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멘트>
현대차 그룹이 계열사 글로비스를 통해 중고차 경매시장에 진출하자 기존 중고차 업체가 반발하고 있습니다.
결국은 어느쪽이 더 소비자에게 이익이 될 것인가가 중요할 것입니다.
이호을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현대차그룹 계열사인 글로비스가 두번째로 문을 연 중고차 경매장.
국내 최대인 3만㎡ 규모에 하루에 중고차 8백여 대가 경매됩니다.
중고차 매도자는 희망가보다 평균 6% 높은 값에 팔 수 있고 매매상은 적은 비용으로 차량을 공급받아, 모두가 이익이란게 글로비스측 설명입니다.
<인터뷰> 김종진(글로비스 이사) : "(중고차 매매상이)저희들을 통하면 공정한 수수료만 지불하면 자기가 원하는 차를 구매해 고객에게 매매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글로비스가 경매에 부치는 중고차의 60%는 현대와 기아차의 영업망을 통해 새 차 구입자들로부터 넘겨받은 것입니다.
현대차와 기아차의 국내 신차 시장 점유율은 76%.
현대차그룹이 신차 시장의 지배력을 이용해 중고차 시장까지 잠식하려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나오는 이윱니다.
SK엔카와 대우자동차판매 등 대기업의 잇단 중고차 시장 진출로 타격을 입은 중소 매매업체들은 반발합니다.
<인터뷰>김민원(서울자동차매매조합 과장) : "전국 영업망 가진 신조차 업체가 경매장 만들면 기존 매매업자들은 중고차 공급루트를 잃어버리게 되고 안 그래도 경기도 안 좋은데 대기업과 경쟁을 해야 되니까..."
개인이나 영세업체가 주도하던 중고차 시장에까지 뛰어든 대기업들.
소비자 편익 제고를 내걸고 있지만 대기업의 우월적 지위를 무차별적으로 확장한다는 비판을 사고 있습니다.
KBS 뉴스 이호을입니다.
현대차 그룹이 계열사 글로비스를 통해 중고차 경매시장에 진출하자 기존 중고차 업체가 반발하고 있습니다.
결국은 어느쪽이 더 소비자에게 이익이 될 것인가가 중요할 것입니다.
이호을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현대차그룹 계열사인 글로비스가 두번째로 문을 연 중고차 경매장.
국내 최대인 3만㎡ 규모에 하루에 중고차 8백여 대가 경매됩니다.
중고차 매도자는 희망가보다 평균 6% 높은 값에 팔 수 있고 매매상은 적은 비용으로 차량을 공급받아, 모두가 이익이란게 글로비스측 설명입니다.
<인터뷰> 김종진(글로비스 이사) : "(중고차 매매상이)저희들을 통하면 공정한 수수료만 지불하면 자기가 원하는 차를 구매해 고객에게 매매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글로비스가 경매에 부치는 중고차의 60%는 현대와 기아차의 영업망을 통해 새 차 구입자들로부터 넘겨받은 것입니다.
현대차와 기아차의 국내 신차 시장 점유율은 76%.
현대차그룹이 신차 시장의 지배력을 이용해 중고차 시장까지 잠식하려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나오는 이윱니다.
SK엔카와 대우자동차판매 등 대기업의 잇단 중고차 시장 진출로 타격을 입은 중소 매매업체들은 반발합니다.
<인터뷰>김민원(서울자동차매매조합 과장) : "전국 영업망 가진 신조차 업체가 경매장 만들면 기존 매매업자들은 중고차 공급루트를 잃어버리게 되고 안 그래도 경기도 안 좋은데 대기업과 경쟁을 해야 되니까..."
개인이나 영세업체가 주도하던 중고차 시장에까지 뛰어든 대기업들.
소비자 편익 제고를 내걸고 있지만 대기업의 우월적 지위를 무차별적으로 확장한다는 비판을 사고 있습니다.
KBS 뉴스 이호을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대기업, 중고차 경매시장도 잠식…중소업체 반발
-
- 입력 2008-09-02 21:08:29

<앵커 멘트>
현대차 그룹이 계열사 글로비스를 통해 중고차 경매시장에 진출하자 기존 중고차 업체가 반발하고 있습니다.
결국은 어느쪽이 더 소비자에게 이익이 될 것인가가 중요할 것입니다.
이호을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현대차그룹 계열사인 글로비스가 두번째로 문을 연 중고차 경매장.
국내 최대인 3만㎡ 규모에 하루에 중고차 8백여 대가 경매됩니다.
중고차 매도자는 희망가보다 평균 6% 높은 값에 팔 수 있고 매매상은 적은 비용으로 차량을 공급받아, 모두가 이익이란게 글로비스측 설명입니다.
<인터뷰> 김종진(글로비스 이사) : "(중고차 매매상이)저희들을 통하면 공정한 수수료만 지불하면 자기가 원하는 차를 구매해 고객에게 매매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글로비스가 경매에 부치는 중고차의 60%는 현대와 기아차의 영업망을 통해 새 차 구입자들로부터 넘겨받은 것입니다.
현대차와 기아차의 국내 신차 시장 점유율은 76%.
현대차그룹이 신차 시장의 지배력을 이용해 중고차 시장까지 잠식하려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나오는 이윱니다.
SK엔카와 대우자동차판매 등 대기업의 잇단 중고차 시장 진출로 타격을 입은 중소 매매업체들은 반발합니다.
<인터뷰>김민원(서울자동차매매조합 과장) : "전국 영업망 가진 신조차 업체가 경매장 만들면 기존 매매업자들은 중고차 공급루트를 잃어버리게 되고 안 그래도 경기도 안 좋은데 대기업과 경쟁을 해야 되니까..."
개인이나 영세업체가 주도하던 중고차 시장에까지 뛰어든 대기업들.
소비자 편익 제고를 내걸고 있지만 대기업의 우월적 지위를 무차별적으로 확장한다는 비판을 사고 있습니다.
KBS 뉴스 이호을입니다.
-
-
이호을 기자 helee@kbs.co.kr
이호을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