 반디는 실제로 북한에 거주 중인데요.

반디는 필명으로 체제의 감시를 피해 몰래 원고를 써 내려갔다고 합니다.

[도희윤/(사)행복한통일로 대표 : "(반디 작가의) 얼굴, 나이, 어디에 계시는지 전혀 알려진 게 없는 상황입니다. 알려드릴 수도 없는 거고요. 그렇지만 반디 선생님의 몸은 북한에 계시는 거고 북한에서 현역 작가로 활동하신 분입니다. 활동을 하시면서 정말로 하고 싶은 이야기를 조용히, 은밀하게 원고지에 적으셨죠."]

원고는 2013년 북한 밖으로 비밀리에 반출됐고, 다음 해 한국에서 '고발'이라는 소설집으로 출판됐습니다.

그가 집필한 7편의 단편에는 북한의 실상이 적나라하게 적혀 있는데요.

대표적으로 단편 '빨간 버섯'은 북한의 일당독재 체제를 향한 날카로운 고발의식이 담겼습니다.

[도희윤/(사)행복한통일로 대표 : "빨간 버섯이라는 것은 북한의 노동당사. 북한은 대부분의 당사가 붉은 벽돌, 붉은 벽돌이 굉장히 고급스러운 소재래요. 북한은 모든 게 당 중심이거든요. 당이 결심하고 당이 명령하고 당에 의해서 움직이는 사회다 이렇게 보시면 됩니다."]

이처럼 소설에 내재된 이야기는, 그림에 묘사되어 전시회에 걸렸는데요.

송미리 작가의 작품, '빨간 버섯'입니다.

[도희윤/(사)행복한통일로 대표 : "이 나무에는 잎이 하나도 없어요. 빨간 버섯에 의해서 어떻게 보면 모든 게 다 빨려 버린 그런 모습들을 이 작가님은 표현하신 겁니다."]

이번 전시에는 3명의 탈북민 작가들도 함께 했는데, 2009년 탈북한 권효진 작가도 그중 한 명입니다.

북한에 있을 때 청진 시내 곳곳에 선전 구호들을 직접 썼다는 권 작가.

[권효진/참여 작가/탈북민 : "(북한 청진) 거기서 당을 선전하는 포스터를 그리거나 구호를 쓰거나 그런 일을 했습니다."]

검은 바탕 위에 큼지막하게 자리한 '고발'이란 글씨가 선명합니다.

글자의 획 안을 들여다보면 북한 주민들의 고통이 촘촘히 채워져 있는데요.

[권효진/참여 작가/탈북민 : "(북한) 인민들이 겪고 있었던 또 더 가깝게는 제 자신이 겪은 내용들을 그대로 집약적으로 모아서 한번 고발에다가 넣어봤습니다."]

책에 적힌 섬세한 표현과 생생한 서사는 북한 내부 사정에 정통한 사람만이 쓸 수 있다고 설명합니다.

[권효진/참여 작가/탈북민 : "'무시기드라' 이건 그것이 어떤 것이더라 이 표현을 '무시기드라' 이렇게 표현하는 거예요. 이건 완전히 함북 사투리 그대로 재현한 거거든요."]

작품들을 감상하며, 소설 속 장면과 장소에 담긴 의미를 되짚어 내려가는 권 작가.

["'마르크스-레닌주의학원'인데, 지금은 '김일성고급당학교'가 됐어요. 김일성 광장 앞입니다."]

단편 '지척만리' 속 명철과 그 아내의 이야기를 그린 그림에서도 발길을 멈췄습니다.

[권효진/참여 작가/탈북민 : "남편이 (다녀온) 북한의 노동단련대라는 곳이 어떤 장소라는 걸 부인이 너무나도 잘 알거든요. 부인의 대답은 눈물입니다."]

이 풍경들은 권 작가가 고향에서 마주했던 아픔의 현실이기도 했는데요.

["이걸 보니까 지금도 바라보는 내 자신이 눈물이 나와요. 이게 일상이었으니까. 가족을 보는 것 같이..."]

작품 앞에 선 관객들도 깊게 몰입됐습니다.

[박지용/관람객 : "고발을 읽었던 사람으로서 그림으로 보니까 너무 감명 깊고 세 자녀를 키우는 아빠 입장으로서, 이런 사회에 빨리 자유를 줄 수 있으면 좋겠다는 생각이 드는 것 같습니다."]

북한 작가의 필명 반디는 반딧불이, 즉 어두운 체제 속에서도 꺼지지 않는 작은 희망을 뜻한다고 합니다.

그렇다면 반디 작가가 희망하는 세상은 어떤 모습일까요?

반디 작가의 원고 입수부터 출간까지 모든 과정을 함께했다는 도희윤 대표.

[도희윤/(사)행복한통일로 대표 : "반디 선생님의 친척을 통해서 이 내용의 정보를 듣고 저희들이 사람을 보내서 반디 선생을 뵙고 원고지가 나오게 된 거죠."]

한국에 도착했을 당시의 원고 모습입니다.

1980년대 후반부터 1990년대 초반까지 작성된 낡은 원고를 책으로 엮기 위한 타이핑 작업 역시 도 대표의 몫이었습니다.

[도희윤/(사)행복한통일로 대표 : "이 작품에 대해서는 딱 두 사람만이 원본을 보고 컴퓨터에 타이핑을 친 거죠. 각색되지 않은 유일한 내용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북한 조선작가동맹의 일원이기도 한 반디 작가는 탈북 권유에도 끝내 원고만을 전했다고 합니다.

["탈북을 할 수 있었을 것 같은데, 왜 탈북을 하지 않으셨는지 궁금한데요."]

[도희윤/(사)행복한통일로 대표 : "내가 정말로 뼈를 깎아 쓴 이 글, 이 글이 세상에 나간다면 내가 나간 거와 똑같다 이런 말씀을 해주셨어요."]

그의 바람대로, '고발'은 현재 전 세계 30여 개국에서 출판됐습니다.

특히 영문판은 한강의 '채식주의자'를 번역한 데보라 스미스가 맡아 2017년 영국 '펜 번역상'을 받았습니다.

올해에는 반디 작가의 시집이 새롭게 나왔는데요.

2013년 입수한 원고 속에 함께 수록됐던 50편의 시를 하나로 묶어 냈습니다.

["'아! K,B,S, 사회교육방송'(현재 KBS 한민족방송) 이라고 하는 내용이 나와요. 이게 라디오 방송인데, 이 방송을 반디 선생님이 들으셨던 거죠. 들으시고 시를 쓰신 거예요."]

작가의 꿈이 담긴 한 편의 시가 편지처럼 전해집니다.

[도희윤/(사)행복한통일로 대표 : "꿈이라고 하는 시를 맨 마지막에 배치하셨어요. '이 세상 넓은 세상 맘껏 맛보자 아 만세 만세 만만세 자유 만만세' 저희들이 원하는 것도 진정으로 평화로운 통일인거죠. 북한 주민들에게 희망을 주는 그것이 그분이 바라는 미래다 이렇게 말씀드릴 수 있습니다."]

억압의 굴레를 벗어나 마음껏 자유를 누리는 드넓은 세상.

반디 작가의 간절한 바람이 현실로 다가올 날을 기다려 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