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동 여당, 민국당과 정책연합 추진
입력 2001.02.22 (21:00)
수정 2018.08.29 (15:00)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민주당과 자민련 두 공동여당과 민국당이 원내 과반수 확보를 위해 정책연합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3당의 정책연합이 이루어질 경우 어떠한 변화가 있을지 이춘호 기자가 전망했습니다.
⊙기자: 원내 두 석의 민국당 김윤환 대표는 최근 여권 고위 관계자와 잇따라 만나 정책연합에 의한 연립정부를 제의했다고 공개했습니다.
김 대표는 도와줄 것을 요청하는 여권에 민국당의 입각 등 공식적인 협정이 필요하다는 뜻을 전했다고 밝혔습니다.
⊙김윤환(민국당 대표): 소수 정권에서 소수끼리 과반을 이루는 것은 정치의 기초입니다.
⊙기자: 민주당과 자민련은 원활한 국정운영을 위해서는 원내 과반의석이 필요하다며 환영의 뜻을 나타냈습니다.
⊙김영환(민주당 대변인): 개혁의 완수와 경제 회생을 위한 정책 연합이 필요하다는 점을 자민련과 민국당과 함께 공감하고 있습니다.
⊙기자: 한나라당은 정계개편 가능성을 극도로 경계하면서도 3당이 이미 정책공조를 해 왔다며 평가 절하했습니다.
⊙장광근(한나라당 수석 부대변인): DJP 기형적 동거체제, 민국당이라는 혹 하나 더 붙는 것이 과연 무슨 의미가 있겠습니까?
⊙기자: 공동여당과 민국당이 정책 연합이 될 경우 원내 과반수인 137석이 되고 여권의 정국 주도권은 한층 탄탄해집니다.
민주당과 자민련에 이어 민국당까지 3당 정책 연합이 성사된다면 내년 대선을 앞둔 여야 정치권에 지각변동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아보입니다.
KBS뉴스 이춘호입니다.
3당의 정책연합이 이루어질 경우 어떠한 변화가 있을지 이춘호 기자가 전망했습니다.
⊙기자: 원내 두 석의 민국당 김윤환 대표는 최근 여권 고위 관계자와 잇따라 만나 정책연합에 의한 연립정부를 제의했다고 공개했습니다.
김 대표는 도와줄 것을 요청하는 여권에 민국당의 입각 등 공식적인 협정이 필요하다는 뜻을 전했다고 밝혔습니다.
⊙김윤환(민국당 대표): 소수 정권에서 소수끼리 과반을 이루는 것은 정치의 기초입니다.
⊙기자: 민주당과 자민련은 원활한 국정운영을 위해서는 원내 과반의석이 필요하다며 환영의 뜻을 나타냈습니다.
⊙김영환(민주당 대변인): 개혁의 완수와 경제 회생을 위한 정책 연합이 필요하다는 점을 자민련과 민국당과 함께 공감하고 있습니다.
⊙기자: 한나라당은 정계개편 가능성을 극도로 경계하면서도 3당이 이미 정책공조를 해 왔다며 평가 절하했습니다.
⊙장광근(한나라당 수석 부대변인): DJP 기형적 동거체제, 민국당이라는 혹 하나 더 붙는 것이 과연 무슨 의미가 있겠습니까?
⊙기자: 공동여당과 민국당이 정책 연합이 될 경우 원내 과반수인 137석이 되고 여권의 정국 주도권은 한층 탄탄해집니다.
민주당과 자민련에 이어 민국당까지 3당 정책 연합이 성사된다면 내년 대선을 앞둔 여야 정치권에 지각변동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아보입니다.
KBS뉴스 이춘호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공동 여당, 민국당과 정책연합 추진
-
- 입력 2001-02-22 21:00:00
- 수정2018-08-29 15:00:00

⊙앵커: 민주당과 자민련 두 공동여당과 민국당이 원내 과반수 확보를 위해 정책연합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3당의 정책연합이 이루어질 경우 어떠한 변화가 있을지 이춘호 기자가 전망했습니다.
⊙기자: 원내 두 석의 민국당 김윤환 대표는 최근 여권 고위 관계자와 잇따라 만나 정책연합에 의한 연립정부를 제의했다고 공개했습니다.
김 대표는 도와줄 것을 요청하는 여권에 민국당의 입각 등 공식적인 협정이 필요하다는 뜻을 전했다고 밝혔습니다.
⊙김윤환(민국당 대표): 소수 정권에서 소수끼리 과반을 이루는 것은 정치의 기초입니다.
⊙기자: 민주당과 자민련은 원활한 국정운영을 위해서는 원내 과반의석이 필요하다며 환영의 뜻을 나타냈습니다.
⊙김영환(민주당 대변인): 개혁의 완수와 경제 회생을 위한 정책 연합이 필요하다는 점을 자민련과 민국당과 함께 공감하고 있습니다.
⊙기자: 한나라당은 정계개편 가능성을 극도로 경계하면서도 3당이 이미 정책공조를 해 왔다며 평가 절하했습니다.
⊙장광근(한나라당 수석 부대변인): DJP 기형적 동거체제, 민국당이라는 혹 하나 더 붙는 것이 과연 무슨 의미가 있겠습니까?
⊙기자: 공동여당과 민국당이 정책 연합이 될 경우 원내 과반수인 137석이 되고 여권의 정국 주도권은 한층 탄탄해집니다.
민주당과 자민련에 이어 민국당까지 3당 정책 연합이 성사된다면 내년 대선을 앞둔 여야 정치권에 지각변동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아보입니다.
KBS뉴스 이춘호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