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안화 상승으로 중국 교민사회 ‘직격탄’
입력 2008.09.09 (22:02)
수정 2008.09.09 (22:20)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최근 원화가치 하락과 중국 위안화가치 상승으로 중국 교민 사회가 직격탄을 맞고 있습니다.
휴학을 하거나 귀국을 하는 유학생도 늘고 있습니다.
베이징 정인성 특파원이 보도합니다.
<리포트>
며칠 전 일년 치 등록금을 낸 이 유학생은 1위안에 170원까지 치솟은 환율때문에 백만원을 더 송금받아야 했습니다
<녹취>홍은기(중국 인민대 박사과정) : "작년에는 380만원이었지만 올해는 480만원으로, 백만원이 더 늘었어요"
그러다 보니 등록을 포기하고 휴학을 하거나 아예 귀국을 하는 유학생이 늘고 있습니다.
일년 전 한국에서 100만원을 송금받으면 7천5백 위안 정도를 받을 수 있었지만 지금은 6천 위안에 불과합니다.
중국의 물가상승까지 감안하면 실질 원화 가치는 30% 이상 떨어졌다는 분석입니다.
이러다보니 중국내 한인 무역업자와 자영업자,투자가들은 고스란히 30% 이상 손해를 감수해야 하는 직격탄을 맞고 있습니다.
당장 교민들이 지갑을 굳게 닫으면서 한인업소들의 매출도 크게 줄었습니다.
<녹취>이강용(식당 총지배인) : "손님수도 많이 줄었고 오신 손님들도 과거에 비해 지출을 줄이고 있어요"
지금 교민 사회에선 1위안에 200원까지 치솟았던 10년 전 외환위기 때처럼 교민들이 대거 철수하는 사태가 재연되지 않을까 우려하고 있습니다.
베이징에서 KBS 뉴스 정인성입니다.
최근 원화가치 하락과 중국 위안화가치 상승으로 중국 교민 사회가 직격탄을 맞고 있습니다.
휴학을 하거나 귀국을 하는 유학생도 늘고 있습니다.
베이징 정인성 특파원이 보도합니다.
<리포트>
며칠 전 일년 치 등록금을 낸 이 유학생은 1위안에 170원까지 치솟은 환율때문에 백만원을 더 송금받아야 했습니다
<녹취>홍은기(중국 인민대 박사과정) : "작년에는 380만원이었지만 올해는 480만원으로, 백만원이 더 늘었어요"
그러다 보니 등록을 포기하고 휴학을 하거나 아예 귀국을 하는 유학생이 늘고 있습니다.
일년 전 한국에서 100만원을 송금받으면 7천5백 위안 정도를 받을 수 있었지만 지금은 6천 위안에 불과합니다.
중국의 물가상승까지 감안하면 실질 원화 가치는 30% 이상 떨어졌다는 분석입니다.
이러다보니 중국내 한인 무역업자와 자영업자,투자가들은 고스란히 30% 이상 손해를 감수해야 하는 직격탄을 맞고 있습니다.
당장 교민들이 지갑을 굳게 닫으면서 한인업소들의 매출도 크게 줄었습니다.
<녹취>이강용(식당 총지배인) : "손님수도 많이 줄었고 오신 손님들도 과거에 비해 지출을 줄이고 있어요"
지금 교민 사회에선 1위안에 200원까지 치솟았던 10년 전 외환위기 때처럼 교민들이 대거 철수하는 사태가 재연되지 않을까 우려하고 있습니다.
베이징에서 KBS 뉴스 정인성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위안화 상승으로 중국 교민사회 ‘직격탄’
-
- 입력 2008-09-09 21:26:07
- 수정2008-09-09 22:20:46

<앵커 멘트>
최근 원화가치 하락과 중국 위안화가치 상승으로 중국 교민 사회가 직격탄을 맞고 있습니다.
휴학을 하거나 귀국을 하는 유학생도 늘고 있습니다.
베이징 정인성 특파원이 보도합니다.
<리포트>
며칠 전 일년 치 등록금을 낸 이 유학생은 1위안에 170원까지 치솟은 환율때문에 백만원을 더 송금받아야 했습니다
<녹취>홍은기(중국 인민대 박사과정) : "작년에는 380만원이었지만 올해는 480만원으로, 백만원이 더 늘었어요"
그러다 보니 등록을 포기하고 휴학을 하거나 아예 귀국을 하는 유학생이 늘고 있습니다.
일년 전 한국에서 100만원을 송금받으면 7천5백 위안 정도를 받을 수 있었지만 지금은 6천 위안에 불과합니다.
중국의 물가상승까지 감안하면 실질 원화 가치는 30% 이상 떨어졌다는 분석입니다.
이러다보니 중국내 한인 무역업자와 자영업자,투자가들은 고스란히 30% 이상 손해를 감수해야 하는 직격탄을 맞고 있습니다.
당장 교민들이 지갑을 굳게 닫으면서 한인업소들의 매출도 크게 줄었습니다.
<녹취>이강용(식당 총지배인) : "손님수도 많이 줄었고 오신 손님들도 과거에 비해 지출을 줄이고 있어요"
지금 교민 사회에선 1위안에 200원까지 치솟았던 10년 전 외환위기 때처럼 교민들이 대거 철수하는 사태가 재연되지 않을까 우려하고 있습니다.
베이징에서 KBS 뉴스 정인성입니다.
-
-
정인성 기자 chungis@kbs.co.kr
정인성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