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층취재]‘참여연대’ 기업 상대 모금 논란

입력 2006.04.04 (22:07) 수정 2018.08.29 (15:00)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시민단체인 참여 연대가 사무실 이전을 위해 기업들에게 후원금 요청을 해 구설수에 오르고 있습니다. 도덕성과 독립성이 생명인 시민단체의 재원 마련문제 심층보도로 조명해봅니다.

홍찬의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참여 연대는 사무실 이전을 위한 후원회 행사를 열었습니다.

850개 업체에 후원금 약정서가 들어있는 초청장을 발송했습니다.

문제는 모레 발표되는 편법 상속 기업 명단에 포함되는 38개 기업들에까지 초청장을 보냈다는 것입니다.

초청장을 받은 기업들은 액수는 많지 않지만 일단은 부담스럽다는 반응입니다.

<인터뷰>기업 관계자: "낸다고 이익은 없지만 안낼 때 불이익은 없게 하기 위해서 보험 차원에서 내려고요."

참여연대 측은 5백만 원 한도에서 원하는 사람만 공개적으로 후원금을 내는 것이기 때문에 문제될 것이 없다는 입장입니다.

<인터뷰>김민영 (참여연대 협동사무처장): "그냥 시기가 우연히 맞을 뿐이지 발표와는 무관합니다. "

이런 후원회 행사는 풀뿌리 시민운동이 열악한 우리 구조에서 시민단체가 생긴 이래 10여 년 동안 계속돼 왔습니다.

경실련도 예외는 아닙니다.

<인터뷰>위정희 (경실련 사무국장): "회원들이 회비로 운영하는 것이 제일 좋은 것이긴 하지만 그것은 우리 환경에서 쉽지가 않죠. "

이런 열악한 환경속에서도 시민단체의 재원 가운데 개인 회원이 내는 돈은 6-70%를 차지하고 기업 후원금은 5-10% 정도에 불과합니다. 정부지원도 받고 있지 않습니다.

그러나 다른 300여 개 시민사회단체의 재원 구조는 더욱 열악합니다.

열악한 재정난을 타개하면서도 감시대상과 유착한다는 오해를 피하기 위해서는 비영리재단의 공동모금을 통해 시민단체에 지원하는 미국의 사례가 대안이 될 수 있습니다.

<인터뷰>양용희 (호서대 사회복지학과 교수): " 미국처럼 재단을 활용한 재원을 마련해서 시민사회단체에 주어야 독립성과 투명성을 보장할 수 있다."

시민단체의 안정적 재원 확보 방안이 새롭게 모색되야 할 땝니다.

KBS 뉴스 홍찬의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심층취재]‘참여연대’ 기업 상대 모금 논란
    • 입력 2006-04-04 21:24:06
    • 수정2018-08-29 15:00:00
    뉴스 9
<앵커 멘트> 시민단체인 참여 연대가 사무실 이전을 위해 기업들에게 후원금 요청을 해 구설수에 오르고 있습니다. 도덕성과 독립성이 생명인 시민단체의 재원 마련문제 심층보도로 조명해봅니다. 홍찬의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참여 연대는 사무실 이전을 위한 후원회 행사를 열었습니다. 850개 업체에 후원금 약정서가 들어있는 초청장을 발송했습니다. 문제는 모레 발표되는 편법 상속 기업 명단에 포함되는 38개 기업들에까지 초청장을 보냈다는 것입니다. 초청장을 받은 기업들은 액수는 많지 않지만 일단은 부담스럽다는 반응입니다. <인터뷰>기업 관계자: "낸다고 이익은 없지만 안낼 때 불이익은 없게 하기 위해서 보험 차원에서 내려고요." 참여연대 측은 5백만 원 한도에서 원하는 사람만 공개적으로 후원금을 내는 것이기 때문에 문제될 것이 없다는 입장입니다. <인터뷰>김민영 (참여연대 협동사무처장): "그냥 시기가 우연히 맞을 뿐이지 발표와는 무관합니다. " 이런 후원회 행사는 풀뿌리 시민운동이 열악한 우리 구조에서 시민단체가 생긴 이래 10여 년 동안 계속돼 왔습니다. 경실련도 예외는 아닙니다. <인터뷰>위정희 (경실련 사무국장): "회원들이 회비로 운영하는 것이 제일 좋은 것이긴 하지만 그것은 우리 환경에서 쉽지가 않죠. " 이런 열악한 환경속에서도 시민단체의 재원 가운데 개인 회원이 내는 돈은 6-70%를 차지하고 기업 후원금은 5-10% 정도에 불과합니다. 정부지원도 받고 있지 않습니다. 그러나 다른 300여 개 시민사회단체의 재원 구조는 더욱 열악합니다. 열악한 재정난을 타개하면서도 감시대상과 유착한다는 오해를 피하기 위해서는 비영리재단의 공동모금을 통해 시민단체에 지원하는 미국의 사례가 대안이 될 수 있습니다. <인터뷰>양용희 (호서대 사회복지학과 교수): " 미국처럼 재단을 활용한 재원을 마련해서 시민사회단체에 주어야 독립성과 투명성을 보장할 수 있다." 시민단체의 안정적 재원 확보 방안이 새롭게 모색되야 할 땝니다. KBS 뉴스 홍찬의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