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와 사람] 연을 사랑하는 사람들

입력 2007.10.14 (22:12) 수정 2007.10.15 (08:20)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유유히 하늘을 가르며 날아가는 연. 어린시절 동무들과 연싸움하던 기억들도 있으실텐데요.

점점 잊혀져가는 전통연의 맥을 이어가는 사람들을 이윤희 기자가 만났습니다.

<리포트>

지상에서 하늘로 다리를 놓은 듯, 가을 바람을 안고 솟아오른 연의 행렬이 파란 창공을 가로지릅니다.

하늘하늘 연신 꼬리춤을 춥니다.

연날리기 전문가 이선우 교수, 전통연의 매력에 빠져 연줄을 잡은지 올해로 14년쨉니다.

<녹취> "준비됐지? 하나 둘 셋 ! 놔!"

이렇게 줄줄이 띄워올린 4백 개 연의 길이는 1km, 마치 용이 승천을 하는 듯한 장관을 연출합니다.

<인터뷰> 임지연: "저 끝을 보면 빨려 올려갈 것 같아요."

<인터뷰> 이선우(동의과학대 교수): "바람에 따라서 자유자재로 움직이는 저 하늘의 그림은 누구도 그릴 수 없습니다."

깜깜한 밤 하늘의 연은 반짝이는 별이 됩니다.

<인터뷰> 이선우(동의과학대 교수): "우리가 언제 하늘 한 번 보고 살겠어요. 낮에 바쁘니까 밤에라도 보시라고..."

노부부의 작은 공간이 전통 문양의 연들로 빽빽합니다.

국내 유일의 전통연 무형문화재인 노유상 옹, 연에 새겨넣는 문양과 얼레를 체계화한 그는 백 살이 넘은 지금도 하루 한 개 씩 연을 만듭니다.

<인터뷰> 노유상: "그림을 그릴줄 알아야해요 물감가지고 그림을 그리지않으면 연은 가치가 없어요."

할아버지의 연 사랑은 3대째 이어지고 있습니다.

손자 노 순 씨, 잊혀져가는 세시 풍속을 이 30대 청년이 가업으로 잇고 있습니다.

우리 연의 우수성을 해외에 알리는 첨병을 자임합니다.

<녹취> 노순(노유상 옹 손자): "바람에 약해요 그래서 머리 가슴 좀더 정교하게 연을 만들었어요."

연날리기의 백미인 연 싸움이 도심 한복판에서 펼쳐집니다.

자신들이 직접 만든 연으로 유쾌한 싸움을 즐기는 연날리기 동호회원들입니다.

<인터뷰> 성진모(연날리기보존회장): "날릴 장소가 마땅치 않고 젊은이들 관심이 없어서 맥이 끊기지 않을까 그게 걱정입니다."

빛바랜 추억 속으로 멀어져가는 연, 그 가느다란 맥을 이어가는 이들에겐 여전히 살아있는 전통의 숨결입니다.

KBS 뉴스 이윤희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문화와 사람] 연을 사랑하는 사람들
    • 입력 2007-10-14 21:23:09
    • 수정2007-10-15 08:20:31
    뉴스 9
<앵커 멘트> 유유히 하늘을 가르며 날아가는 연. 어린시절 동무들과 연싸움하던 기억들도 있으실텐데요. 점점 잊혀져가는 전통연의 맥을 이어가는 사람들을 이윤희 기자가 만났습니다. <리포트> 지상에서 하늘로 다리를 놓은 듯, 가을 바람을 안고 솟아오른 연의 행렬이 파란 창공을 가로지릅니다. 하늘하늘 연신 꼬리춤을 춥니다. 연날리기 전문가 이선우 교수, 전통연의 매력에 빠져 연줄을 잡은지 올해로 14년쨉니다. <녹취> "준비됐지? 하나 둘 셋 ! 놔!" 이렇게 줄줄이 띄워올린 4백 개 연의 길이는 1km, 마치 용이 승천을 하는 듯한 장관을 연출합니다. <인터뷰> 임지연: "저 끝을 보면 빨려 올려갈 것 같아요." <인터뷰> 이선우(동의과학대 교수): "바람에 따라서 자유자재로 움직이는 저 하늘의 그림은 누구도 그릴 수 없습니다." 깜깜한 밤 하늘의 연은 반짝이는 별이 됩니다. <인터뷰> 이선우(동의과학대 교수): "우리가 언제 하늘 한 번 보고 살겠어요. 낮에 바쁘니까 밤에라도 보시라고..." 노부부의 작은 공간이 전통 문양의 연들로 빽빽합니다. 국내 유일의 전통연 무형문화재인 노유상 옹, 연에 새겨넣는 문양과 얼레를 체계화한 그는 백 살이 넘은 지금도 하루 한 개 씩 연을 만듭니다. <인터뷰> 노유상: "그림을 그릴줄 알아야해요 물감가지고 그림을 그리지않으면 연은 가치가 없어요." 할아버지의 연 사랑은 3대째 이어지고 있습니다. 손자 노 순 씨, 잊혀져가는 세시 풍속을 이 30대 청년이 가업으로 잇고 있습니다. 우리 연의 우수성을 해외에 알리는 첨병을 자임합니다. <녹취> 노순(노유상 옹 손자): "바람에 약해요 그래서 머리 가슴 좀더 정교하게 연을 만들었어요." 연날리기의 백미인 연 싸움이 도심 한복판에서 펼쳐집니다. 자신들이 직접 만든 연으로 유쾌한 싸움을 즐기는 연날리기 동호회원들입니다. <인터뷰> 성진모(연날리기보존회장): "날릴 장소가 마땅치 않고 젊은이들 관심이 없어서 맥이 끊기지 않을까 그게 걱정입니다." 빛바랜 추억 속으로 멀어져가는 연, 그 가느다란 맥을 이어가는 이들에겐 여전히 살아있는 전통의 숨결입니다. KBS 뉴스 이윤희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