턱 없이 부족한 구호물품…“이런 것이 필요해요”
입력 2006.07.19 (20:48)
수정 2006.07.19 (20:50)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이번 폭우로 전국적으로 3천여명에 가까운 이재민이 발생했고, 2600여 채의 주택이 파손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복구가 진행되고 있지만 구호물품이 충분하지 않아 힘든 실정입니다.
이들에게 필요한 것이 무엇인지, 우수경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쏟아지는 폭우에 챙긴 건 옷가지 몇 벌뿐.
물이 빠져 집에 돌아왔지만 정상적인 생활은 불가능합니다.
쓸어내고 퍼내도 집안은 온통 흙탕물입니다.
물에 젖은 가재도구를 말려보려고 내 놓았지만 바라보노라면 오히려 한숨만 나옵니다.
이런 상태로는 매 끼니 때우기도 어려운 상황.
쌀이나 부식도 부족하지만 밥솥이나 가스레인지 등 취사도구가 모두 젖어 쓸 수가 없습니다.
구호품이 들어오지만 쌀이나 휴대용 렌지 같은 취사도구는 아예 없습니다.
<인터뷰> 김재규 (영월 방절2리 이장) : "몽땅 물에 젖었는데..가재도구고 뭐고..다 필요하죠"
<인터뷰> 박순녀 (단양 영춘 용진리) : "밥솥도 물 들어가서 못 쓰고 냉장고도 물이 들어가서 하나도 못 쓰고..불편하죠"
빗줄기가 잦아들자마자 복구작업이 시작됐습니다.
무너져 내린 도로와 물에 잠겼던 집을 재건하기 위해 모두 나서보지만 부족한 게 너무나 많습니다.
먼저 곳곳에 고인 물을 퍼내려해도 펌프는 태부족입니다.
또 장화 등 복구 용품이 턱없이 부족해 복구는 더딜 수 밖에 없습니다.
<인터뷰> 피해주민 : "라면 등의 식료품들은 많이 들어오지만 복구 용품은 너무나 부족.."
삶의 터전을 송두리째 빼앗긴 뒤 다시 일어서려는 수재민들, 구호품 부족으로 속을 태우고 있습니다.
KBS 뉴스 우수경입니다.
이번 폭우로 전국적으로 3천여명에 가까운 이재민이 발생했고, 2600여 채의 주택이 파손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복구가 진행되고 있지만 구호물품이 충분하지 않아 힘든 실정입니다.
이들에게 필요한 것이 무엇인지, 우수경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쏟아지는 폭우에 챙긴 건 옷가지 몇 벌뿐.
물이 빠져 집에 돌아왔지만 정상적인 생활은 불가능합니다.
쓸어내고 퍼내도 집안은 온통 흙탕물입니다.
물에 젖은 가재도구를 말려보려고 내 놓았지만 바라보노라면 오히려 한숨만 나옵니다.
이런 상태로는 매 끼니 때우기도 어려운 상황.
쌀이나 부식도 부족하지만 밥솥이나 가스레인지 등 취사도구가 모두 젖어 쓸 수가 없습니다.
구호품이 들어오지만 쌀이나 휴대용 렌지 같은 취사도구는 아예 없습니다.
<인터뷰> 김재규 (영월 방절2리 이장) : "몽땅 물에 젖었는데..가재도구고 뭐고..다 필요하죠"
<인터뷰> 박순녀 (단양 영춘 용진리) : "밥솥도 물 들어가서 못 쓰고 냉장고도 물이 들어가서 하나도 못 쓰고..불편하죠"
빗줄기가 잦아들자마자 복구작업이 시작됐습니다.
무너져 내린 도로와 물에 잠겼던 집을 재건하기 위해 모두 나서보지만 부족한 게 너무나 많습니다.
먼저 곳곳에 고인 물을 퍼내려해도 펌프는 태부족입니다.
또 장화 등 복구 용품이 턱없이 부족해 복구는 더딜 수 밖에 없습니다.
<인터뷰> 피해주민 : "라면 등의 식료품들은 많이 들어오지만 복구 용품은 너무나 부족.."
삶의 터전을 송두리째 빼앗긴 뒤 다시 일어서려는 수재민들, 구호품 부족으로 속을 태우고 있습니다.
KBS 뉴스 우수경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턱 없이 부족한 구호물품…“이런 것이 필요해요”
-
- 입력 2006-07-19 20:11:20
- 수정2006-07-19 20:50:50

<앵커 멘트>
이번 폭우로 전국적으로 3천여명에 가까운 이재민이 발생했고, 2600여 채의 주택이 파손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복구가 진행되고 있지만 구호물품이 충분하지 않아 힘든 실정입니다.
이들에게 필요한 것이 무엇인지, 우수경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쏟아지는 폭우에 챙긴 건 옷가지 몇 벌뿐.
물이 빠져 집에 돌아왔지만 정상적인 생활은 불가능합니다.
쓸어내고 퍼내도 집안은 온통 흙탕물입니다.
물에 젖은 가재도구를 말려보려고 내 놓았지만 바라보노라면 오히려 한숨만 나옵니다.
이런 상태로는 매 끼니 때우기도 어려운 상황.
쌀이나 부식도 부족하지만 밥솥이나 가스레인지 등 취사도구가 모두 젖어 쓸 수가 없습니다.
구호품이 들어오지만 쌀이나 휴대용 렌지 같은 취사도구는 아예 없습니다.
<인터뷰> 김재규 (영월 방절2리 이장) : "몽땅 물에 젖었는데..가재도구고 뭐고..다 필요하죠"
<인터뷰> 박순녀 (단양 영춘 용진리) : "밥솥도 물 들어가서 못 쓰고 냉장고도 물이 들어가서 하나도 못 쓰고..불편하죠"
빗줄기가 잦아들자마자 복구작업이 시작됐습니다.
무너져 내린 도로와 물에 잠겼던 집을 재건하기 위해 모두 나서보지만 부족한 게 너무나 많습니다.
먼저 곳곳에 고인 물을 퍼내려해도 펌프는 태부족입니다.
또 장화 등 복구 용품이 턱없이 부족해 복구는 더딜 수 밖에 없습니다.
<인터뷰> 피해주민 : "라면 등의 식료품들은 많이 들어오지만 복구 용품은 너무나 부족.."
삶의 터전을 송두리째 빼앗긴 뒤 다시 일어서려는 수재민들, 구호품 부족으로 속을 태우고 있습니다.
KBS 뉴스 우수경입니다.
-
-
우수경 기자 swoo@kbs.co.kr
우수경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슈
장마 · 호우_2006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