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멘트>
국회 국정감사 소식입니다. 유명환 외교부 장관은 북한이 힐 차관보에게 했다는 중대 제안설은 사실이 아니라고 일축했습니다.
송창언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외교부 국정감사의 최대 현안은 북핵 검증과 관련된 힐 차관보의 방북 결과였습니다.
<녹취> 진영(한나라당 의원) : "미국 급하지 않나. 부시가 임기얼마 안 남았는데 갑자기 뭐 발표한다니 뭐 하나하고..."
<녹취> 박상천(민주당 의원) : "검증 문제 대해서 미국이 요구하는 내용 갖고 미국은 계속 고집하나. 아니면 좀 바뀌었나?"
유명환 외교부 장관은 북미가 유연성 있게 입장을 절충하고 있다면서 미국 정부의 검토를 거쳐 2,3일 안에 협상 결과에 대한 발표가 있을 것이라고 답변했습니다.
또 북한이 북미군사회담과 종전선언 등 중대제안이나 최후통첩을 했다는 일부 보도는 사실이 아니라고 강조했습니다.
<녹취> 유명환 장관 : "힐에 북에 가서 협의한 것은 검증 합의서 문제일 뿐이다."
우라늄 농축 프로그램 검증에 대한 추궁도 이어졌습니다.
<녹취> 이회창(자유선진당 총재) : "농축우라늄 대상이 포함되는가?"
유 장관은 북한이 제출한 신고서를 1차적으로 검증하는 협의를 진행 중이라며 현 단계에서 우라늄 농축 프로그램 검증이 추진되진 않을 것임을 시사했습니다.
KBS 뉴스 송창언입니다.
국회 국정감사 소식입니다. 유명환 외교부 장관은 북한이 힐 차관보에게 했다는 중대 제안설은 사실이 아니라고 일축했습니다.
송창언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외교부 국정감사의 최대 현안은 북핵 검증과 관련된 힐 차관보의 방북 결과였습니다.
<녹취> 진영(한나라당 의원) : "미국 급하지 않나. 부시가 임기얼마 안 남았는데 갑자기 뭐 발표한다니 뭐 하나하고..."
<녹취> 박상천(민주당 의원) : "검증 문제 대해서 미국이 요구하는 내용 갖고 미국은 계속 고집하나. 아니면 좀 바뀌었나?"
유명환 외교부 장관은 북미가 유연성 있게 입장을 절충하고 있다면서 미국 정부의 검토를 거쳐 2,3일 안에 협상 결과에 대한 발표가 있을 것이라고 답변했습니다.
또 북한이 북미군사회담과 종전선언 등 중대제안이나 최후통첩을 했다는 일부 보도는 사실이 아니라고 강조했습니다.
<녹취> 유명환 장관 : "힐에 북에 가서 협의한 것은 검증 합의서 문제일 뿐이다."
우라늄 농축 프로그램 검증에 대한 추궁도 이어졌습니다.
<녹취> 이회창(자유선진당 총재) : "농축우라늄 대상이 포함되는가?"
유 장관은 북한이 제출한 신고서를 1차적으로 검증하는 협의를 진행 중이라며 현 단계에서 우라늄 농축 프로그램 검증이 추진되진 않을 것임을 시사했습니다.
KBS 뉴스 송창언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유명환 장관, ‘북 중대 제안설’ 일축
-
- 입력 2008-10-07 21:23:57

<앵커 멘트>
국회 국정감사 소식입니다. 유명환 외교부 장관은 북한이 힐 차관보에게 했다는 중대 제안설은 사실이 아니라고 일축했습니다.
송창언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외교부 국정감사의 최대 현안은 북핵 검증과 관련된 힐 차관보의 방북 결과였습니다.
<녹취> 진영(한나라당 의원) : "미국 급하지 않나. 부시가 임기얼마 안 남았는데 갑자기 뭐 발표한다니 뭐 하나하고..."
<녹취> 박상천(민주당 의원) : "검증 문제 대해서 미국이 요구하는 내용 갖고 미국은 계속 고집하나. 아니면 좀 바뀌었나?"
유명환 외교부 장관은 북미가 유연성 있게 입장을 절충하고 있다면서 미국 정부의 검토를 거쳐 2,3일 안에 협상 결과에 대한 발표가 있을 것이라고 답변했습니다.
또 북한이 북미군사회담과 종전선언 등 중대제안이나 최후통첩을 했다는 일부 보도는 사실이 아니라고 강조했습니다.
<녹취> 유명환 장관 : "힐에 북에 가서 협의한 것은 검증 합의서 문제일 뿐이다."
우라늄 농축 프로그램 검증에 대한 추궁도 이어졌습니다.
<녹취> 이회창(자유선진당 총재) : "농축우라늄 대상이 포함되는가?"
유 장관은 북한이 제출한 신고서를 1차적으로 검증하는 협의를 진행 중이라며 현 단계에서 우라늄 농축 프로그램 검증이 추진되진 않을 것임을 시사했습니다.
KBS 뉴스 송창언입니다.
-
-
송창언 기자 heiper@kbs.co.kr
송창언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