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중취재] ① ‘카나 학살’ 이스라엘 비난 봇물
입력 2006.07.31 (22:14)
수정 2006.07.31 (22:17)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레바논 사태가 이스라엘의 카나학살로 새로운 국면을 맞고 있습니다.
특히 30여명의 어린이가 희생돼 이스라엘에 대한 국제사회의 비난이 거세지고 있습니다.
집중취재 먼저 예루살렘에서 용태영 특파원이 보도합니다.
<리포트>
이스라엘의 공습으로 레바논 남부 카나의 3층짜리 건물이 순식간에 주저앉았습니다.
지하에 대피해 있던 난민 60명이 한꺼번에 숨졌습니다.
절반 이상이 어린이였습니다.
<녹취> 희생자 유족: "아이들 3명이 죽었어요, 세 명이..."
분노한 레바논인들은 베이루트의 유엔 사무실에 쳐들어가 집기를 부수며 무기력한 유엔을 성토했습니다.
시니오라 레바논 총리는 예정됐던 라이스 미 국무장관의 방문도 거절했습니다.
<녹취> 시니오라 (레바논 총리): "이 슬픈 아침에, 즉각 무조건 휴전이 아니라면 아무런 대화할 필요도
없습니다."
아랍권과 유럽 연합을 비롯한 세계 각국에서도 참사에 대한 비난과 함께 휴전을 촉구하는 성명이 쏟아졌습니다.
하지만, 이스라엘은 민간인들을 방패로 이용한 헤즈볼라에게 책임이 있다고 주장했습니다.
<녹취> 길러만 (이스라엘 유엔 대사): "그들은 헤즈볼라의 희생자입니다. 테러의 희생자입니다. 헤즈볼라가 없었으면 이런 일도 없었습니다."
이스라엘은 민간인이 대피할 시간을 주기 위해 48시간 공습을 중단한다고 선언했습니다.
하지만, 헤즈볼라에 대한 공격을 더 확대하겠다며 휴전 반대 입장을 재천명했습니다.
10년 전에도 이스라엘은 카나의 유엔 대피소를 공습해서 민간인 백여 명이 숨진 적이 있습니다.
국제사회의 분노와 휴전 압력은 더욱 거세졌습니다. 이번 카나 참사가 레바논 사태의 분수령이 될 전망입니다.
예루살렘에서 KBS 뉴스 용태영입니다.
레바논 사태가 이스라엘의 카나학살로 새로운 국면을 맞고 있습니다.
특히 30여명의 어린이가 희생돼 이스라엘에 대한 국제사회의 비난이 거세지고 있습니다.
집중취재 먼저 예루살렘에서 용태영 특파원이 보도합니다.
<리포트>
이스라엘의 공습으로 레바논 남부 카나의 3층짜리 건물이 순식간에 주저앉았습니다.
지하에 대피해 있던 난민 60명이 한꺼번에 숨졌습니다.
절반 이상이 어린이였습니다.
<녹취> 희생자 유족: "아이들 3명이 죽었어요, 세 명이..."
분노한 레바논인들은 베이루트의 유엔 사무실에 쳐들어가 집기를 부수며 무기력한 유엔을 성토했습니다.
시니오라 레바논 총리는 예정됐던 라이스 미 국무장관의 방문도 거절했습니다.
<녹취> 시니오라 (레바논 총리): "이 슬픈 아침에, 즉각 무조건 휴전이 아니라면 아무런 대화할 필요도
없습니다."
아랍권과 유럽 연합을 비롯한 세계 각국에서도 참사에 대한 비난과 함께 휴전을 촉구하는 성명이 쏟아졌습니다.
하지만, 이스라엘은 민간인들을 방패로 이용한 헤즈볼라에게 책임이 있다고 주장했습니다.
<녹취> 길러만 (이스라엘 유엔 대사): "그들은 헤즈볼라의 희생자입니다. 테러의 희생자입니다. 헤즈볼라가 없었으면 이런 일도 없었습니다."
이스라엘은 민간인이 대피할 시간을 주기 위해 48시간 공습을 중단한다고 선언했습니다.
하지만, 헤즈볼라에 대한 공격을 더 확대하겠다며 휴전 반대 입장을 재천명했습니다.
10년 전에도 이스라엘은 카나의 유엔 대피소를 공습해서 민간인 백여 명이 숨진 적이 있습니다.
국제사회의 분노와 휴전 압력은 더욱 거세졌습니다. 이번 카나 참사가 레바논 사태의 분수령이 될 전망입니다.
예루살렘에서 KBS 뉴스 용태영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집중취재] ① ‘카나 학살’ 이스라엘 비난 봇물
-
- 입력 2006-07-31 21:29:04
- 수정2006-07-31 22:17:58

<앵커 멘트>
레바논 사태가 이스라엘의 카나학살로 새로운 국면을 맞고 있습니다.
특히 30여명의 어린이가 희생돼 이스라엘에 대한 국제사회의 비난이 거세지고 있습니다.
집중취재 먼저 예루살렘에서 용태영 특파원이 보도합니다.
<리포트>
이스라엘의 공습으로 레바논 남부 카나의 3층짜리 건물이 순식간에 주저앉았습니다.
지하에 대피해 있던 난민 60명이 한꺼번에 숨졌습니다.
절반 이상이 어린이였습니다.
<녹취> 희생자 유족: "아이들 3명이 죽었어요, 세 명이..."
분노한 레바논인들은 베이루트의 유엔 사무실에 쳐들어가 집기를 부수며 무기력한 유엔을 성토했습니다.
시니오라 레바논 총리는 예정됐던 라이스 미 국무장관의 방문도 거절했습니다.
<녹취> 시니오라 (레바논 총리): "이 슬픈 아침에, 즉각 무조건 휴전이 아니라면 아무런 대화할 필요도
없습니다."
아랍권과 유럽 연합을 비롯한 세계 각국에서도 참사에 대한 비난과 함께 휴전을 촉구하는 성명이 쏟아졌습니다.
하지만, 이스라엘은 민간인들을 방패로 이용한 헤즈볼라에게 책임이 있다고 주장했습니다.
<녹취> 길러만 (이스라엘 유엔 대사): "그들은 헤즈볼라의 희생자입니다. 테러의 희생자입니다. 헤즈볼라가 없었으면 이런 일도 없었습니다."
이스라엘은 민간인이 대피할 시간을 주기 위해 48시간 공습을 중단한다고 선언했습니다.
하지만, 헤즈볼라에 대한 공격을 더 확대하겠다며 휴전 반대 입장을 재천명했습니다.
10년 전에도 이스라엘은 카나의 유엔 대피소를 공습해서 민간인 백여 명이 숨진 적이 있습니다.
국제사회의 분노와 휴전 압력은 더욱 거세졌습니다. 이번 카나 참사가 레바논 사태의 분수령이 될 전망입니다.
예루살렘에서 KBS 뉴스 용태영입니다.
-
-
용태영 기자 yongty@kbs.co.kr
용태영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