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의 실크로드' 구상도 구체화된다
입력 2000.06.16 (21:00)
수정 2018.08.29 (15:00)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철의 실크로드.
남북철도를 연결해서 아시아와 유럽을 잇는 사업이 남북경협의 최대 현안으로 떠오르고 있습니다.
김대중 대통령은 어제 귀국보고에서 철의 실크로드 구상을 구체적으로 언급해서 정부의 후속 조처가 뒤따를 것임을 예고했습니다.
장기철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기자: 서해 항로를 따라 인천에서 남포까지 컨테이너를 실어나르는 비용은 개당 1000달러.
천진항로보다 4배나 비싸고 홍콩 항로보다도 배나 더 먹힙니다.
⊙김정균(현대경제연구원 북한팀장) : 인천-남포간의 물류비용이 유럽까지 가는 물류비용과 비슷하다면 남북경협 활성화는 이루어질 수 없을 것입니다.
⊙기자: 경 의선을 연결하면 이런 과다한 물류비용 문제가 손쉽게 해결됩니다.
남측의 이곳 문산에서 북측의 봉동까지의 단절구간 20km를 잇기만 하면 당장 통일열차가 달릴 수 있기 때문입니다.
이 통일열차는 물류비용을 현재의 4분의 1 수준으로 낮추고 북한 서부지역 전역을 1일 생활권으로 편입시키는 등 남북경협의 대동맥 역할을 맡게 됩니다.
⊙김대중 대통령: 북한하고만 해결되면 우리는 유럽까지 승승장구 뻗어갈 수 있습니다.
이렇게 해서 새로운 철의 실크로드가 생겨납니다.
⊙기자: 김대중 대통령의 이 철의 실크로드 구상은 현재 단선인 경의선을 복선화해서 중국 횡단철도와 시베리아 횡단철도를 연결해 유럽까지의 육상 수송로를 완성한다는 것입니다.
⊙김연철(삼성경제연구소 수석연구원): 북한은 연간 1억달러 이상의 중개료 수입이 예상되고 남한은 동북아 중심 물류기지로 도약할 수 있는 기반이 마련될 수 있습니다.
⊙기자: 남북철도 연결은 한일 해저터널 구상도 자극해서 일본에서 유럽을 잇는 21세기판 철의 실크로드 시대 개막을 앞당기게 할 것으로 보입니다.
KBS뉴스 장기철입니다.
남북철도를 연결해서 아시아와 유럽을 잇는 사업이 남북경협의 최대 현안으로 떠오르고 있습니다.
김대중 대통령은 어제 귀국보고에서 철의 실크로드 구상을 구체적으로 언급해서 정부의 후속 조처가 뒤따를 것임을 예고했습니다.
장기철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기자: 서해 항로를 따라 인천에서 남포까지 컨테이너를 실어나르는 비용은 개당 1000달러.
천진항로보다 4배나 비싸고 홍콩 항로보다도 배나 더 먹힙니다.
⊙김정균(현대경제연구원 북한팀장) : 인천-남포간의 물류비용이 유럽까지 가는 물류비용과 비슷하다면 남북경협 활성화는 이루어질 수 없을 것입니다.
⊙기자: 경 의선을 연결하면 이런 과다한 물류비용 문제가 손쉽게 해결됩니다.
남측의 이곳 문산에서 북측의 봉동까지의 단절구간 20km를 잇기만 하면 당장 통일열차가 달릴 수 있기 때문입니다.
이 통일열차는 물류비용을 현재의 4분의 1 수준으로 낮추고 북한 서부지역 전역을 1일 생활권으로 편입시키는 등 남북경협의 대동맥 역할을 맡게 됩니다.
⊙김대중 대통령: 북한하고만 해결되면 우리는 유럽까지 승승장구 뻗어갈 수 있습니다.
이렇게 해서 새로운 철의 실크로드가 생겨납니다.
⊙기자: 김대중 대통령의 이 철의 실크로드 구상은 현재 단선인 경의선을 복선화해서 중국 횡단철도와 시베리아 횡단철도를 연결해 유럽까지의 육상 수송로를 완성한다는 것입니다.
⊙김연철(삼성경제연구소 수석연구원): 북한은 연간 1억달러 이상의 중개료 수입이 예상되고 남한은 동북아 중심 물류기지로 도약할 수 있는 기반이 마련될 수 있습니다.
⊙기자: 남북철도 연결은 한일 해저터널 구상도 자극해서 일본에서 유럽을 잇는 21세기판 철의 실크로드 시대 개막을 앞당기게 할 것으로 보입니다.
KBS뉴스 장기철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철의 실크로드' 구상도 구체화된다
-
- 입력 2000-06-16 21:00:00
- 수정2018-08-29 15:00:00

⊙앵커: 철의 실크로드.
남북철도를 연결해서 아시아와 유럽을 잇는 사업이 남북경협의 최대 현안으로 떠오르고 있습니다.
김대중 대통령은 어제 귀국보고에서 철의 실크로드 구상을 구체적으로 언급해서 정부의 후속 조처가 뒤따를 것임을 예고했습니다.
장기철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기자: 서해 항로를 따라 인천에서 남포까지 컨테이너를 실어나르는 비용은 개당 1000달러.
천진항로보다 4배나 비싸고 홍콩 항로보다도 배나 더 먹힙니다.
⊙김정균(현대경제연구원 북한팀장) : 인천-남포간의 물류비용이 유럽까지 가는 물류비용과 비슷하다면 남북경협 활성화는 이루어질 수 없을 것입니다.
⊙기자: 경 의선을 연결하면 이런 과다한 물류비용 문제가 손쉽게 해결됩니다.
남측의 이곳 문산에서 북측의 봉동까지의 단절구간 20km를 잇기만 하면 당장 통일열차가 달릴 수 있기 때문입니다.
이 통일열차는 물류비용을 현재의 4분의 1 수준으로 낮추고 북한 서부지역 전역을 1일 생활권으로 편입시키는 등 남북경협의 대동맥 역할을 맡게 됩니다.
⊙김대중 대통령: 북한하고만 해결되면 우리는 유럽까지 승승장구 뻗어갈 수 있습니다.
이렇게 해서 새로운 철의 실크로드가 생겨납니다.
⊙기자: 김대중 대통령의 이 철의 실크로드 구상은 현재 단선인 경의선을 복선화해서 중국 횡단철도와 시베리아 횡단철도를 연결해 유럽까지의 육상 수송로를 완성한다는 것입니다.
⊙김연철(삼성경제연구소 수석연구원): 북한은 연간 1억달러 이상의 중개료 수입이 예상되고 남한은 동북아 중심 물류기지로 도약할 수 있는 기반이 마련될 수 있습니다.
⊙기자: 남북철도 연결은 한일 해저터널 구상도 자극해서 일본에서 유럽을 잇는 21세기판 철의 실크로드 시대 개막을 앞당기게 할 것으로 보입니다.
KBS뉴스 장기철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