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멘트>
한국노총이 복수노조와 전임자 문제에 대해 전향적인 입장을 내놓은 뒤 합의안이 나올지가 주목됩니다.
정부나 재계 모두 겉으론 원칙적 입장을 고수하고 있으나 접점을 찾기 위한 접촉도 진행중입니다
박순서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한국노총이 이틀 전 새 입장을 밝힌 직후 마련된 노사정, 여당의 4자 회동에서 한나라당의 절충안이 나왔습니다.
2013년부터 복수노조를 허용하고 내년에 만 명 이상 대기업부터 전임자에게 급여를 지급하지 않도록 하자는 겁니다.
한국노총과 경총은 어제 절충 가능성을 놓고 실무자들끼리 비공개 작업을 벌였습니다.
경총은 복수노조 반대와 전임자 임금금지 전면시행이란 원칙을 고수하면서도 한국노총의 입장변화를 긍정적으로 보고 있습니다.
<인터뷰> 이병훈(중앙대 경제학과 교수) : “전임자 임금금지를 어떻게든 유예시키기 위해 재계에 선물을 주고 그런 거래에 대해 정부가 추인해 달라, 동의해 달라..”
임태희 노동부 장관은 이와 관련해 노사 양측이 합의했으면 한다며 여러 차례 밝힌 대로 유예는 없다고 원칙적 입장을 강조했습니다.
하지만 지난달 26일 이미 전임자 급여 지급 금지를 내년 공기업과 대기업만 우선 시행하는 것을 검토하고 있다고 유연한 입장을 밝힌 바 있습니다.
겉으론 원칙을 고수하지만 실제론 일맥상통하는 부분이 있어서 오늘 최종입장을 결정할 4자회동의 결과가 주목됩니다.
KBS 뉴스 박순서입니다.
한국노총이 복수노조와 전임자 문제에 대해 전향적인 입장을 내놓은 뒤 합의안이 나올지가 주목됩니다.
정부나 재계 모두 겉으론 원칙적 입장을 고수하고 있으나 접점을 찾기 위한 접촉도 진행중입니다
박순서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한국노총이 이틀 전 새 입장을 밝힌 직후 마련된 노사정, 여당의 4자 회동에서 한나라당의 절충안이 나왔습니다.
2013년부터 복수노조를 허용하고 내년에 만 명 이상 대기업부터 전임자에게 급여를 지급하지 않도록 하자는 겁니다.
한국노총과 경총은 어제 절충 가능성을 놓고 실무자들끼리 비공개 작업을 벌였습니다.
경총은 복수노조 반대와 전임자 임금금지 전면시행이란 원칙을 고수하면서도 한국노총의 입장변화를 긍정적으로 보고 있습니다.
<인터뷰> 이병훈(중앙대 경제학과 교수) : “전임자 임금금지를 어떻게든 유예시키기 위해 재계에 선물을 주고 그런 거래에 대해 정부가 추인해 달라, 동의해 달라..”
임태희 노동부 장관은 이와 관련해 노사 양측이 합의했으면 한다며 여러 차례 밝힌 대로 유예는 없다고 원칙적 입장을 강조했습니다.
하지만 지난달 26일 이미 전임자 급여 지급 금지를 내년 공기업과 대기업만 우선 시행하는 것을 검토하고 있다고 유연한 입장을 밝힌 바 있습니다.
겉으론 원칙을 고수하지만 실제론 일맥상통하는 부분이 있어서 오늘 최종입장을 결정할 4자회동의 결과가 주목됩니다.
KBS 뉴스 박순서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노동계, 양대 현안 가닥 잡나?
-
- 입력 2009-12-02 07:25:59

<앵커 멘트>
한국노총이 복수노조와 전임자 문제에 대해 전향적인 입장을 내놓은 뒤 합의안이 나올지가 주목됩니다.
정부나 재계 모두 겉으론 원칙적 입장을 고수하고 있으나 접점을 찾기 위한 접촉도 진행중입니다
박순서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한국노총이 이틀 전 새 입장을 밝힌 직후 마련된 노사정, 여당의 4자 회동에서 한나라당의 절충안이 나왔습니다.
2013년부터 복수노조를 허용하고 내년에 만 명 이상 대기업부터 전임자에게 급여를 지급하지 않도록 하자는 겁니다.
한국노총과 경총은 어제 절충 가능성을 놓고 실무자들끼리 비공개 작업을 벌였습니다.
경총은 복수노조 반대와 전임자 임금금지 전면시행이란 원칙을 고수하면서도 한국노총의 입장변화를 긍정적으로 보고 있습니다.
<인터뷰> 이병훈(중앙대 경제학과 교수) : “전임자 임금금지를 어떻게든 유예시키기 위해 재계에 선물을 주고 그런 거래에 대해 정부가 추인해 달라, 동의해 달라..”
임태희 노동부 장관은 이와 관련해 노사 양측이 합의했으면 한다며 여러 차례 밝힌 대로 유예는 없다고 원칙적 입장을 강조했습니다.
하지만 지난달 26일 이미 전임자 급여 지급 금지를 내년 공기업과 대기업만 우선 시행하는 것을 검토하고 있다고 유연한 입장을 밝힌 바 있습니다.
겉으론 원칙을 고수하지만 실제론 일맥상통하는 부분이 있어서 오늘 최종입장을 결정할 4자회동의 결과가 주목됩니다.
KBS 뉴스 박순서입니다.
-
-
박순서 기자 pss@kbs.co.kr
박순서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