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소득 전문직 엉터리 소득신고
입력 2001.04.24 (21:00)
수정 2018.08.29 (15:00)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국민연금 재정이 급속히 악화되고 있는데는 고소득 전문직 종사자들의 엉터리 소득 신고가 한몫을 한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일부 변호사와 의사 등은 소득이 최저 생계비에도 못 미친다고 신고한 것으로 밝혀져서 실소를 금치 못하게 하고 있습니다.
김도엽 기자입니다.
⊙기자: 고소득 전문직 자영업자들이 신고한 소득내역의 일부입니다.
서울에서 개업하고 있는 변호사 강 모 씨는 월소득이 34만 원이라고 신고했습니다.
세무사 김 모 씨의 월소득 역시 34만 원으로 신고됐습니다.
60만 원, 50만 원대의 소득을 신고한 의사가 있는가 하면 충청북도에서 병원을 경영하는 의사 이 모 씨는 월수입이 22만 원이라고 신고했습니다.
국민연금공단이 국회에 낸 자료를 보면 월소득이 4인 가족 최저 생계비에도 못 미치는 88만 원 5000원 이하로 신고한 전문직 자영업자가 938명에 이릅니다.
⊙심재철(한나라당 의원): 제대로 신고하지 않더라도 아무런 제재 조건이 없기 때문이고 두번째로는 소득신고를 제대로 하도록 유도할 만한 체제가 아무것도 갖추어져 있지 않습니다.
⊙기자: 최저생계비도 못 번다는 전문직 종사자들을 직종별로 보면 건축사가 492명으로 가장 많고 의사 37명, 한의사 41명, 세무회계사 56명, 변호사 2명 등으로 나타났습니다.
또 연금공단이 관리하는 전체 전문직 자영업자 3만 4000여 명 가운데 36%는 자기의 한 달 소득이 직장인의 평균소득과 비슷한 287만 원 선으로 신고해 주변을 놀라게 했습니다.
평범한 직장인이 달에 16만 원 정도를 국민연금으로 내는데 비해 이들은 한 달에 3, 4만 원 정도만 냈습니다.
KBS뉴스 김도엽입니다.
일부 변호사와 의사 등은 소득이 최저 생계비에도 못 미친다고 신고한 것으로 밝혀져서 실소를 금치 못하게 하고 있습니다.
김도엽 기자입니다.
⊙기자: 고소득 전문직 자영업자들이 신고한 소득내역의 일부입니다.
서울에서 개업하고 있는 변호사 강 모 씨는 월소득이 34만 원이라고 신고했습니다.
세무사 김 모 씨의 월소득 역시 34만 원으로 신고됐습니다.
60만 원, 50만 원대의 소득을 신고한 의사가 있는가 하면 충청북도에서 병원을 경영하는 의사 이 모 씨는 월수입이 22만 원이라고 신고했습니다.
국민연금공단이 국회에 낸 자료를 보면 월소득이 4인 가족 최저 생계비에도 못 미치는 88만 원 5000원 이하로 신고한 전문직 자영업자가 938명에 이릅니다.
⊙심재철(한나라당 의원): 제대로 신고하지 않더라도 아무런 제재 조건이 없기 때문이고 두번째로는 소득신고를 제대로 하도록 유도할 만한 체제가 아무것도 갖추어져 있지 않습니다.
⊙기자: 최저생계비도 못 번다는 전문직 종사자들을 직종별로 보면 건축사가 492명으로 가장 많고 의사 37명, 한의사 41명, 세무회계사 56명, 변호사 2명 등으로 나타났습니다.
또 연금공단이 관리하는 전체 전문직 자영업자 3만 4000여 명 가운데 36%는 자기의 한 달 소득이 직장인의 평균소득과 비슷한 287만 원 선으로 신고해 주변을 놀라게 했습니다.
평범한 직장인이 달에 16만 원 정도를 국민연금으로 내는데 비해 이들은 한 달에 3, 4만 원 정도만 냈습니다.
KBS뉴스 김도엽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고소득 전문직 엉터리 소득신고
-
- 입력 2001-04-24 21:00:00
- 수정2018-08-29 15:00:00

⊙앵커: 국민연금 재정이 급속히 악화되고 있는데는 고소득 전문직 종사자들의 엉터리 소득 신고가 한몫을 한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일부 변호사와 의사 등은 소득이 최저 생계비에도 못 미친다고 신고한 것으로 밝혀져서 실소를 금치 못하게 하고 있습니다.
김도엽 기자입니다.
⊙기자: 고소득 전문직 자영업자들이 신고한 소득내역의 일부입니다.
서울에서 개업하고 있는 변호사 강 모 씨는 월소득이 34만 원이라고 신고했습니다.
세무사 김 모 씨의 월소득 역시 34만 원으로 신고됐습니다.
60만 원, 50만 원대의 소득을 신고한 의사가 있는가 하면 충청북도에서 병원을 경영하는 의사 이 모 씨는 월수입이 22만 원이라고 신고했습니다.
국민연금공단이 국회에 낸 자료를 보면 월소득이 4인 가족 최저 생계비에도 못 미치는 88만 원 5000원 이하로 신고한 전문직 자영업자가 938명에 이릅니다.
⊙심재철(한나라당 의원): 제대로 신고하지 않더라도 아무런 제재 조건이 없기 때문이고 두번째로는 소득신고를 제대로 하도록 유도할 만한 체제가 아무것도 갖추어져 있지 않습니다.
⊙기자: 최저생계비도 못 번다는 전문직 종사자들을 직종별로 보면 건축사가 492명으로 가장 많고 의사 37명, 한의사 41명, 세무회계사 56명, 변호사 2명 등으로 나타났습니다.
또 연금공단이 관리하는 전체 전문직 자영업자 3만 4000여 명 가운데 36%는 자기의 한 달 소득이 직장인의 평균소득과 비슷한 287만 원 선으로 신고해 주변을 놀라게 했습니다.
평범한 직장인이 달에 16만 원 정도를 국민연금으로 내는데 비해 이들은 한 달에 3, 4만 원 정도만 냈습니다.
KBS뉴스 김도엽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