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국항공사, 갑작스런 파업 없다
입력 2000.10.23 (21:00)
수정 2018.08.29 (15:00)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외국 항공사도 파업을 벌이기는 하지만 타결을 위한 충분한 시간을 갖고 사측과 노조가 협상을 한다고 합니다.
프랑스의 경우를 파리에서 김혜송 특파원이 취재했습니다.
⊙기자: 지난 98년 6월 월드컵 축구대회를 앞두고 에어프랑스의 노조는 파업에 돌입했습니다.
이로 인해 운항편수의 90%가 중단될 정도로 파장이 컸고, 노조는 월드컵 참가자와 관중들의 수송에는 협조하겠다고 양보하며 열흘만에 협상을 타결지었습니다.
이 파업 이후 프랑스의 최대 조종사 노조인 SNPL은 이견이 있을 경우 3개월간의 협의기간을 갖기로 협약을 맺었습니다.
이후로 에어프랑스는 운항이 마비될 정도의 조종사 파업은 아직 일어나지 않았습니다.
⊙파리스(에어프랑스 노조정책국장): 한국과 상황이 다르지만 우리는 3개월간 협상기간을 둡니다.
⊙기자: 지금도 호수노조는 파업을 벌이고 있습니다.
그러나 20일부터 23일까지의 시한부 파업이며 운항차질률도 10% 선에 불과합니다.
프랑스에는 취항하는 민간항공사가 많아 노조 한 곳이 파업을 해도 승객을 분산수송하기가 용이하고 노조도 복수기 때문에 일제히 파업을 벌이기도 어렵습니다.
하지만 프랑스의 최대 조종사 노조는 3년기한의 노사협약을 통해 파업에 앞서 충분한 협상시간을 설정해 놓고 있습니다.
파리에서 KBS뉴스 김혜송입니다.
프랑스의 경우를 파리에서 김혜송 특파원이 취재했습니다.
⊙기자: 지난 98년 6월 월드컵 축구대회를 앞두고 에어프랑스의 노조는 파업에 돌입했습니다.
이로 인해 운항편수의 90%가 중단될 정도로 파장이 컸고, 노조는 월드컵 참가자와 관중들의 수송에는 협조하겠다고 양보하며 열흘만에 협상을 타결지었습니다.
이 파업 이후 프랑스의 최대 조종사 노조인 SNPL은 이견이 있을 경우 3개월간의 협의기간을 갖기로 협약을 맺었습니다.
이후로 에어프랑스는 운항이 마비될 정도의 조종사 파업은 아직 일어나지 않았습니다.
⊙파리스(에어프랑스 노조정책국장): 한국과 상황이 다르지만 우리는 3개월간 협상기간을 둡니다.
⊙기자: 지금도 호수노조는 파업을 벌이고 있습니다.
그러나 20일부터 23일까지의 시한부 파업이며 운항차질률도 10% 선에 불과합니다.
프랑스에는 취항하는 민간항공사가 많아 노조 한 곳이 파업을 해도 승객을 분산수송하기가 용이하고 노조도 복수기 때문에 일제히 파업을 벌이기도 어렵습니다.
하지만 프랑스의 최대 조종사 노조는 3년기한의 노사협약을 통해 파업에 앞서 충분한 협상시간을 설정해 놓고 있습니다.
파리에서 KBS뉴스 김혜송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외국항공사, 갑작스런 파업 없다
-
- 입력 2000-10-23 21:00:00
- 수정2018-08-29 15:00:00

⊙앵커: 외국 항공사도 파업을 벌이기는 하지만 타결을 위한 충분한 시간을 갖고 사측과 노조가 협상을 한다고 합니다.
프랑스의 경우를 파리에서 김혜송 특파원이 취재했습니다.
⊙기자: 지난 98년 6월 월드컵 축구대회를 앞두고 에어프랑스의 노조는 파업에 돌입했습니다.
이로 인해 운항편수의 90%가 중단될 정도로 파장이 컸고, 노조는 월드컵 참가자와 관중들의 수송에는 협조하겠다고 양보하며 열흘만에 협상을 타결지었습니다.
이 파업 이후 프랑스의 최대 조종사 노조인 SNPL은 이견이 있을 경우 3개월간의 협의기간을 갖기로 협약을 맺었습니다.
이후로 에어프랑스는 운항이 마비될 정도의 조종사 파업은 아직 일어나지 않았습니다.
⊙파리스(에어프랑스 노조정책국장): 한국과 상황이 다르지만 우리는 3개월간 협상기간을 둡니다.
⊙기자: 지금도 호수노조는 파업을 벌이고 있습니다.
그러나 20일부터 23일까지의 시한부 파업이며 운항차질률도 10% 선에 불과합니다.
프랑스에는 취항하는 민간항공사가 많아 노조 한 곳이 파업을 해도 승객을 분산수송하기가 용이하고 노조도 복수기 때문에 일제히 파업을 벌이기도 어렵습니다.
하지만 프랑스의 최대 조종사 노조는 3년기한의 노사협약을 통해 파업에 앞서 충분한 협상시간을 설정해 놓고 있습니다.
파리에서 KBS뉴스 김혜송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