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장바구니 물가 잡기 나서
입력 2001.05.18 (21:00)
수정 2018.08.29 (15:00)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정부가 장바구니 물가 잡기에 나섰습니다.
경제가 완전히 회복단계에 들어서지 않은 가운데 물가까지 크게 오르면 자칫 경제의 근간을 뒤흔들 수도 있다는 판단 때문입니다.
보도에 김태형 기자입니다.
⊙기자: 가난한 사람들이 모여사는 이른바 쪽방촌입니다.
이곳 주민들에게 물가인상은 가장 큰 두려움 가운데 하나입니다.
전국에는 이들처럼 정부나 사회단체의 지원을 필요로 하는 극빈자층이 150만 명 정도됩니다.
⊙인터뷰: (물가 오르면) 서민들은 허덕이게 되는 거죠.
⊙기자: 지난달 29개월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던 소비자 물가는 여전히 들먹이고 있습니다.
450원짜리 이 라면도 다음 주부터는 30원 인상돼 소비자 가격이 480원이 됩니다.
물가가 불안한 모습을 보이자 정부는 장바구니 물가를 잡는 데 온힘을 쏟기로 했습니다.
농축수산물 가격안정을 위해 출하량을 탄력적으로 조정하고 쓰레기봉투값 등 공공요금도 인상요인을 최대한 없애기로 했습니다.
이동전화의 요금도 인하를 유도하고 영세민 전월세 보증금 금리 한도는 높이고 대출금리는 낮추기로 했습니다.
⊙오갑원(재경부 국민생활국장): 상하수도 요금이라든지 쓰레기 봉투료, 교통요금 등 공공요금을 최소화시켜 나가기로 하였습니다.
⊙기자: 실업률이 떨어지고 소비심리가 회복되는 등 긍정적 지표들이 나오는 가운데 정부는 이제 물가잡기에 나서고 있습니다.
KBS뉴스 김태형입니다.
경제가 완전히 회복단계에 들어서지 않은 가운데 물가까지 크게 오르면 자칫 경제의 근간을 뒤흔들 수도 있다는 판단 때문입니다.
보도에 김태형 기자입니다.
⊙기자: 가난한 사람들이 모여사는 이른바 쪽방촌입니다.
이곳 주민들에게 물가인상은 가장 큰 두려움 가운데 하나입니다.
전국에는 이들처럼 정부나 사회단체의 지원을 필요로 하는 극빈자층이 150만 명 정도됩니다.
⊙인터뷰: (물가 오르면) 서민들은 허덕이게 되는 거죠.
⊙기자: 지난달 29개월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던 소비자 물가는 여전히 들먹이고 있습니다.
450원짜리 이 라면도 다음 주부터는 30원 인상돼 소비자 가격이 480원이 됩니다.
물가가 불안한 모습을 보이자 정부는 장바구니 물가를 잡는 데 온힘을 쏟기로 했습니다.
농축수산물 가격안정을 위해 출하량을 탄력적으로 조정하고 쓰레기봉투값 등 공공요금도 인상요인을 최대한 없애기로 했습니다.
이동전화의 요금도 인하를 유도하고 영세민 전월세 보증금 금리 한도는 높이고 대출금리는 낮추기로 했습니다.
⊙오갑원(재경부 국민생활국장): 상하수도 요금이라든지 쓰레기 봉투료, 교통요금 등 공공요금을 최소화시켜 나가기로 하였습니다.
⊙기자: 실업률이 떨어지고 소비심리가 회복되는 등 긍정적 지표들이 나오는 가운데 정부는 이제 물가잡기에 나서고 있습니다.
KBS뉴스 김태형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정부, 장바구니 물가 잡기 나서
-
- 입력 2001-05-18 21:00:00
- 수정2018-08-29 15:00:00

⊙앵커: 정부가 장바구니 물가 잡기에 나섰습니다.
경제가 완전히 회복단계에 들어서지 않은 가운데 물가까지 크게 오르면 자칫 경제의 근간을 뒤흔들 수도 있다는 판단 때문입니다.
보도에 김태형 기자입니다.
⊙기자: 가난한 사람들이 모여사는 이른바 쪽방촌입니다.
이곳 주민들에게 물가인상은 가장 큰 두려움 가운데 하나입니다.
전국에는 이들처럼 정부나 사회단체의 지원을 필요로 하는 극빈자층이 150만 명 정도됩니다.
⊙인터뷰: (물가 오르면) 서민들은 허덕이게 되는 거죠.
⊙기자: 지난달 29개월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던 소비자 물가는 여전히 들먹이고 있습니다.
450원짜리 이 라면도 다음 주부터는 30원 인상돼 소비자 가격이 480원이 됩니다.
물가가 불안한 모습을 보이자 정부는 장바구니 물가를 잡는 데 온힘을 쏟기로 했습니다.
농축수산물 가격안정을 위해 출하량을 탄력적으로 조정하고 쓰레기봉투값 등 공공요금도 인상요인을 최대한 없애기로 했습니다.
이동전화의 요금도 인하를 유도하고 영세민 전월세 보증금 금리 한도는 높이고 대출금리는 낮추기로 했습니다.
⊙오갑원(재경부 국민생활국장): 상하수도 요금이라든지 쓰레기 봉투료, 교통요금 등 공공요금을 최소화시켜 나가기로 하였습니다.
⊙기자: 실업률이 떨어지고 소비심리가 회복되는 등 긍정적 지표들이 나오는 가운데 정부는 이제 물가잡기에 나서고 있습니다.
KBS뉴스 김태형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