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반 기업들 흩어져야 산다

입력 2001.05.29 (06:00)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뭉쳐야 사는가, 흩어져야 사는가.
수퍼뱅크다 뭐다 하면서 은행들은 저마다 짝짓기로 덩치를 키워서 살 길을 찾고 있지만 일반 기업들은 사정이 다릅니다.
흩어져야 산다면서 기업 분할전략으로 활로를 모색하고 있습니다.
정은창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기자: 흩어져야 산다, 재계는 요즘 기업분할이 붐을 이루고 있습니다.
기업합병이 시너지 효과를 노린 거라면 기업분할은 한마디로 업종 전문화입니다.
LG화학은 지난달 LGCI와 LG화학, LG생활건강, 3개사로 나눴습니다.
석유화학 제품과 치약, 화장품을 함께 만들던 복잡한 사업구조를 단순화하면서 시장 지배력을 높이자 회사가치도 덩달아 높아졌습니다.
⊙서기원(LG화학 경영관리부장): 회사분할 이후에 저희 회사 주가가 20% 정도 상승했다는 것은 시장에서 저희 회사분할을 긍정적으로 평가하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기자: 디젤엔진을 생산하는 옛 쌍용중공업 STX도 소재사업 부문을 분할해 새 회사를 만들기로 했습니다.
기업분할에 따른 업종 전문화로 국내외 디젤엔진 부품시장에서 경쟁력을 높일 수 있다는 판단 때문입니다.
⊙송우익(STX(구 쌍용중공업) 부상무): 연간 1000억 내지 1500억원 정도의 수입 대체 및 수출 효과를 기대할 수 있습니다.
⊙기자: 올 들어 기업분할을 했거나 추진 중인 회사는 진양과 세아제강 등 11개사, 지난해 5개사의 2배가 넘습니다.
회사 가치와 전문성을 함께 높여주는 기업분할은 기업발전의 유력한 방안으로 앞으로 더욱 확산될 것으로 보입니다.
KBS뉴스 정은창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일반 기업들 흩어져야 산다
    • 입력 2001-05-29 06:00:00
    뉴스광장
⊙앵커: 뭉쳐야 사는가, 흩어져야 사는가. 수퍼뱅크다 뭐다 하면서 은행들은 저마다 짝짓기로 덩치를 키워서 살 길을 찾고 있지만 일반 기업들은 사정이 다릅니다. 흩어져야 산다면서 기업 분할전략으로 활로를 모색하고 있습니다. 정은창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기자: 흩어져야 산다, 재계는 요즘 기업분할이 붐을 이루고 있습니다. 기업합병이 시너지 효과를 노린 거라면 기업분할은 한마디로 업종 전문화입니다. LG화학은 지난달 LGCI와 LG화학, LG생활건강, 3개사로 나눴습니다. 석유화학 제품과 치약, 화장품을 함께 만들던 복잡한 사업구조를 단순화하면서 시장 지배력을 높이자 회사가치도 덩달아 높아졌습니다. ⊙서기원(LG화학 경영관리부장): 회사분할 이후에 저희 회사 주가가 20% 정도 상승했다는 것은 시장에서 저희 회사분할을 긍정적으로 평가하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기자: 디젤엔진을 생산하는 옛 쌍용중공업 STX도 소재사업 부문을 분할해 새 회사를 만들기로 했습니다. 기업분할에 따른 업종 전문화로 국내외 디젤엔진 부품시장에서 경쟁력을 높일 수 있다는 판단 때문입니다. ⊙송우익(STX(구 쌍용중공업) 부상무): 연간 1000억 내지 1500억원 정도의 수입 대체 및 수출 효과를 기대할 수 있습니다. ⊙기자: 올 들어 기업분할을 했거나 추진 중인 회사는 진양과 세아제강 등 11개사, 지난해 5개사의 2배가 넘습니다. 회사 가치와 전문성을 함께 높여주는 기업분할은 기업발전의 유력한 방안으로 앞으로 더욱 확산될 것으로 보입니다. KBS뉴스 정은창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