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스포츠 ‘구름 관중’ 몰린다

입력 2007.05.26 (22:00) 수정 2007.05.26 (22:26)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사람들이 스포츠 경기장으로 몰리고 있습니다. 볼거리와 서비스가 향상되면서 프로스포츠에 대한 관심이 점점 뜨거워지고 있습니다.

권재민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관중들로 가득찬 야구장. 프로야구 SK의 이만수 코치가 경기도중 속옷 바람으로 그라운드에 나섰습니다.

만원 관중이 되면 팬티만 입고 뛰겠다는 야구팬들과의 약속을 지켰습니다.

<인터뷰>이만수(SK와이번스 코치): "좀 챙피하긴 했는데 팬들과 약속 지켜서 좋다"

현대 사태라는 악재에도 불구하고 올시즌 프로야구는 관중 증가세가 뚜렷합니다.

10년 만에 최단기간 100만 관중을 돌파한 프로야구는 지난 96년 이후 다시 400만명 시대를 열 것으로 기대되고 있습니다.

우선 최희섭과 봉중근 등 해외파 선수들의 복귀로 볼거리가 늘었습니다.

자고 나면 순위가 바뀔 정도로 진땀나는 승부는 팬들을 끌어들였습니다.

<인터뷰>서규철(야구팬): "롯데가 잘하고, 질적으로 좋아졌고 허슬 플레이가 많아졌다"

여기에 각 구단들은 구장 시설을 개선해, 가족단위 팬을 위한 노력을 기울였습니다.

특히 찾아가는 서비스는 팬들의 호응을 얻어가고 있습니다.

<인터뷰>김재박(LG트윈스 감독): "지하철에서 팬 사인회에 예상보다 많은 팬들이 왔다"

한 경기 5만 관중 시대를 연 프로축구도 관중몰이에서 한 단계 올라섰습니다.

공격 축구를 표방한 FC 서울의 귀네슈 돌풍과 치열한 라이벌전도 원인으로 빼놓을 수 없습니다.

<인터뷰>김우현(프로축구 팬): "전보다 골이 많이 나서 좋다"

프로 농구도 110만명을 넘어서 역대 최다 관중 기록을 깨고 겨울 스포츠 대명사의 명성을 유지했습니다.

프로배구는 지난해보다 관중이 43%가 늘어 최고의 전성기를 맞았습니다.

이같은 프로 스포츠의 흥행은 주 5일 근무제의 확산에 따른 것입니다.

1인당 만원 정도면 두 서너 시간을 충분히 즐길 수 있어 다른 레저나 문화상품 못지 않은 경쟁력을 갖췄다는 평갑니다.

<인터뷰>장경로(성균관대 스포츠과학부 교수): "가족단위로 여가를 즐기러 오는 사람들을 끌어들어야 한다."

지난 몇 년간 해외 빅리그 스포츠와 E-스포츠, 레저 오락등에 밀려났던 국내 스포츠.

최근의 관중몰이는 우리 스포츠도 잘 만하면 어느 분야 못지않게 팬들의 사랑을 받을 수 있다는 사실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KBS 뉴스 권재민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국내 스포츠 ‘구름 관중’ 몰린다
    • 입력 2007-05-26 21:16:34
    • 수정2007-05-26 22:26:18
    뉴스 9
<앵커 멘트> 사람들이 스포츠 경기장으로 몰리고 있습니다. 볼거리와 서비스가 향상되면서 프로스포츠에 대한 관심이 점점 뜨거워지고 있습니다. 권재민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관중들로 가득찬 야구장. 프로야구 SK의 이만수 코치가 경기도중 속옷 바람으로 그라운드에 나섰습니다. 만원 관중이 되면 팬티만 입고 뛰겠다는 야구팬들과의 약속을 지켰습니다. <인터뷰>이만수(SK와이번스 코치): "좀 챙피하긴 했는데 팬들과 약속 지켜서 좋다" 현대 사태라는 악재에도 불구하고 올시즌 프로야구는 관중 증가세가 뚜렷합니다. 10년 만에 최단기간 100만 관중을 돌파한 프로야구는 지난 96년 이후 다시 400만명 시대를 열 것으로 기대되고 있습니다. 우선 최희섭과 봉중근 등 해외파 선수들의 복귀로 볼거리가 늘었습니다. 자고 나면 순위가 바뀔 정도로 진땀나는 승부는 팬들을 끌어들였습니다. <인터뷰>서규철(야구팬): "롯데가 잘하고, 질적으로 좋아졌고 허슬 플레이가 많아졌다" 여기에 각 구단들은 구장 시설을 개선해, 가족단위 팬을 위한 노력을 기울였습니다. 특히 찾아가는 서비스는 팬들의 호응을 얻어가고 있습니다. <인터뷰>김재박(LG트윈스 감독): "지하철에서 팬 사인회에 예상보다 많은 팬들이 왔다" 한 경기 5만 관중 시대를 연 프로축구도 관중몰이에서 한 단계 올라섰습니다. 공격 축구를 표방한 FC 서울의 귀네슈 돌풍과 치열한 라이벌전도 원인으로 빼놓을 수 없습니다. <인터뷰>김우현(프로축구 팬): "전보다 골이 많이 나서 좋다" 프로 농구도 110만명을 넘어서 역대 최다 관중 기록을 깨고 겨울 스포츠 대명사의 명성을 유지했습니다. 프로배구는 지난해보다 관중이 43%가 늘어 최고의 전성기를 맞았습니다. 이같은 프로 스포츠의 흥행은 주 5일 근무제의 확산에 따른 것입니다. 1인당 만원 정도면 두 서너 시간을 충분히 즐길 수 있어 다른 레저나 문화상품 못지 않은 경쟁력을 갖췄다는 평갑니다. <인터뷰>장경로(성균관대 스포츠과학부 교수): "가족단위로 여가를 즐기러 오는 사람들을 끌어들어야 한다." 지난 몇 년간 해외 빅리그 스포츠와 E-스포츠, 레저 오락등에 밀려났던 국내 스포츠. 최근의 관중몰이는 우리 스포츠도 잘 만하면 어느 분야 못지않게 팬들의 사랑을 받을 수 있다는 사실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KBS 뉴스 권재민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