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층취재] 책값, 무늬만 할인

입력 2006.04.23 (21:51) 수정 2018.08.29 (15:00)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요즘 책 사볼 때 20~30%씩 할인받는 경우 많으시죠.

그런데, 과연 소비자가 이익을 보는 걸까요?

오늘 세계 책의 날, 책값의 진실은 무엇인지 유원중 기자가 심층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오늘 종(1권)당 1603원 꼴로 구입할 수 있도록 (해줍니다) "

56권짜리 영어동화 전집이 9만 원대에 팔립니다.

CD나 망원경도 경품으로 따라옵니다.

나온 지 일주일도 안 된 신간도 인터넷에선 10% 할인해 팝니다.

적립금과 할인쿠폰까지 쓰면 할인율은 2-30%로 뛰고, 심지어 절반 가격에도 신간을 살 수도 있습니다.

<인터뷰> 김경숙 (서울 시흥동) : "정가로 사기엔 억울하고 인터넷으로 사면 잘못 고를 확률도 있어서."

언뜻 보면 할인 혜택이 소비자에게 모두 돌아올 것 같지만 출판사들도 밑지지 않고 수지타산을 맞추는 방법이 있습니다.

출판사가 아예 정가를 올릴 수 있기 때문입니다.

2003년을 기준으로 한 전후 3년간 가격변동률에서 문학도서가 전체 책값보다 30% 이상 더 상승했다는 조사결과가 이 같은 의혹을 뒷받침합니다.

<인터뷰> 백원근 (출판연구소 연구부장) : "문학류 가격이 30% 정도 올랐다. 결국 가격에 거품이 생겼다는 뜻이다."

가격경쟁에 밀릴 경우 원가를 줄이는 방법도 출판계의 공공연한 비밀입니다.

<인터뷰> 최용철 (출판사 사장) : "할인을 견뎌내는 방법은 두 가지밖에 없습니다.책값을 올리거나 인세, 편집비 등을 낮추는 결국 질 낮은 책을 만드는 거죠."

더 큰 문제는 책값을 깎아주는 대형서점이나 인터넷 서점을 중심으로 책이 유통되다 보면 대중서적은 많이 만들어지겠지만 깊이 있는 전문.학술도서들은 설 자리를 잃게 된다는 것입니다.

<인터뷰> 이창연 (전국서점연합회장) : "좋은 책은 사라지고 가격 경쟁을 하는 저질의 책은 늘어나서 악화가 양화를 구축하는 결과."

도서정가제가 사실상 무너지면서 독자들은 점점 더,좋은 책도 값싼 책도 손에 쥐기 힘들어졌습니다.

KBS 뉴스 유원중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심층취재] 책값, 무늬만 할인
    • 입력 2006-04-23 21:09:08
    • 수정2018-08-29 15:00:00
    뉴스 9
<앵커 멘트> 요즘 책 사볼 때 20~30%씩 할인받는 경우 많으시죠. 그런데, 과연 소비자가 이익을 보는 걸까요? 오늘 세계 책의 날, 책값의 진실은 무엇인지 유원중 기자가 심층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오늘 종(1권)당 1603원 꼴로 구입할 수 있도록 (해줍니다) " 56권짜리 영어동화 전집이 9만 원대에 팔립니다. CD나 망원경도 경품으로 따라옵니다. 나온 지 일주일도 안 된 신간도 인터넷에선 10% 할인해 팝니다. 적립금과 할인쿠폰까지 쓰면 할인율은 2-30%로 뛰고, 심지어 절반 가격에도 신간을 살 수도 있습니다. <인터뷰> 김경숙 (서울 시흥동) : "정가로 사기엔 억울하고 인터넷으로 사면 잘못 고를 확률도 있어서." 언뜻 보면 할인 혜택이 소비자에게 모두 돌아올 것 같지만 출판사들도 밑지지 않고 수지타산을 맞추는 방법이 있습니다. 출판사가 아예 정가를 올릴 수 있기 때문입니다. 2003년을 기준으로 한 전후 3년간 가격변동률에서 문학도서가 전체 책값보다 30% 이상 더 상승했다는 조사결과가 이 같은 의혹을 뒷받침합니다. <인터뷰> 백원근 (출판연구소 연구부장) : "문학류 가격이 30% 정도 올랐다. 결국 가격에 거품이 생겼다는 뜻이다." 가격경쟁에 밀릴 경우 원가를 줄이는 방법도 출판계의 공공연한 비밀입니다. <인터뷰> 최용철 (출판사 사장) : "할인을 견뎌내는 방법은 두 가지밖에 없습니다.책값을 올리거나 인세, 편집비 등을 낮추는 결국 질 낮은 책을 만드는 거죠." 더 큰 문제는 책값을 깎아주는 대형서점이나 인터넷 서점을 중심으로 책이 유통되다 보면 대중서적은 많이 만들어지겠지만 깊이 있는 전문.학술도서들은 설 자리를 잃게 된다는 것입니다. <인터뷰> 이창연 (전국서점연합회장) : "좋은 책은 사라지고 가격 경쟁을 하는 저질의 책은 늘어나서 악화가 양화를 구축하는 결과." 도서정가제가 사실상 무너지면서 독자들은 점점 더,좋은 책도 값싼 책도 손에 쥐기 힘들어졌습니다. KBS 뉴스 유원중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