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멘트>
1980년 신군부의 언론통제 또 당시 불교계를 발칵 뒤집어놓았던 이른바 10.27법난사건.
그 진상이 무엇인지, 국방부 과거사 진상규명 위원회의 조사 결과가 발표됐습니다.
강민수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지난 1980년 신군부가 언론인을 강제 해직하는 과정에서 작성된 것으로 보이는 언론정화자 명단입니다.
모두 982명 언론인의 소속과 이름 뒤에 반정부, 혹은 부조리라고 분류한 뒤 A,B,C,D 네 등급으로 분류했습니다.
국방부 과거사 진상규명 위원회는 이런 식으로 분류돼 해직된 언론인에게 신군부가 취업 제한 조치까지 내린 것을 문서로 확인했습니다.
<인터뷰> 고승우(80년 해직언론인협의회 대표) : "저도 해직당하고 교총에 취업했는데 신원조회한 뒤 집에 가라고..나는 미혼이었는데 결혼한 사람들 이혼하고..."
위원회는 또 중앙일보 관계자들이 가혹행위를 당했던 이른바 한수산 필화 사건은 당시 중앙일보 연재 소설에 전두환 대통령과 군을 묘사한 내용때문이었다고 확인했습니다.
불교계의 정화를 명분으로 조계종 스님과 불교 관련인사 153명을 강제 연행하고 사찰 5천여 곳을 수색했던 이른바 10.27 법난 사건도 규명됐습니다.
당시 조계종 월주 총무원장이 신군부에 비우호적이었던 것이 가장 큰 이유였다고 위원회는 밝혔습니다.
위원회는 또 당시 전두환 대통령이 사전에 보고받았을 가능성을 보여주는 문서도 확인했다고 덧붙였습니다.
<녹취> 이해동(국방부 과거사위 위원장) : "군이 개입한 정도를 명백히 규명하고 앞으로 이런 일이 다시 없게 하려는 것."
과거사 위원회는 그러나 이상재 전 보안사 언론반장 등 핵심 참고인에 대한 조사에 실패했다며 미진한 부분은 진실과 화해를 위한 과거사진실위원회를 통해 밝혀야 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KBS 뉴스 강민수입니다.
1980년 신군부의 언론통제 또 당시 불교계를 발칵 뒤집어놓았던 이른바 10.27법난사건.
그 진상이 무엇인지, 국방부 과거사 진상규명 위원회의 조사 결과가 발표됐습니다.
강민수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지난 1980년 신군부가 언론인을 강제 해직하는 과정에서 작성된 것으로 보이는 언론정화자 명단입니다.
모두 982명 언론인의 소속과 이름 뒤에 반정부, 혹은 부조리라고 분류한 뒤 A,B,C,D 네 등급으로 분류했습니다.
국방부 과거사 진상규명 위원회는 이런 식으로 분류돼 해직된 언론인에게 신군부가 취업 제한 조치까지 내린 것을 문서로 확인했습니다.
<인터뷰> 고승우(80년 해직언론인협의회 대표) : "저도 해직당하고 교총에 취업했는데 신원조회한 뒤 집에 가라고..나는 미혼이었는데 결혼한 사람들 이혼하고..."
위원회는 또 중앙일보 관계자들이 가혹행위를 당했던 이른바 한수산 필화 사건은 당시 중앙일보 연재 소설에 전두환 대통령과 군을 묘사한 내용때문이었다고 확인했습니다.
불교계의 정화를 명분으로 조계종 스님과 불교 관련인사 153명을 강제 연행하고 사찰 5천여 곳을 수색했던 이른바 10.27 법난 사건도 규명됐습니다.
당시 조계종 월주 총무원장이 신군부에 비우호적이었던 것이 가장 큰 이유였다고 위원회는 밝혔습니다.
위원회는 또 당시 전두환 대통령이 사전에 보고받았을 가능성을 보여주는 문서도 확인했다고 덧붙였습니다.
<녹취> 이해동(국방부 과거사위 위원장) : "군이 개입한 정도를 명백히 규명하고 앞으로 이런 일이 다시 없게 하려는 것."
과거사 위원회는 그러나 이상재 전 보안사 언론반장 등 핵심 참고인에 대한 조사에 실패했다며 미진한 부분은 진실과 화해를 위한 과거사진실위원회를 통해 밝혀야 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KBS 뉴스 강민수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신군부의 법난, 언론 통제 진상은?
-
- 입력 2007-10-25 21:05:50

<앵커 멘트>
1980년 신군부의 언론통제 또 당시 불교계를 발칵 뒤집어놓았던 이른바 10.27법난사건.
그 진상이 무엇인지, 국방부 과거사 진상규명 위원회의 조사 결과가 발표됐습니다.
강민수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지난 1980년 신군부가 언론인을 강제 해직하는 과정에서 작성된 것으로 보이는 언론정화자 명단입니다.
모두 982명 언론인의 소속과 이름 뒤에 반정부, 혹은 부조리라고 분류한 뒤 A,B,C,D 네 등급으로 분류했습니다.
국방부 과거사 진상규명 위원회는 이런 식으로 분류돼 해직된 언론인에게 신군부가 취업 제한 조치까지 내린 것을 문서로 확인했습니다.
<인터뷰> 고승우(80년 해직언론인협의회 대표) : "저도 해직당하고 교총에 취업했는데 신원조회한 뒤 집에 가라고..나는 미혼이었는데 결혼한 사람들 이혼하고..."
위원회는 또 중앙일보 관계자들이 가혹행위를 당했던 이른바 한수산 필화 사건은 당시 중앙일보 연재 소설에 전두환 대통령과 군을 묘사한 내용때문이었다고 확인했습니다.
불교계의 정화를 명분으로 조계종 스님과 불교 관련인사 153명을 강제 연행하고 사찰 5천여 곳을 수색했던 이른바 10.27 법난 사건도 규명됐습니다.
당시 조계종 월주 총무원장이 신군부에 비우호적이었던 것이 가장 큰 이유였다고 위원회는 밝혔습니다.
위원회는 또 당시 전두환 대통령이 사전에 보고받았을 가능성을 보여주는 문서도 확인했다고 덧붙였습니다.
<녹취> 이해동(국방부 과거사위 위원장) : "군이 개입한 정도를 명백히 규명하고 앞으로 이런 일이 다시 없게 하려는 것."
과거사 위원회는 그러나 이상재 전 보안사 언론반장 등 핵심 참고인에 대한 조사에 실패했다며 미진한 부분은 진실과 화해를 위한 과거사진실위원회를 통해 밝혀야 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KBS 뉴스 강민수입니다.
-
-
강민수 기자 mandoo@kbs.co.kr
강민수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