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멘트>
현대자동차 노사가 심야근무 폐지를 골자로 한 잠정 합의안을 이끌어냈습니다.
임금과 생산성, 또 근로환경에 어떤 변화가 올 지 황현규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현대자동차 노사가 잠정 합의한 임금 협상안 가운데 진통을 겪었던 주간연속 2교대제의 핵심은 심야 근무를 없애는 겁니다.
이 제도가 도입되면 하루 10시간씩 주,야간 맞교대 근무가 오전조 8시간, 오후조 9시간 근무로 바뀌면서 생산라인도 새벽 1시부터 멈추게 됩니다.
노조 측은 조합원들의 건강권을 지키면서 기존의 임금 수준도 유지하는 방안을 선택했다고 밝혔습니다.
<인터뷰>장규호(현대차지부 공보부장) : "조합원들의 심야 근무 철폐를 위해 최선을 다한 결과..."
회사측도 기존의 생산 시설과 인원으로 생산성을 끌어올릴 수 있는 최선의 근무형태라는 입장입니다.
<인터뷰>노진석(현대차 홍보이사) : "노사가 선진국형 근무형태의 기틀을 마련한 것..."
하지만 연간 160만 대의 차량을 생산하는 현대차가 하루 3시간의 근무 축소로 발생하는 17만 여대의 부족분을 만회하기는 만만치 않습니다.
제도가 도입되는 내년 9월까지 생산 물량과 인원을 조정할 계획이지만 공장별로 입장이 엇갈리는데다 노동 강도가 강화될 것을 우려하는 노조 내부의 반발도 예상됩니다.
수 십 년간 이어져 온 노동환경을 변화시킬 수 있는 기틀은 마련했지만 제도가 정착되기까지는 상당한 진통이 불가피해 보입니다.
KBS 뉴스 황현규입니다.
현대자동차 노사가 심야근무 폐지를 골자로 한 잠정 합의안을 이끌어냈습니다.
임금과 생산성, 또 근로환경에 어떤 변화가 올 지 황현규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현대자동차 노사가 잠정 합의한 임금 협상안 가운데 진통을 겪었던 주간연속 2교대제의 핵심은 심야 근무를 없애는 겁니다.
이 제도가 도입되면 하루 10시간씩 주,야간 맞교대 근무가 오전조 8시간, 오후조 9시간 근무로 바뀌면서 생산라인도 새벽 1시부터 멈추게 됩니다.
노조 측은 조합원들의 건강권을 지키면서 기존의 임금 수준도 유지하는 방안을 선택했다고 밝혔습니다.
<인터뷰>장규호(현대차지부 공보부장) : "조합원들의 심야 근무 철폐를 위해 최선을 다한 결과..."
회사측도 기존의 생산 시설과 인원으로 생산성을 끌어올릴 수 있는 최선의 근무형태라는 입장입니다.
<인터뷰>노진석(현대차 홍보이사) : "노사가 선진국형 근무형태의 기틀을 마련한 것..."
하지만 연간 160만 대의 차량을 생산하는 현대차가 하루 3시간의 근무 축소로 발생하는 17만 여대의 부족분을 만회하기는 만만치 않습니다.
제도가 도입되는 내년 9월까지 생산 물량과 인원을 조정할 계획이지만 공장별로 입장이 엇갈리는데다 노동 강도가 강화될 것을 우려하는 노조 내부의 반발도 예상됩니다.
수 십 년간 이어져 온 노동환경을 변화시킬 수 있는 기틀은 마련했지만 제도가 정착되기까지는 상당한 진통이 불가피해 보입니다.
KBS 뉴스 황현규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현대차 노사, 41년만 ‘심야 근무 폐지’ 합의
-
- 입력 2008-09-03 21:12:20

<앵커 멘트>
현대자동차 노사가 심야근무 폐지를 골자로 한 잠정 합의안을 이끌어냈습니다.
임금과 생산성, 또 근로환경에 어떤 변화가 올 지 황현규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현대자동차 노사가 잠정 합의한 임금 협상안 가운데 진통을 겪었던 주간연속 2교대제의 핵심은 심야 근무를 없애는 겁니다.
이 제도가 도입되면 하루 10시간씩 주,야간 맞교대 근무가 오전조 8시간, 오후조 9시간 근무로 바뀌면서 생산라인도 새벽 1시부터 멈추게 됩니다.
노조 측은 조합원들의 건강권을 지키면서 기존의 임금 수준도 유지하는 방안을 선택했다고 밝혔습니다.
<인터뷰>장규호(현대차지부 공보부장) : "조합원들의 심야 근무 철폐를 위해 최선을 다한 결과..."
회사측도 기존의 생산 시설과 인원으로 생산성을 끌어올릴 수 있는 최선의 근무형태라는 입장입니다.
<인터뷰>노진석(현대차 홍보이사) : "노사가 선진국형 근무형태의 기틀을 마련한 것..."
하지만 연간 160만 대의 차량을 생산하는 현대차가 하루 3시간의 근무 축소로 발생하는 17만 여대의 부족분을 만회하기는 만만치 않습니다.
제도가 도입되는 내년 9월까지 생산 물량과 인원을 조정할 계획이지만 공장별로 입장이 엇갈리는데다 노동 강도가 강화될 것을 우려하는 노조 내부의 반발도 예상됩니다.
수 십 년간 이어져 온 노동환경을 변화시킬 수 있는 기틀은 마련했지만 제도가 정착되기까지는 상당한 진통이 불가피해 보입니다.
KBS 뉴스 황현규입니다.
-
-
황현규 기자 true@kbs.co.kr
황현규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