겨울철 노인 낙상 치명적
입력 2010.01.03 (07:50)
수정 2010.01.05 (08:59)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요즘 길을 걷다보면 미끄러질까봐 조심 조심 걷는 분들 많으실텐데요.
특히 노년층의 경우 낙상 사고를 주의해야 합니다.
뼈가 약해 자칫하다간 골절상을 입는 경우가 많은데 이를 방치하면 각종 합병증이 오는 등 심각한 상황에 이르기도 합니다.
조성훈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다른 계절에 비해 낙상사고가 평균 세 배 가까이 더 많은 겨울철, 특히 노년층은 더 조심해야 합니다.
61살 오홍매 할머니도 빙판길에 미끄러져 주저앉으면서 병원 신세를 지게됐습니다.
<인터뷰>오홍매(낙상 골절 환자): "건널목 건너는데 어제 눈이 많이 왔잖아요. 다리를 다쳐서 다리에 힘이 없었는데 그냥 미끄러져서 뒤로 꽈당했죠."
그저 가벼운 타박상 정도일 줄 알았는데 엉덩방아를 찧으면서 척추관절이 주저앉는 척추 압박성 골절로 나타났습니다.
이처럼 노년기엔 골다공증과 만성질환 등으로 뼈가 약해지면서 낙상 사고가 골절로 이어지는 경우가 많습니다.
특히 겨울철엔 노인 골절 환자가 20%나 늘어나고, 골다공증이 많은 여성 골절 환자 수가 남성보다 3배나 많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문제는 골절로 인한 각종 합병증입니다.
<인터뷰> 권세광(정형외과 전문의): "노인들은 뼈가 늦게 붙으면서 오래 누워있어야 하는데 그러면 폐렴이나 욕창 등 각종 합병증이 찾아옵니다."
실제로 고관절 골절의 경우 각종 후유증이나 합병증으로 1년 내 사망할 확률이 29%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따라서 무엇보다 예방이 최선입니다.
골다공증이 있는 노인은 약을 복용하는 등 꾸준히 치료를 받으면 골절 위험을 50% 이상 낮출 수 있습니다.
또 걷는 속도와 걸음 폭을 평소보다 10%이상 줄여야 하고, 굽 높은 신발은 피해야 합니다.
춥다고 주머니에 손을 넣고 걸으면 균형을 잃기 쉬우며, 지팡이 등 보조기구를 이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KBS뉴스 조성훈입니다.
요즘 길을 걷다보면 미끄러질까봐 조심 조심 걷는 분들 많으실텐데요.
특히 노년층의 경우 낙상 사고를 주의해야 합니다.
뼈가 약해 자칫하다간 골절상을 입는 경우가 많은데 이를 방치하면 각종 합병증이 오는 등 심각한 상황에 이르기도 합니다.
조성훈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다른 계절에 비해 낙상사고가 평균 세 배 가까이 더 많은 겨울철, 특히 노년층은 더 조심해야 합니다.
61살 오홍매 할머니도 빙판길에 미끄러져 주저앉으면서 병원 신세를 지게됐습니다.
<인터뷰>오홍매(낙상 골절 환자): "건널목 건너는데 어제 눈이 많이 왔잖아요. 다리를 다쳐서 다리에 힘이 없었는데 그냥 미끄러져서 뒤로 꽈당했죠."
그저 가벼운 타박상 정도일 줄 알았는데 엉덩방아를 찧으면서 척추관절이 주저앉는 척추 압박성 골절로 나타났습니다.
이처럼 노년기엔 골다공증과 만성질환 등으로 뼈가 약해지면서 낙상 사고가 골절로 이어지는 경우가 많습니다.
특히 겨울철엔 노인 골절 환자가 20%나 늘어나고, 골다공증이 많은 여성 골절 환자 수가 남성보다 3배나 많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문제는 골절로 인한 각종 합병증입니다.
<인터뷰> 권세광(정형외과 전문의): "노인들은 뼈가 늦게 붙으면서 오래 누워있어야 하는데 그러면 폐렴이나 욕창 등 각종 합병증이 찾아옵니다."
실제로 고관절 골절의 경우 각종 후유증이나 합병증으로 1년 내 사망할 확률이 29%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따라서 무엇보다 예방이 최선입니다.
골다공증이 있는 노인은 약을 복용하는 등 꾸준히 치료를 받으면 골절 위험을 50% 이상 낮출 수 있습니다.
또 걷는 속도와 걸음 폭을 평소보다 10%이상 줄여야 하고, 굽 높은 신발은 피해야 합니다.
춥다고 주머니에 손을 넣고 걸으면 균형을 잃기 쉬우며, 지팡이 등 보조기구를 이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KBS뉴스 조성훈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겨울철 노인 낙상 치명적
-
- 입력 2010-01-03 07:50:21
- 수정2010-01-05 08:59:11

<앵커 멘트>
요즘 길을 걷다보면 미끄러질까봐 조심 조심 걷는 분들 많으실텐데요.
특히 노년층의 경우 낙상 사고를 주의해야 합니다.
뼈가 약해 자칫하다간 골절상을 입는 경우가 많은데 이를 방치하면 각종 합병증이 오는 등 심각한 상황에 이르기도 합니다.
조성훈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다른 계절에 비해 낙상사고가 평균 세 배 가까이 더 많은 겨울철, 특히 노년층은 더 조심해야 합니다.
61살 오홍매 할머니도 빙판길에 미끄러져 주저앉으면서 병원 신세를 지게됐습니다.
<인터뷰>오홍매(낙상 골절 환자): "건널목 건너는데 어제 눈이 많이 왔잖아요. 다리를 다쳐서 다리에 힘이 없었는데 그냥 미끄러져서 뒤로 꽈당했죠."
그저 가벼운 타박상 정도일 줄 알았는데 엉덩방아를 찧으면서 척추관절이 주저앉는 척추 압박성 골절로 나타났습니다.
이처럼 노년기엔 골다공증과 만성질환 등으로 뼈가 약해지면서 낙상 사고가 골절로 이어지는 경우가 많습니다.
특히 겨울철엔 노인 골절 환자가 20%나 늘어나고, 골다공증이 많은 여성 골절 환자 수가 남성보다 3배나 많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문제는 골절로 인한 각종 합병증입니다.
<인터뷰> 권세광(정형외과 전문의): "노인들은 뼈가 늦게 붙으면서 오래 누워있어야 하는데 그러면 폐렴이나 욕창 등 각종 합병증이 찾아옵니다."
실제로 고관절 골절의 경우 각종 후유증이나 합병증으로 1년 내 사망할 확률이 29%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따라서 무엇보다 예방이 최선입니다.
골다공증이 있는 노인은 약을 복용하는 등 꾸준히 치료를 받으면 골절 위험을 50% 이상 낮출 수 있습니다.
또 걷는 속도와 걸음 폭을 평소보다 10%이상 줄여야 하고, 굽 높은 신발은 피해야 합니다.
춥다고 주머니에 손을 넣고 걸으면 균형을 잃기 쉬우며, 지팡이 등 보조기구를 이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KBS뉴스 조성훈입니다.
요즘 길을 걷다보면 미끄러질까봐 조심 조심 걷는 분들 많으실텐데요.
특히 노년층의 경우 낙상 사고를 주의해야 합니다.
뼈가 약해 자칫하다간 골절상을 입는 경우가 많은데 이를 방치하면 각종 합병증이 오는 등 심각한 상황에 이르기도 합니다.
조성훈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다른 계절에 비해 낙상사고가 평균 세 배 가까이 더 많은 겨울철, 특히 노년층은 더 조심해야 합니다.
61살 오홍매 할머니도 빙판길에 미끄러져 주저앉으면서 병원 신세를 지게됐습니다.
<인터뷰>오홍매(낙상 골절 환자): "건널목 건너는데 어제 눈이 많이 왔잖아요. 다리를 다쳐서 다리에 힘이 없었는데 그냥 미끄러져서 뒤로 꽈당했죠."
그저 가벼운 타박상 정도일 줄 알았는데 엉덩방아를 찧으면서 척추관절이 주저앉는 척추 압박성 골절로 나타났습니다.
이처럼 노년기엔 골다공증과 만성질환 등으로 뼈가 약해지면서 낙상 사고가 골절로 이어지는 경우가 많습니다.
특히 겨울철엔 노인 골절 환자가 20%나 늘어나고, 골다공증이 많은 여성 골절 환자 수가 남성보다 3배나 많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문제는 골절로 인한 각종 합병증입니다.
<인터뷰> 권세광(정형외과 전문의): "노인들은 뼈가 늦게 붙으면서 오래 누워있어야 하는데 그러면 폐렴이나 욕창 등 각종 합병증이 찾아옵니다."
실제로 고관절 골절의 경우 각종 후유증이나 합병증으로 1년 내 사망할 확률이 29%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따라서 무엇보다 예방이 최선입니다.
골다공증이 있는 노인은 약을 복용하는 등 꾸준히 치료를 받으면 골절 위험을 50% 이상 낮출 수 있습니다.
또 걷는 속도와 걸음 폭을 평소보다 10%이상 줄여야 하고, 굽 높은 신발은 피해야 합니다.
춥다고 주머니에 손을 넣고 걸으면 균형을 잃기 쉬우며, 지팡이 등 보조기구를 이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KBS뉴스 조성훈입니다.
-
-
조성훈 기자 aufhebun@kbs.co.kr
조성훈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