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 금강산 관광 사업 중대 위기
입력 2000.12.26 (21:00)
수정 2018.08.29 (15:00)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다음 소식입니다.
남북관계의 물꼬를 텄던 현대 금강산 관광 사업이 난관에 부딪쳤습니다.
한마디로 사업이 계속 적자를 면치 못하기 때문입니다.
보도에 박찬욱 기자입니다.
⊙기자: 현대의 금강산 관광사업이 암초에 부딪쳤습니다.
당초 예상과는 달리 돈만 먹는 하마로 변했습니다.
관광객이 최소한 해에 50만명은 넘어야 하는데 실제로는 18만명 정도에 불과합니다.
이 때문에 2년도 안 돼 지출 4500억원에 수입 2000억원으로 2500억원의 적자를 기록하고 있습니다.
⊙현대 직원: 북한은 마음대로 들어가서 필요한 시설을 늘리거나 돈 되는 사업을 임의대로 하기가 쉽지 않은 곳이죠.
⊙기자: 하지만 현대로서는 지금 사업을 그만두고 싶어도 그만둘 수 없는 형편입니다.
북한과의 계약에 따라 사업을 중단하더라도 오는 2005년까지 8000억원을 추가로 지불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이에 따라 정몽헌 회장은 조만간 금강산을 방문해 북한측과 사업비용을 삭감하는 문제를 협상할 계획입니다.
⊙강명헌(단국대 경제학과 교수): 현대가 계약조건을 수익선 차원에서 북한과 적극적으로 재조정할 필요가 있고 이 과정에서 정부 또한 조정자 역할을 충분히 해야 된다고 생각합니다.
⊙기자: 하지만 북한측이 현대측의 요구를 거부한다면 현대로서는 금강산 뿐만 아니라 대북 사업에 대한 전면적인 재검토가 불가피할 것으로 보입니다.
KBS뉴스 박찬욱입니다.
남북관계의 물꼬를 텄던 현대 금강산 관광 사업이 난관에 부딪쳤습니다.
한마디로 사업이 계속 적자를 면치 못하기 때문입니다.
보도에 박찬욱 기자입니다.
⊙기자: 현대의 금강산 관광사업이 암초에 부딪쳤습니다.
당초 예상과는 달리 돈만 먹는 하마로 변했습니다.
관광객이 최소한 해에 50만명은 넘어야 하는데 실제로는 18만명 정도에 불과합니다.
이 때문에 2년도 안 돼 지출 4500억원에 수입 2000억원으로 2500억원의 적자를 기록하고 있습니다.
⊙현대 직원: 북한은 마음대로 들어가서 필요한 시설을 늘리거나 돈 되는 사업을 임의대로 하기가 쉽지 않은 곳이죠.
⊙기자: 하지만 현대로서는 지금 사업을 그만두고 싶어도 그만둘 수 없는 형편입니다.
북한과의 계약에 따라 사업을 중단하더라도 오는 2005년까지 8000억원을 추가로 지불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이에 따라 정몽헌 회장은 조만간 금강산을 방문해 북한측과 사업비용을 삭감하는 문제를 협상할 계획입니다.
⊙강명헌(단국대 경제학과 교수): 현대가 계약조건을 수익선 차원에서 북한과 적극적으로 재조정할 필요가 있고 이 과정에서 정부 또한 조정자 역할을 충분히 해야 된다고 생각합니다.
⊙기자: 하지만 북한측이 현대측의 요구를 거부한다면 현대로서는 금강산 뿐만 아니라 대북 사업에 대한 전면적인 재검토가 불가피할 것으로 보입니다.
KBS뉴스 박찬욱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현대 금강산 관광 사업 중대 위기
-
- 입력 2000-12-26 21:00:00
- 수정2018-08-29 15:00:00

⊙앵커: 다음 소식입니다.
남북관계의 물꼬를 텄던 현대 금강산 관광 사업이 난관에 부딪쳤습니다.
한마디로 사업이 계속 적자를 면치 못하기 때문입니다.
보도에 박찬욱 기자입니다.
⊙기자: 현대의 금강산 관광사업이 암초에 부딪쳤습니다.
당초 예상과는 달리 돈만 먹는 하마로 변했습니다.
관광객이 최소한 해에 50만명은 넘어야 하는데 실제로는 18만명 정도에 불과합니다.
이 때문에 2년도 안 돼 지출 4500억원에 수입 2000억원으로 2500억원의 적자를 기록하고 있습니다.
⊙현대 직원: 북한은 마음대로 들어가서 필요한 시설을 늘리거나 돈 되는 사업을 임의대로 하기가 쉽지 않은 곳이죠.
⊙기자: 하지만 현대로서는 지금 사업을 그만두고 싶어도 그만둘 수 없는 형편입니다.
북한과의 계약에 따라 사업을 중단하더라도 오는 2005년까지 8000억원을 추가로 지불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이에 따라 정몽헌 회장은 조만간 금강산을 방문해 북한측과 사업비용을 삭감하는 문제를 협상할 계획입니다.
⊙강명헌(단국대 경제학과 교수): 현대가 계약조건을 수익선 차원에서 북한과 적극적으로 재조정할 필요가 있고 이 과정에서 정부 또한 조정자 역할을 충분히 해야 된다고 생각합니다.
⊙기자: 하지만 북한측이 현대측의 요구를 거부한다면 현대로서는 금강산 뿐만 아니라 대북 사업에 대한 전면적인 재검토가 불가피할 것으로 보입니다.
KBS뉴스 박찬욱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